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6 0

직업적성 예측을 위한 명리 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

Title
직업적성 예측을 위한 명리 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Occupational aptitude Prediction by Application of Myungri
Author
조민경
Advisor(s)
박정해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to verify whether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GyeokGuk and job selection and between symptoms and social environment adap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tries to approach empirically whether there is correlation among GyeokGuk, satisfaction of job selection and turnover intention.   Classic books of Myeongri variously interpret and explain occupations focusing on civil servants and merchants depending on GyeokGuk. Current theory of GyeokGuk is based on SaengKeug about the Five Elements of Ilgan and Wolji. Monthly Ordinance of birth is an important factor to set an individual Gyeok. There are ways to take Gyeok, in which BonGi of Wolji is taken and Tuganji of Wolji is taken. Since if Wolji is BenShen it cannot be Gyeok, Gyeok must be taken by looking for whether there is Tugan and Hoeji(會支=meeting at JiJi) of JaeGwanSalSig in Saju. In 『Japyeonjjinjeon』, it is expressed that the role of Gyeok, taken in this way, is the most important string when working with ChuNyu(樞紐=core, key) of destiny. Working is a social activity with life and individual perspective is the most important part.   This study shows that since the theory of GyeokGuk has correlation with a viewpoint of modern occupational theory it is possible to lead to social values when choosing a job.   In addition, this survey could be data to examine that Gyeok has a correlation with job selection and identify effects of symptoms on social environment adaptation. In order to research correlation between Gyeok and occupation, this study derives results as follows by us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method by classifying and substituting major classification of modern occupational classification and featured occupations of Gyeok.   First, there is not a high degree of conformity between GyeokGuk and the jobs of middle-aged people in vocational activities. The reason is that this study utilized vocational classification based on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 to make the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o that its occupational features include one or more factors. Therefore, due to dispersion of occupational groups, the conformity degree of jobs shows agreement in JeongJaeGyeok, PyeonJaeGyeok, and PyeonGwanGyeok.   Second, a person who selects his or her job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Gyeok shows higher job satisfaction. However, as a result of basic statistical analysis, when analyzing 10 occupational groups and GyeokGuk, SikShinGyeok and RokGupGyeok are included in two occupational groups. PyeonInGyeok and WolGupGyeok are not included in occupational groups, and job satisfaction appears different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s.   Third, a person who does not select his or her job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Gyeok shows a high turnover tendency. It means that job satisfaction has a high correlation with turnover.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y age and gender. As age is older, they selected occupational groups with high group conformity and women showe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men.   Fourth, people, who were born in April, May, and June of the lunar calendar with the hottest Monthly Ordinance of birth and in October, November, and December of the lunar calendar with the coldest Monthly Ordinance of birth, should have symptoms. When in the hottest Monthly Ordinance, GyeShu would be filled in CheonGan and in the coldest Monthly Ordinance, ByeongHwa would be filled in CheonGan, the Social Environment Adaptation, which is power of harmony and cooperation in occupational activities will be increased because the Climate becomes harmonious.   