496 0

‘비언어적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모델 제시 연구 - 삽화 자료를 중심으로 -

Title
‘비언어적 자료’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모델 제시 연구 - 삽화 자료를 중심으로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esentation of Korean Textbook Model Using ‘Non-verbal Data’ -focused on illustrated materials-
Author
김규리
Advisor(s)
신중진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청화식 교수법이 주로 사용된다. 가장 기본적이며 대중화된 학습 방법이다. 그러나 회화교육에서 언어적 수단도 중요하지만, 비언어적 수단 역시 놓칠 수 없는 부분이다. 한국어 교수법에는 문법번역식 교수법, 직접식 교수법, 청화식 교수법, 침묵식 교수법, 공동체 언어학습법, 전신 반응 교수법, 암시 교수법, 의사소통식 교수법, 과제 중심 교수법, 내용 중심 교수법 등 10가지의 교수법들이 존재한다. 이 중,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사용하는 교수법은 전신반응 교수법과 의사소통식 교수법이다. 그러나 이번 논문에서는 비언어 중 신체 언어가 아닌 삽화 자료에 대해 다루기 때문에, 전신 반응 교수법을 제외하고 의사소통식 교수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김재욱. 김지형(2010; 96)은 의사소통 교수법이란, 언어의 의사소통 기능과 사용을 중시하는 교수법으로 ‘기능적/의미적’ 교수법이라고도 부른다. 1970년대에 이르러 외국어 교육계에서는 학습자들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외국어를 사용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이 중대한 문제로 지적되었다. 그 후 언어교수 학자들은 언어 구조와 어휘가 아닌 의사소통적 측면을 강조하게 되었다. 의사소통식 교수법에서는 언어의 의사소통 기능에 중점을 두는데, 이때 구조에 대한 정확한 지식보다는 의사소통을 위한 유창성을 강조한다. 이 교수법에서 언어의 주된 기능은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이다. 그래서 실제 의사소통 활동과 의미 있는 과제를 통한 언어 사용 활동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원리와 유의미한 학습이 학습 효과가 크다는 원리를 내세우고 있다. 비언어의 종류에는 신체 언어, 영상매체, 그림 등이 존재한다. 이때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정의와 종류, 그리고 어떠한 교육적 의의가 있는지 이론적으로 우선 살펴본다. 특히 이번 논문에서는 한국어를 전혀 모르는 초급 학습자들이 교재 속에 나타난 비언어적 자료만을 보고도 수업의 목표를 이해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기 위해서, 비언어적 자료 중 신체언어, 영상 매체를 제외한 삽화에 집중하기로 한다. 많은 한국어 회화 교재를 보면 삽화 자료를 잘 활용한 교재도 있지만, 적절치 못하게 사용하거나 전혀 삽화를 삽입하지 않은 교재도 쉽게 찾을 수 있다. 회화에 친숙하지 않고 두려움이 있는 학습자에겐 교재 속 삽화 자료는 마음의 안정을 주고 삽화 속 색감 또한 부담감을 줄일 수 있는 큰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한국어 회화 교육도 학습자 수가 증가하고 있음은 사실이지만 국내의 영어 회화 학습자 수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학습자 수요가 많은 영어 회화 교재는 삽화 자료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고 발전되어 있는지 확인한 다음, 대학 기관에서 출판된 한국어 회화 교재의 삽화 자료의 사용 실태와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영어 회화의 교육 역사는 오래되었고 필요로 하는 사람의 수도 많기에 몇십년간 발전하였다. 현재 판매하고 있는 영어 회화 교재를 살펴보면 다양한 목적의 영어 회화 교재들이 배치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어 회화 교재도 삽화의 사용이 적절히 못하게 사용되고 있거나 삽화를 찾아 볼 수 없는 교재들 존재하기도 한다. 그래서 한국대학기관들에서 출판된 교재에 실린 삽화 자료들의 실태를 살펴본 후 영어 회화 교재와 비교 분석을 통해 아쉬운 점을 찾아 새로운 이상적 발전 방향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3280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3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