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6 0

지체장애인의 돌봄로봇 사용의도 영향요인

Title
지체장애인의 돌봄로봇 사용의도 영향요인
Other Titles
Factors Associated with Intention to Use Care Robots i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uthor
정상희
Alternative Author(s)
Jung, Sang Hee
Advisor(s)
신용순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거동이 불편한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돌봄로봇에 대한 사용의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시에 소재한 일개 종합병원에 내원하여 진료, 물리치료, 입원치료를 받는 만 19세 이상의 지체장애인 183명을 대상으로 2022년 1월 15일부터 2022년 3월 18일까지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 163부를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형 수정바델지수, 한국판 일반적 자기효능감 도구, 돌봄부담감 측정도구, 계획된 행위이론의 태도 / 주관적 규범 / 지각된 행위통제 / 의도 측정도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성이 137명(84.0%), 65세 이상이 119명(73.0%)로 남성 노인이 많았으며, 평균 나이는 70.71±13.16세로 나타났다. 돌봄제공자가 있는 사람이 154명(94.5%)로 대부분이었으며, 돌봄제공자가 배우자인 경우가 111명(72.1%)로 가장 많았다. 장애등급이 있는 사람은 134명(82.2%)으로 나타났다. 2. 돌봄로봇 사용의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94±0.99점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각 변수의 평균 점수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은 60.7±28.87점(0점에서 100점의 범위), 자기효능감은 2.63±0.66점(1점에서 4점의 범위), 대상자가 인식하는 돌봄제공자의 돌봄부담감은 3.04±0.86점(1점에서 5점의 범위)으로 나타났다. 돌봄로봇 사용에 대한 태도는 4.08±0.87점, 돌봄로봇 사용에 대한 주관적 규범은 3.78±1.01점, 돌봄로봇 사용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는 3.62±1.04점(각 1점에서 5점의 범위)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돌봄로봇 사용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t=2.80, p=.006), 돌봄제공자의 유무(t=2.01, p=.046), 돌봄제공자의 유형(F=3.15, p=.027), 장기요양등급 유무(t=2.54, p=.012) 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돌봄로봇 사용의도는 일상생활 수행능력(r=-.18, p=.026), 자기효능감 (r=-.29, p<.001), 대상자가 인식하는 돌봄제공자의 돌봄부담감(r=.39, p<.001), 돌봄로봇 사용에 대한 태도(r=.56, p<.001), 주관적 규범(r=.61, p<.001), 지각된 행위통제(r=.57, p<.001), 연령(r=-.21, p=.007)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5. 돌봄로봇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돌봄로봇 사용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β=.31, p<.001), 대상자가 인식하는 돌봄제공자의 돌봄부담감 (β=.28, p=.001), 돌봄로봇 사용에 대한 태도(β=.25, p=.001), 돌봄로봇 사용에 대한 주관적 규범(β=.21, p=.007), 연령(β=-.16, p=.042)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7.5%였다(Adj.R2=.575, F=14.70, p<.001). 본 연구 결과, 돌봄로봇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돌봄로봇 사용에 대한 지각된 행위통제, 대상자가 인식하는 돌봄제공자의 돌봄부담감, 돌봄로봇 사용에 대한 태도, 돌봄로봇 사용에 대한 주관적 규범, 연령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돌봄로봇에 대한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대상자가 인식하는 돌봄제공자의 돌봄부담감의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가 돌봄로봇 사용에 대한 가족이나 친구의 지지와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며, 돌봄로봇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홍보나 교육, 체험 등의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돌봄로봇의 개발 및 보완과 활성화에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48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35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CLINICAL NURSING[S](임상간호대학원) > DEPARTMENT OF CLINICAL NURSING(임상간호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