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58 0

SNS를 이용하는 여고생의 신체이미지와 인플루언서 모방행동이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SNS를 이용하는 여고생의 신체이미지와 인플루언서 모방행동이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Body Image and Influencer Modeling on Disorderd Eating Behavio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Using SNS
Author
구솔하
Alternative Author(s)
KOO SOLHA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SNS를 이용하는 여고생을 대상으로 신체이미지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과 인플루언서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SNS 이용 여고생의 신체이미지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인플루언서 모방행동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청도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여학생 총 300명이 연구에 참여했고, 이들을 대상으로 신체이미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 인플루언서 모방행동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293부를 바탕으로 SPSS 24 및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차이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를 이용하는 여고생의 BMI에 따른 각 변인의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신체이미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의 절식과 폭식, 섭식통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발견했다. 둘째, SNS를 이용하는 여고생의 신체이미지와 인플루언서 모방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이미지와 모방행동 중 내면화, 인식, 전체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SNS를 이용하는 여고생의 신체이미지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이미지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 전체가 부적으로 유의하다. 넷째, SNS를 이용하는 여고생의 인플루언서 모방행동과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방행동 내면화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 전체, 모방행동 인식과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 전체, 그리고 모방행동 전체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 전체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SNS를 이용하는 여고생의 신체이미지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에 영향을 미칠 때 인플루언서 모방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신체이미지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 간의 관계에서 인플루언서 모방행동은 설명력 21%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플루언서 모방행동의 간접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결과를 통해 한번 더 통계적 유의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SNS를 이용하는 여고생의 신체이미지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 간의 관계에서 인플루언서 모방행동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신체이미지가 낮은 SNS를 이용하는 여고생의 인플루언서 모방행동은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 결과를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여고생의 급식 및 섭식장애 행동을 예방하고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끝으로 SNS를 이용하는 전 연령 및 성별을 대상으로 하는 후속연구의 필요성과 인플루언서 모방행동 연구의 중요성에 관하여 제언을 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ody image on disordered behavior and influencer modeling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SNS,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modeling behavior. For this study, a total of 300 female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ir body image, feeding and eating disorder behaviors, and influencer modeling behaviors were measured for them.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ed questionnaires by offline. Instruments were Body Esteem Scale(BES),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cale(SATAS), and The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KEAT26). Based on 293 copies of the collected data, it was analyzed by using SPSS 24 and Process Macro,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ere perform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each variable according to the BMI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using SN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body image and fasting, binge eating, and eating control of disordered behavior. Second, as a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girls' body image and influencer modeling behaviors using SNS, body image and internalization, recognition, and overall among modeling behavior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Third, as a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girls' body image using SNS and disordered behavior, body image and overall disorder eating behavior are negatively correlated. Fourth, as a result of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r modeling using SNS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ternalization of modeling behavior and overall disordered behavior, recognition of modeling behavior and overall disordered eating behavior, and overall modeling behavior and overall disordered eating behavio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Process Macro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influencer modeling, and it was found that when the body image of high school girls using SNS affects disordered eating behavior, influencer modeling was found to play a partial mediating role with 21% of explanatory powe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confirmed once again through the results of bootstrapping. Based on this, the effect of influencer modeling was confirm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disordered eating behavio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using SNS. Influencer modeling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using SNS with low body image can increase disordered eating behavior. It is expected that this result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prevent and solve high school girls' feeding and eating disorder behavior. Finally, suggestions were made on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targeting all ages and genders using SNS and the importance of influencer modeling research.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08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3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상담심리전공)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