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1 0

광고 텍스트의 비판적 리터러시 교육

Title
광고 텍스트의 비판적 리터러시 교육
Other Titles
Critical Literacy Education in Advertisement text : An Analysis of Advertisement Literacy in 2015 Revised Korean Curriculum and Textbooks
Author
문지연
Alternative Author(s)
Moon Ji Yeon
Advisor(s)
김정선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course of development of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by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by analyzing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Modern people live with numerous advertisements every day, an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various types of advertisements are flood in addition to traditional print and television advertisements. Advertising is a persuasive message delivered to a large number of people non-face-to-face through the media for a specific purpose, such as product sales, information delivery, and urging action. Advertising literacy is broadly defined as a ability to read and write advertisements, and narrowly refers only to the ability to read advertisements critically. In order to prevent teenagers from indiscriminately accepting the persuasive message of advertising, education on advertising literacy, especially in a narrow sense, is needed. The critical reading ability of advertisements is related to ‘critical reading’, which has been dealt with as the cont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the functions of the the critical reading discuss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cademia, the content of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may also include, the assertion that ‘when accepting advertisements, the advertisement should be critically read through processes such as distinguishing whether the advertisement is true or opinion, judging the value inherent in the advertisement, identifying the perspective or intention of the advertisement, and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expressions used.’ As advertising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modern people, advertising literacy can be said to be a ability to affect children, adolescents, and even adults’ daily lives. In addition, reading and writing of advertisements is communication through the advertisement text, and based on this, advertising literacy can be included as the content of the Korean language subject, which is a communication subject. In this study, the basic function of advertising literacy was viewed as reading advertisements, and the most important goal of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was to ‘develop critical reading skills for advertisements and lead a independent life’. By encouraging advertising literacy, learners can interpret advertisements from their own perspectives and make independent choices without unilaterally following the intentions of the company or government, which is the advertising producer. Therefore, advertising literacy can be said to be a practical Korean language ability that promotes a wide range of Korean language experiences. This study indirectly investigated the current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s by examining how these advertising literacy are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each publisher’s middle school’s , high school’s , and high school’s . This study analyzed how the contents related to advertising literacy are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and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the perspective of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In addition, it examined how the contents of the curriculum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 and analyzed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in the textbook.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aimed for media language education centered on integration between media rather than individual media, and does not explicitly mention ‘advertising’ in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advertising literacy. According to this trend of the curriculum, in textbooks, even if the same achievement standards give shape to the learning goals, showed variously whether advertising text is presented as a sanction for learning activities, and what areas of advertising literacy a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by publishers and author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need to use advertising literacy in more diverse areas and more various types of advertisements a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explored which parts should be further supplemented in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and prepared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critical reading of advertisements. In a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e target text was set as ‘Native Advertising’. Native advertising is a content-type advertisement that imitates the form of content posted on the Internet platform, and it is a text that is familiar with the real life of youth learners and requires critical reading, but it is not reflected by meterials on textbook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ed a critical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for advertisements, but it was insufficient to verify its effectiveness in the actual class field. However, through the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direction of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currently conducted throug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advertising literacy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해당 교육과정이 반영된 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국어 교과에서의 광고 리터러시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광고 리터러시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여 광고 리터러시 교육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현대인들은 매일 수많은 광고를 접하며 살아가고 있으며, 매체의 발달로 전통적인 인쇄 광고와 텔레비전 광고 외에도 다양한 유형의 광고가 범람하고 있다. ‘광고’는 제품 판매나 정보 전달, 행동의 촉구 등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매체를 통해 비대면적으로 다수의 사람들에게 전달되는 설득적 메시지이다. ‘광고 리터러시’는 넓게는 광고를 읽고 쓰는 능력으로 정의되며, 좁게는 광고를 비판적으로 읽는 능력만을 이야기하기도 한다. 청소년들이 광고의 설득적 메시지를 분별없이 받아들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광고 리터러시에 대한 교육, 특히 좁은 의미에서의 광고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 광고 리터러시의 영역 중 ‘광고의 비판적 읽기’ 능력은 기존에 국어교육의 내용으로 다루어져 온 ‘비판적 읽기’와 연관이 있다. 국어교육 학계에서 논의된 비판적 읽기의 기능들을 고려하여, 광고 리터러시 교육의 내용 또한 ‘광고를 수용할 때는 광고 내용에서 사실과 의견을 구분하고, 광고 내용의 가치를 판단하고, 광고 제작자의 관점이나 의도를 파악하고, 광고에 사용된 표현의 효과성을 판단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비판적으로 읽어내야 한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광고가 현대인의 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광고 리터러시는 어린이와 청소년, 더 나아가 성인의 일상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광고를 읽고 쓰는 것은 광고라는 텍스트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으로서, 이를 근거로 광고 리터러시가 의사소통 교과인 국어 교과의 내용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고 리터러시의 기본적인 기능을 광고 읽기로 보고, 광고 리터러시 교육의 가장 중요한 목표를 ‘학습자가 광고에 대한 비판적 읽기 능력을 길러 주체적인 삶을 살도록 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학습자는 광고 리터러시를 통해 광고 제작자인 기업이나 국가의 의도를 일방적으로 따라가지 않고 스스로의 관점으로 광고를 해석하고 주체적인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광고 리터러시는 폭넓은 국어 경험을 도모하는 실질적인 국어 능력이라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광고 리터러시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해당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제작된 각 출판사의 중학교 <국어>, 고등학교 <국어>, 고등학교 <언어와 매체> 교과서에서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핌으로써,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광고 리터러시 교육을 간접적으로나마 알아보았다. 교육과정 성취기준에서 광고 리터러시 관련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광고 리터러시 교육의 입장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특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교육과정의 내용이 교과서에는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교과서의 광고 리터러시 교육 관련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은 개별 매체 중심이기보다 매체 간 통합성을 중심으로 하는 매체 언어 교육을 지향하고 있으며, 광고 리터러시와 관련 있는 성취기준에서 ‘광고’를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경향에 따라, 교과서에서는 같은 성취기준을 학습 목표로 구현한 단원이더라도 출판사와 저자에 따라 광고 텍스트가 학습 활동의 제재로 제시되어 있는지 여부 및 광고 리터러시의 어떤 영역이 교육 내용에 포함되었는지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더 다양한 영역의 광고 리터러시와 다양한 유형의 광고를 교수·학습 자료로 사용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위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광고 리터러시 교육에서 어떤 부분이 더 보완되어야 하는지를 탐구하고, 광고의 비판적 읽기에 관한 교수·학습 전략을 마련하였다. 구체적인 교수·학습 전략에서 대상이 되는 텍스트는 ‘네이티브 광고’로 설정하였는데, 네이티브 광고는 인터넷 플랫폼에 게재되는 일반적인 콘텐츠의 형태를 모방한 콘텐츠형 광고로서, 청소년 학습자의 실제 생활과 친숙하고 비판적 읽기가 필요한 텍스트이지만 교과서 활동의 제재로 반영되어 있지 않아 교과서 외 활동을 통해 학습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광고의 비판적 읽기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였으나 실제 수업 현장에서 그 효과성을 검증해보지 못하여 미흡한 점이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재 국어 교과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광고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을 살필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광고 리터러시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33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3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LINGUISTICS AND LITERATURE SCIENCE(어문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