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2 0

퇴계학파의 경(敬)사상을 기준으로 한 <의암별제> 춤 구조 분석

Title
퇴계학파의 경(敬)사상을 기준으로 한 <의암별제> 춤 구조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Dance Structure of Performance Based on The Kyeong(敬) Philosophy of Toegye School
Author
김지혜
Alternative Author(s)
Kim, Ji Hye
Advisor(s)
문영철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from a viewpoint of existential iconography of “Toegyeology(퇴계학)”, and overlooked the worldview by examining “Toegye’s Seong-hak-sip-do(성학십도)”, and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ance, “Jeong-joong-dong”, “Joong-yong”, Heaviness, and “Shin-myeong” based on “Kyeong(respect)” of “Kyeong-jae-jam-jip-seol (경제잠집설)” writtend by Sangjung Lee.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 the dance structures of “Je-eui-mu(제의무)” of “Eui-am-byeol-je(의암별제),” “Jin-ju-geom-mu(진주검무),” “Po-gu-rak-mu (포구락무)” as an empirical example to find the “Kyeong(respect)” ideal inhereted in Korean dance, and the aethetic iconography and social role of Korean dance were assessed to reestablish the value of Korean dance from a viewpoint of Toegyeology mentioned above. Precedent researches of Korean dance combined Toegyeology discovered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motion at the root of movement by relying on “Sa-dan’s” virtue of “Sa-dan-chil-jung” theory. In contrast to these preceding researches, this study focuses on epistemology based on the worldview of Toegye studies in order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the world and existence, and to comprehend the features of Korean dance. Furthermore, while the precedent research about “Eui-am-byeol-je” categorized the features of its ideological source with “Poong-ryu”, this research made an assessment that analyzing and discovering the aesthetic qualities from the ritual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in the study of “Eui-am-byul-je” is valid. And this study mentioned to understand the correlation between existing research about “Eui-am-byul-je” and “Poong-ryu” by revealing the righteousness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Kyeong of “Nam-myung School”. The research was produced to help comprehending the above study by analyzing “Seong-hak-sip-do” and “Kyeong-jae-jam-jip-seol,” and the theories of first and second generations of Korean dance theorists, which defined the theoretical features of Korean dance, were analyzed in order to deduce the qualities of Korean dance on contemplation and vitality. As well, this study understood that the vertical space of the sky and the ground was established by the “Absolute Space” of the sky of “Jon-deok-seong-je-myeong(존덕성제명)” before discussing Korean dance based on Toegyeology, Specifically, the “Absolute Space” of the sky represented in Toegyeology has no time change and is expressed as emptiness. The middle space and low land where people live is represented as a horizontal temporal feature which involves variation. The variation time is presided by the “Kyeong(respect)” from the heart and “Eui(righteousness)” is revealing of “Ri(logic)” that led by the “Kyeong(respect).” Kyeong is the mental condition which ingrain benevolence of heaven. When righteous activities, which carry heavy responsibility, are expressed through the heart led by “Kyeong(respect)”, the existence in a low area can ascend to an absolute space where the Lord of the sky is placed. On the premise that the above structurization of spatial division and temporal variation, the features of Jungjoong-dong, Joong-yong, Heaviness, and “Shin-myeong” were evaluated by “Kyeong-jae-jam-jip-seol” wittened by Sangjung Lee, and the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Jeong-joong-dong” implies to the world’s paradox and circulation as a result of vertical spatiality and becoming a divine being of existence. And “Joong-yong” refers presiding over the moment of change by the righteousness of the mind and the conduct without viciousness since Kyeong is inherented