Fifth, the needs of symptoms appear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s. As a result of analyzing willingness power of harmony and cooperation of each occupational group by using basic statistical analysis, occupational groups which require professional skills above bachelor’s degrees or higher, which are the 3rd and 4th skill levels appear to be low in the social environment adaptation. In addition, sales people and simple labor workers, who are at the first skill level, appear to have a very high degree of adaptation to the social environment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GyeokGuk has a correlation with job and it could affect individual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 occupational activities. In addition, symptoms have correlation with the social environment adaptation and it appears to be different for each occupational group. However,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job selection and GyeokGuk but factors of age and gender could also affect it. Finally, a lot of support and research should be followed so that continuous and practical research on GyeokGuk and occupational activities will be conducted consistently,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 본 연구는 개인의 격국에 따른 직업 선택과의 상관성과 조후와 사회환경적응도와 상관성이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격국과 직업 선택의 만족도가 이직 의도와 관계가 있는지를 실증적 연구로 접근을 시도한다. 고전 명리서는 격국에 따른 직업을 관직과 상인에 대하여 다양하게 해석하여 설명한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격국론은 일간과 월지의 오행에 대한 생극 관계로 이루어지며 태어난 월령이 개인의 격을 정하는 데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격을 취하는 방법은 월지의 본기를 취하는 방법, 월지의 투간지를 취하는 방법이 있고 월지가 본 신일 경우는 격이 될 수 없으니 반드시 사주에 재․관․살․식의 투간과 회지(會支=지지에서 회합)의 유무를 보아 격을 잡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잡은 격의 역할은 팔자의 추뉴(樞紐=중추, 관건)로 일을 할 때 가장 중요한 끈이라고『자평진전』에는 표현한다. 일을 한다는 것은 살아가는 사회적 활동으로 개인이 가지는 가치관이 제일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격국론이 현대적 직업론의 관점과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직업 선택 시 사회적 가치관으로 이어짐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격과 직업 선택은 상관성이 있는 것과 조후가 사회환경적응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피기 위해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한다. 격과 직업과의 상관성 연구를 위해 직업군과 격의 선택은 현대 직업분류의 대분류와 격의 특징적 직업을 분류 대입하여 기초통계분석 방법으로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직업 활동을 하는 중․장년은 격국과 직업이 일치성이 높지 않았다. 그 이유는 직업의 분류를 한국표준직업분류의 대분류로 적용하여 직업을 구분하므로 직업적 특징이 한 가지 이상으로 분류된 부분이 있다. 그러므로 직업군의 분산으로 인해 격국과 직업의 일치도는 정재격과 편재격, 편관격이 일치로 나타난다. 둘째, 격의 특성에 따라 직업을 선택한 사람은 직업 만족도가 높다. 그러나 기초통계분석 결과 10개의 직업군과 격국을 분석하였을 때 식신격과 록겁격은 두 가지의 직업군에 속하였고 편인격과 월겁격은 직업군에 속하지 않으며 직업군별로 직업에 대한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셋째, 자신의 격대로 직업 선택을 하지 않은 사람은 이직하고자 하는 성향이 높다. 이는 직업 만족도와 이직과의 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연령과 남녀에 따라 차이가 있다. 연령이 많을수록 조직에 순응도가 높은 직업군을 선택하였고 여성이 남성보다 직업 만족도가 높음을 나타낸다. 넷째, 태어난 월령이 가장 조열한 음력 4월, 5월, 6월과 가장 한랭한 음력 10월, 11월, 12월에 태어난 사람은 조후가 필요하다. 조열한 계절은 천간에 계수, 한랭한 계절은 천간에 병화가 있으면 조화가 되어 직업 활동 시 조화력과 협조력인 사회환경적응도가 높게 나타난다. 다섯째, 직업군별로 조후의 필요성이 다르게 나타난다. 기초통계분석을 통해 직업군별 조화력과 협조력의 의지를 분석한 결과 제3, 제4 직능수준인 학사 이상 전문가적인 능력을 요하는 직업군은 사회환경적응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제1 직능수준의 판매종사자와 단순 노무 종사자는 사회환경적응도가 매우 높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통해 직업과 격국은 상관성이 있다는 것과 직업 활동시 개인의 만족도와 이직에도 영향이 있다. 또한 조후가 사회환경적응도와 관계가 있으며 이는 직업군별로 다르다는 것이다. 다만 직업 선택과 격국이 관계성이 높으나 연령과 성별에 따라서도 영향이 있다. 끝으로 격국과 직업 활동 분야에 대한 지속적이고 실제적인 연구가 일관성 있고 객관적이며 과학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많은 이들의 조력과 연구가 따라야 할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635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33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CONVERGENCE[E](융합산업대학원) > DEPARTMENT OF ORIENTAL CULTURE(동양문화학과) > Theses(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