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 0

비진학 후기 청소년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목표이탈의 관계

Title
비진학 후기 청소년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목표이탈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Goal Disengagement in Late Adolescents Who Do Not Attend College :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Author
이은주
Advisor(s)
하정희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Late adolescence is a time when psychological and economic independence is prepared for the 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and transition to adulthood. In Korea, individuals and society's interest in career goals during this period remains only in college admission. In this situation, it was intended to confirm the difficulties that late-stage adolescents who did not attend college experienced in exploring career goals and how to solve them.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control were assumed and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goal disengagement in late adolescents who do not attend college. For the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20 to 26 years of age, who are teenagers who are not attend college, and 381 of these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measures used in the study were endurance measures for the korean-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14, career goal disengagement scale,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scale, and social support scale.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7.0 program and Process Macro.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was confirmed in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goal disengagement in late adolescents who do not attend college.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and career goal disengagement.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depends on the level of social support in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goal disengag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current situation where career-related studies in late adolescence are mainly conducted by college students, the deviation from career goals of in late adolescents who do not attend college was examined. This suggests that it can be an opportunity to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career goal disengagement at the counseling site and to evaluate whether career goal disengagement is a desirable strategy. Second, it is possible to review the types of career goal feedback that in late adolescents who do not attend college encounter and to review how to integrate and interpret feedback. This has implications in that it can help you appropriately respond to negative career goal feedback. Third, it is meaningful in that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related variables were empirically revealed in the situation of late adolescents who do not attend colleg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for subsequent research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 후기 청소년기는 자아정체성 확립과 성인기로의 이행을 위해 심리·경제적 독립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우리나라에서 이 시기의 진로목표에 대한 개인과 사회의 관심은 오로지 대학입시에만 머물러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학에 진학하지 않은 후기 청소년들이 진로목표 탐색과 수행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과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진학 후기 청소년들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목표이탈의 관계에서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가정하고, 이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비진학 후기 청소년인 20세에서 26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381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척도는 한국형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척도, 진로목표이탈 척도,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가 사용되었다. 설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IBM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목표이탈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과 진로목표이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목표이탈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의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변화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기 청소년기 진로 관련 연구들이 대학생 위주로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비진학 후기 청소년들의 진로목표이탈에 대해 살펴보았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상담장면에서 진로목표이탈에 영향을 미친 요소를 탐색하도록 돕고 진로목표이탈이 바람직한 전략인지 아닌지를 스스로 평가하도록 돕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데 시사점이 있다. 둘째, 비진학 후기 청소년이 접하는 진로목표피드백의 유형이 어떤 것인지를 검토하고 피드백에 대해 어떻게 통합하고 해석하는지 살펴보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부정적 진로목표피드백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게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진로관련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를 비진학 후기 청소년의 상황에서 경험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909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312
Appears in Collections:
ETC[S]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