in the mind based on benevolence. Heaviness takes the responsibility of the problem in the world, realizes the benevolence, and becomes mechanism that forms a paradoxical reversal of Jeong-joong-dong. And Heaviness is the same as a righteous act of Joong-yong. As well, “Shin-myeong” is to acquire order by expressing “Ri(logic)” with regard to the problem of the world, and similar to liveliness in a vrituous circle of life, which is result of that the preceding contents are naturally created. Korean dance aims the “Hyun-hyun(clear expression)” of “Ri(logic)” and equates the completion of dancer’s morality and aesthetic excellence. Inherence of “Kyeong(respect)” means to set a goal of “Hu-ryeong-ji-sim” and “Hyun-hyun(clear expression)” of “Ri(logic)” represents the reforming of existence as a identity by the absence of “Mu-geuk” of “Tae-geuk-do” which is diagram in “Seong-hak-sip-do(성학십도).” Dance is a vanishing art that reminds us the nature of existence itself, and the absence of existence helps us recognize the finitude of life, the unsubstantial figure of time, as well as compassion for others. Based on that responsibility, the realization of benevolence enables self-denial by emptying of a vicious desire, and this leads to solve social problems by self-confidence which paradoxically enables to make immortality by obtaining the life of community. Furthermore, with this principle, Korean dance plays religious and political role in art. The empirical representation of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considered above might be validated by analyzing the dance structure of “Eui-am-byeol-je.” “Eui-am-byeol-je” is a female-centered ritual ceremony which has historical meaning, and can be compared to the righteousness of “Ri(logic)” since it guaranteed life through death. The representation of the “Absolute Place”, where the God of Nongae resides, is presented in the dancers’ line and time-restricted movement in “Je-eui-mu” of “Eui-am-byeol-je.” Additionally, the change of division without extreme movement is correspond to the principle which starts with “Moo-gek-ee-tae-gek” and is connected to “Tae-gek-dong-jeong” of “Tae-gek-do” in “Seong-hak-sip-do.” In “Jin-ju-geom-mu,” the usage of the sword, symbolized by the protection of death and life, was explained as the consequence of self-denial that reflects responsibility of benevolence and righteousness on the change of the time. Emptiness, specifically self-denial of absence, is revealed by “Son-sa-wi” while dropping a hand before holding a sword in Ip-choom-sa-wi. And also, the modification of line at the beginning and ending of “Jin-ju-geom-mu” supports realization of “Ri(logic)” through the revealing of righteousness. Changing from extreme movement to Jung(tranquility) corresponds to the principle of “Dong-geuk-i-jeong” in “Seong-hak-sip-do.” Lastly, “Jin-ju-po-gu-rak-mu” contains the absoluteness of principle and unceasing efforts for overcoming obstacles and conscious of Kyeong, tolerance of administrator. This research also considered the implications of a strict and absolute awareness that the status of existence is decided by success or failure while the discipline is inherented through the playing. An analysis of the philosophical argument and dance structure shows that vanishing art of dance lead to the introspection about existence of humanity and implicate absolute value. It is hoped that research based on Toegyeology will provide the platform on which Korean dance can survive even in the era of diversification by presenting the unchanging value of Korean dance. Moreover, it is expected that Korean dance can be remained as itself that presents answers to the problems of the world that can not be solved based on the principle, and plays a social role of arts, by giving standard of right of truth.