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9 0

연속담임제 경험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Title
연속담임제 경험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Looping System Experience 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Author
정한솔
Alternative Author(s)
Jung, Han Sol
Advisor(s)
김현수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ooping system experience on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ild's age, work experience, and working hour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379 childcare center teachers with more than 2 years of experien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oping system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As a research tool, a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and two-way ANOVA, main effects analysis were performed,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each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looping system experience affects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the job stress of teachers with looping system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ho did not. Also, in all sub-domains of job stress, the job stress of teachers who are currently experiencing looping system schooling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ho do not have looping system teachers. In other words,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stress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a looping system,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hildcare center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looping system receive more job stres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experience of looping system teachers affects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who experienced looping systeming wa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ho did not. In addition, in all sub-domains of psychological burnout,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teachers who are currently experiencing looping system schooling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ho do not have looping system teacher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more they experience the looping system, the more the nursery school teachers feel psychological burnou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in charge in the process of the looping system experience affecting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it was analyzed that the interaction effect appear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in charge. In both the infant and nursery groups, job stress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looping system than the group without looping system, and the range of change was larger in the infant group. Fourth,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and working hours in the process of looping system experience affecting the job stress of childcare teachers.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in charge, the interaction effect was shown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in charge. In both the infant and nursery groups, psychological burnout was higher in the group with looping system than the group without looping system, and the range of change was larger in the infant group. Sixth,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work experience and working hours in the process of looping system experience affecting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In conclusion,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looping system experience increases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and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in charge. Also, it was found that working experience and working hours did not act as factors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ooping system experience and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at the looping system experience acts as a factor to increase the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and among them, it finds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job stress and psychological burnout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in charge.|본 연구에서는 연속담임제 경험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때 담당 아동 연령, 근무경력, 근무시간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연속담임제란 특성을 고려하여 2년 차 이상의 어린이집 교사 37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t-검증,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단순주효과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속담임제 경험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연속담임제 경험을 한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현재 연속담임제를 경험하고 있는 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연속담임을 하고 있지 않은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연속담임제 유무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가 있으며, 연속담임제를 경험한 어린이집 교사가 직무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연속담임제 경험이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연속담임제 경험을 한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그렇지 않은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심리적 소진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현재 연속담임제를 경험하고 있는 교사의 심리적 소진이 연속담임을 하고 있지 않은 교사의 심리적 소진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연속담임제를 경험할수록 어린이집 교사는 심리적 소진을 많이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연속담임제 경험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담당 아동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담당 아동 연령에 따라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아반, 유아반 두 집단 모두 연속담임제를 하지 않은 집단보다 연속담임제를 한 집단에서 더 높은 직무스트레스가 나타났으며, 특히 영아반 집단에서 그 변화의 폭이 더 컸다. 넷째, 연속담임제 경험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근무경력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연속담임제 경험이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먼저 담당 아동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살펴본 결과 담당 아동 연령에 따라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영아반, 유아반 두 집단 모두 연속담임제를 하지 않은 집단보다 연속담임제를 한 집단에서 더 높은 심리적 소진이 나타났으며, 영아반 집단에서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여섯째, 연속담임제 경험이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근무경력과 근무시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속담임제 경험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을 증가시키며, 담당 아동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근무경력, 근무시간은 연속담임제 경험과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속담임제 경험이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히고, 그 중 담당 아동 연령에 따라 직무스트레스 및 심리적 소진의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아낸 점에서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87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72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