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4 0

대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기수용의 순차매개효과

Title
대학생의 불안정애착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자기수용의 순차매개효과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Insecure Attachment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Author
이유미
Alternative Author(s)
Lee, YuMi
Advisor(s)
조한익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불안정애착(애착회피, 애착불안)과 대인관계문제에 있어서 우울과 자기수용의 순차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 4년제 대학교 대학생 650명을 대상으로 불안정애착, 대인관계문제, 우울, 자기수용 척도로 이루어진 설문지로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비응답 및 무성의하게 응답한 설문지 21부를 제외한 629부를 본 연구의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SPSS 24 및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차이검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불안정애착, 대인관계문제, 우울, 자기수용의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요인 중 통제지배와 자기중심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불안정애착, 대인관계문제, 우울, 자기수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불안정애착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우울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불안정애착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자기수용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생의 불안정애착, 대인관계문제에서 우울과 자기수용이 순차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불안정애착인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서 우울과 자기수용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불안정애착으로 대인관계문제에 어려움을 겪는 대학생을 위해 우울을 낮추고 자기수용을 높이는 교육적, 상담적 개입을 한다면 대인관계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대상자의 절반이 서울, 경기에 위치한 대학생이며 4년제 대학의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 결과를 모든 대학생으로 일반화하기에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변인들을 모두 자기보고식 설문방법으로 측정하여 연구 참여자의 방어적 응답태도나 사회적 바람직성에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여 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between the insecure attachment(attachment avoidance, attachment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questionnaires measuring the insecure attachment,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were completed by 629 college students in Korea. SPSS Version 24.0 was appli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among these variables and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The conclusion deduced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insecure attach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according to gender of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domineering and vindictive among sub-factors of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insecure attach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variables. Third,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partially mediated the insecure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acceptance partially mediated the insecure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Finally, it was found that depression and self-acceptance had a sequential mediating effect in the insecure attach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Limitations to the curr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may b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o all college students. Second, since all the variables in this study were measured by a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they may have been affected by the defensive response attitude or social desirability of the participant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lower depression and increase self-acceptance for insecure attached college students actually help reduce interpersonal problem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83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2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