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 0

고용의 질이 임금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Title
고용의 질이 임금근로자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Employment Quality on Self-Rated Health of Wage Workers: A Typological Study on Employment Quality using Latent Class Analysis
Author
임준경
Alternative Author(s)
Lim Jun Gyeong
Advisor(s)
이상민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건강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안녕(安寧)을 의미한다. 건강은 삶의 질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이다. 개인의 건강은 타고난 신체요건과 사회·환경적 요소에 의해 결정된다.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누릴 수 있는 건강 관련 자원이나 기회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개인의 건강 수준은 단순히 ‘차이’가 아니라 ‘불평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한 영역의 불평등이 다른 영역의 불평등인 건강불평등을 낳는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문제의 확대이자 심화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용의 질(employment quality)’ 개념을 통해 다양한 건강 결정요인 중 노동에 집중한다. 노동은 사람이 살아가기 위해서 꼭 해야 하는 행위이지만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영역이기도 하다. 노동시장에서의 위치와 특성이 삶의 기회를 결정지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노동연구는 주로 정규직 여부나 고용안정성의 유무 등을 통해 노동시장을 단순화하여서 분석하였다. 그러나 고용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이와 같이 이분법적으로 노동시장에서의 특성을 분류하기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고용안정성을 비롯하여 경제적 보상, 사회적 권리 보장 등 일자리의 특성을 다차원적으로 평가한 고용의 질을 통해 건강불평등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노동시장에 참여하고 있는 근로자의 근로 유형을 파악하고, 고용의 질에 따른 건강불평등을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노동패널조사의 2020년 자료를 이용해서 고용안정성, 보상, 근로자 권리, 노동시간, 직업훈련, 조직행동, 대인권력관계 등을 통해 고용의 질을 측정하였고, 잠재집단분석을 통해 고용의 질을 유형화하였다. 다음으로 고용의 질 유형에 따른 근로자의 건강 수준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용의 질과 근로자의 건강 간의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추가로 살펴보았다. 고용의 질 유형화를 위한 잠재집단분석 결과, 고용의 질에 따라 안정적인 근로 유형인 안정-표준고용형, 안정-저보상형, 안정-고노동형과 불안정적인 근로 유형인 불안정-표준고용형, 불안정-임시형, 불안정-취약형, 총 여섯 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후 고용의 질 유형에 따라 주관적 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행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가장 좋은 고용의 질 수준을 가진 유형인 안정-표준고용형에 비해서 모든 근로 유형이 주관적 건강이 좋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다. 낮은 수준의 고용의 질 항목을 많이 가진 집단일수록 주관적 건강이 좋을 가능성이 낮았고, 가장 열악한 고용의 질 유형인 불안정-취약형의 주관적 건강이 가장 좋지 못하였다. 고용의 질 유형에 따른 건강수준 차이의 성차를 보기 위하여 성별로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남성근로자 집단에서는 모든 유형이, 여성근로자 집단에서는 불안정-취약형만이 유의미하게 기준 유형인 안정-표준고용형에 비해서 주관적 건강이 좋을 가능성이 낮았다. 고용의 질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였을 때 남성근로자 집단이 여성근로자 집단에 비해서 고용의 질 유형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나왔다. 본 연구는 기존의 이분법적 노동시장 구조에서 벗어나 고용의 질 유형화를 통해 노동시장의 이질적인 근로 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고용형태와 같은 단순 변수 중심의 연구에서 벗어나 다차원적 개념인 고용의 질을 통한 건강불평등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더 나아가 건강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해 고용의 질을 이용한 사회·정책적 논의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life. Individual health is determined by innate physical requirements and socioeconomic status. Health inequality stems from other types of inequalities and it is a prime case of the expansion and exacerbation of societal issues. This study focuses on ‘employment quality’ among various health determinants. Employment quality is a multidimensional evaluation of job characteristics including job stability, economic compensation and guarantee of social rights in labor market. Labor is essential for livelihood but it also reproduces socioeconomic inequality as one’s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determines life opportunities. This study is to check a link between employment quality and the health inequality of wage workers in Korea. Using the data from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health status is subjectively assessed by the workers themselves. Employment quality is measured by employment stability, compensation, workers' rights, working hours, vocational training, organizational behavior, and relationships. This study uses Latent Class Analysis (LCA) to categorize employment quality,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BLR)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health status among employment quality typology.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s if there is gender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quality and workers' health. As a result, there is a health gap among workers based on the employment quality typology. The LCA determined six types of employment quality categories: 'stable-SER-like', 'stable-low reward', 'stable-hard work', 'precarious-SER-like', 'precarious-unsustainable' and 'precarious-intensive'. With BLR, this study confirms that poor employment quality is associated with poor health status. Compared to ‘stable-SER-like’ type, which has the highest-level of employment quality, the other categories have comparatively lower health status. The ‘precarious-intensive’ type, which has the poorest employment quality, has the worst self-rated health. Furthermore, the difference in health status across the types of employment quality is much larger in male workers than female workers. Compared to ‘stable-SER-like’ type, for male workers, all types have lower self-rated health but for female workers, only the ‘precarious-intensive’ type has lower health. This study analyzes heterogeneous types in the labor market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dichotomous labor market structure and categorizing employment quality. Finding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health inequality through a multidimensional concept of employment quality, away from studies centered on simple variables such as employment type.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social and policy discussions using employment quality to solve the health inequality problem.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55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4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SOCIOLOGY(사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