| 본 연구에서는 한국 춤의 특성을 퇴계학의 존재론적 성화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퇴계의 『성학십도(星學十圖)』를 살펴 세계관을 조망하는 한편 이상정의『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의 경(敬)을 기준으로 한국 춤의 특성인 정중동, 중용, 무거움, 신명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 실증적 예시로 <의암별제>의 <제의무(祭儀舞)>, <진주검무>, <진주 포구락무>의 춤구조를 분석하여 한국 춤에 내재된 경(敬) 사상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퇴계학의 시각으로 바라본 한국 춤의 예술적 성화(聖化)와 그 사회적 역할에 관하여 고찰하며 한국 춤의 가치를 재정립하고자 하였다. 퇴계학을 접목한 기존의 한국 춤 연구는 퇴계의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을 중심으로 움직임의 근저에 자리한 움직임의 원인과 특성을 사단(四端)의 덕목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앞선 연구에서 논의하지 않았던 퇴계학의 세계관에 입각한 인식론에 집중하여 세계와 존재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고 한국 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또한 작품분석에서 다루는 <의암별제>의 연구와 관련하여서는 기존의 연구가 그 사상적 근원을 풍류(風流)와 연관하여 특성을 구분하였다면, 여기서는 <의암별제>에 성리학의 이념에 걸맞은 제의(祭儀)가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성리학의 관점에서 미적 특성을 찾아내고 분석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기존 연구의 <의암별제>와 풍류와의 상관성을 남명학파의 경(敬) 의식을 기반으로 한 의(義)의 발현으로 이해할 것을 거론하였다. 이상 연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성학십도(星學十圖)』와 『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을 살펴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였고, 한국 춤의 이론적 특성을 규정한 1∼2세대 한국 춤 이론가들의 이론을 살펴 관조(觀照)와 생명성(生命性)에 관한 한국 춤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퇴계학을 기준으로 한국 춤을 논의하기에 앞서 존덕성제명(尊德性齊銘)의 하늘의 절대적 공간에 의거하여 하늘과 땅의 수직적 공간이 설정됨을 이해하였다. 구체적으로 퇴계학에서 상정하는 하늘의 절대공간은 시간의 변화가 없으며 허(虛)로 표상된다. 사람이 거(居)하는 중간과 낮은 땅은 변화를 수반하는 수평의 시간성으로 표상된다. 변화의 시간을 주재하는 것이 곧 마음의 경(敬)이며 경(敬)의 주재함으로 인한 리(理)의 발현이 의(義)이다. 경(敬)은 하늘의 인애(仁愛)를 마음에 내재한 상태이다. 마음을 경(敬)이 주재하여 무거운 책임감인 의로운 행위가 발현되었을 때 낮은곳에 처한 존재는 절대공간이자 하늘의 상제(上帝)가 위치한 공간으로 올라갈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공간적 분별과 시간적 변화의 구조화를 전제로 이상정의 『경재잠집설(敬齋箴集說)』에 기준하여 정중동, 중용, 무거움, 신명의 각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정중동은 수직적 공간성과 존재의 성화로 인한 세계의 역설과 순환을 의미한다. 중용은 인애(仁愛)를 바탕으로 경(敬)이 마음에 내재되어 사특함이 없는 마음과 행위의 의로움을 통해 변화의 시간을 주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무거움은 세계의 문제에 대하여 책임을 지고 인애(仁愛)를 실현하는 것이며 정중동의 역설적 반전을 이루는 기제가 된다. 그리고 무거움은 중용의 의로운 행위와도 같다. 신명은 세계의 문제에 대하여 이(理)가 발현되어 질서를 획득하는 것이며 앞선 내용들이 저절로 이루어져 생명이 선순환(善循環)되는 약동(躍動)과 같다. 한국 춤은 이(理)의 현현(顯現)을 지향하며 춤추는 자의 덕성(德性)의 완성과 예술적 완성도를 동일시한다. 경(敬)을 내재한다는 것은 허령지심(虛靈至心)에 지향점을 두는 것이며, 리(理)의 현현(顯顯)은 곧 [태극도(太極圖)]의 무극(無極)인 없음을 정체성으로 할 때 있음의 존재로 거듭남을 의미한다. 춤은 사라지는 예술로써 그 자체로 존재의 본질을 상기하게 하는데, 존재의 없음은 생(生)의 유한성과 시간의 실체 없음을 깨닫고 타인에 대한 측은지심(惻隱之心)을 우러나오게 한다. 그 책임감을 바탕으로 인애(仁愛)의 실현이 사특한 욕망의 비움에 의한 자기 부정(自己 否定)을 가능케 하고, 이는 자기 확신(自己 確信)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소하는 데까지 이르러 공동체의 생(生)을 획득하며 이어나가는 역설적인 생명을 가능케 한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로 한국 춤이 예술의 종교적, 정치적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앞서 고찰한 원리와 특성들의 실증적 발현은 <의암별제>의 춤 구조 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의암별제>는 여성이 중심이 되는 제의(祭儀)로 시대적 의미를 지니고, 죽음을 통해 생명을 담보하였다는 점에서 이(理)의 의로움에 견줄 수 있다. 의암별제의 <제의무(祭儀舞)>에는 논개의 신(神)이 거(居)하는 절대 공간의 표상이 무용수의 대열과 시간성이 제한된 움직임에서 드러난다. 또한, 극한의 움직임 동작이 없이 분화되는 변화는 『성학십도(星學十圖)』 [태극도(太極圖)]의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에서 태극동이생양(太極動而生陽)으로 이어지는 원리에 부합한다. <진주검무>에서는 죽음과 생명의 수호로 대변되는 검(劍)을 사용하는 것이 시간의 변화에 발현되는 인애(仁愛)의 책임과 의로움을 구현하는 자기 부정(自己 否定)의 결과임을 설명하였다. 비움, 즉 없음의 자기 부정(自己 否定)은 검(劍)을 들기 전 입춤사위의 떨구는 손사위에 드러난다. 그리고 의로움의 발현을 통해 이(理)가 구현되는 것이 <진주검무>의 시작과 끝의 대열 변화를 통해 드러남을 확인하였다. 극한의 움직임이 정(靜)의 움직임으로 매듭을 짓는 것은 『성학십도(星學十圖)』의 동극이정(動極而靜)의 원리에 부합한다. 마지막으로 <진주 포구락무>는 규율의 절대성과 장애물에 대한 부단한 노력과 위정자의 관용의 경(敬) 의식을 내포하고 있다. 놀이를 통해 규율을 내재하는 한편 그 성공 여부에 따라서 존재의 위상이 결정되는 엄중하면서도 절대적 인식을 함의하는 것 또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철학적 논증과 춤 구조에 관한 분석은 사라지는 춤 예술이 인간의 존재성에 관한 성찰을 일깨우며 절대적인 가치를 함의하고 있음을 드러낸다. 퇴계학에 근거한 연구를 통해 한국 춤의 변하지 않는 가치를 제시함으로써 다변화하는 시대에도 한국 춤이 온전히 존속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란다. 더하여 한국 춤이 진리의 도리(道理)를 기준으로 풀리지 않는 세계의 문제 앞에 해답을 제시하고 예술의 사회적 역할을 다하는 한국 춤으로 존속될 수 있기를 바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41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39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DANCE(무용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