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75 0

코로나 이후 변화된 MZ세대의 주거선호 특성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

Title
코로나 이후 변화된 MZ세대의 주거선호 특성 연구 - 수도권을 중심으로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hanging housing preferences of millennials and gen Z after COVID-19 -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Author
최지우
Alternative Author(s)
Jiwoo, Choi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Abstract A Study on the changing housing preferences of millennials and gen Z after COVID-19 -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Jiwoo, Choi Dept. of Real Estate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Lee, Myung Hun, Ph.D. COVID-19 has made the expected future earlier in various fields. Non-contact(Untact), AI, Internet of Thing (IoT), Metabusetc., is a change that will occur in the future, but it suddenly exists in the present. People were not able to adapt the unexpected situation at first, but they followed at a relatively rapid pace soon and companies are also quickly starting to come up with countermeasures. In particular, in Korea,, the telecommuting of office workers is not common except for special jobs, however, due to COVID-19, office workers usually work at home and perform their work through video conferences. Unlike concerns that telecommuting would be less efficient, companies have had the same effects as before, and currently social distance is over and returning to everyday life, therefore, our lives has changed as more and more companies are conducting autonomous telecommuting. As students continue to have non-face-to-face education, it was changing from education to learning, and now it have been changed back to face-to-face classes again, however, non-face-to-face education is also effective, and a system is being settled to harmoniz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As outdoor and indoor activities are restricted, more people exercise at home rather than exercise sports centers such as gyms, and YouTube videos for the people do Home training are tremendously increasing. In the past, housing used to play a major role for the rest space, but it became a place for work, education, hobby, exercise, and cooking. The house that played the most important role for the family and rest was more centered on various roles than before, and the standard for choosing housing have changed accordingly. In particular, the MZ generation, which has emerged as the most important target in the marketing industry, is actively investing in real estate and stocks from the 20s, unlike the previous generation. Therefore the word was created “Youngkkeul” that means to attract their soul to invest.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Z generation changed their lifestyle before and after COVID 19, and how they changed in residential choices accordingly. The implication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he effects on housing choice for MZ generation after COVID-19 are as follows. First, after COVID 19, the standard for choosing the structure of the house will be changed due to the change of various lifestyles. Through COVID19, we had to stay in the house. There was no face-to-face exchange between countries, work, family, and friends. People had to spend most of their days at home, living a completely different life: The Age of All in Room has come. Therefore, they have changed their standards in choosing the structure of the house. Second, after COVID 19, the standard for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house will be changed due to the changes in various lifestyle. People who considered the distance from their work and the educational academies when choosing a house have a completely different standard in the age of non-face-to-face and non-contact. Companies that have started working from telecommuting to commuting will find it difficult and confusing to completely change their standards, however, more companies have chosen the system to work at home than before, and since there is a possibility of another epidemic, standards have changed when choosing a new house. For example, those who thought it was important to have a gym or cafe around the house even if the size of the house was small, prefer a house with a veranda, enjoying all this in the house without going to the park or a cafe. As confirmed in the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hanged residential type and a residential system based on the changed standard to create a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MZ generation. A house is not a property that can be made in a short time. Since long-term systematic planning and research on people is needed, it is time to continue research and change for the future. |국 문 초 록 코로나19는 모든 분야에서 미래를 앞당겼다. 언택트, AI, IoT(Internet of Thing), 메타버스 등 미래에 일어날 변화를 갑작스럽게 현재로 가져왔다. 예상하지 못했던 현실에 처음에는 모두가 속도를 맞추지 못했고 적응하기가 어려웠지만 사람들은 빠른 속도로 적응해갔고 기업들도 빠르게 대응책을 내놓기 시작했다. 특히나 우리나라에서는 직장인들의 재택근무는 특수한 업종을 제외하고는 일반화되기 어려웠는데 코로나로 인해 재택근무가 일상화되었고 화상회의로 업무를 이어갔다. 또한 재택근무가 업무 효율을 낮출 것이라는 우려와는 달리 기업들은 예전과 다름없는 결과를 마주하게 되었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끝나고 일상화로 돌아가고 있는 지금에도 자율적 재택근무를 실시하는 기업들이 늘어나면서 우리 삶의 형태를 바꾸었다. 아이들도 비대면 교육이 지속되면서 교육에서 학습으로 변화해가고 있고 다시 대면수업으로 바뀌었지만 비대면이 효과적인 교육 부문에서는 지속적으로 이어지면서 대면과 비대면 수업을 조화롭게 구성해 나가는 시스템이 정착되고 있다. 야외 활동이 자제되고 실내공간에 제약이 지속되면서 헬스장 등 운동센터보다는 집에서 운동하는 사람들이 늘어났고 홈트족들을 위한 유투브 동영상은 폭발적인 증가폭을 기록했다. 예전에는 휴식의 공간이 가장 큰 역할을 했던 주거의 형태가 일, 교육, 취미, 운동, 요리 등을 하는 곳이 되면서 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었다. 휴식, 가족을 위한 기능이 가장 중요했던 집이 이전과는 이전과는 다른 요인들이 더 중심이 되었고 이에 따라 주거를 선택하는 기준도 변화하게 되었다. 특히 마케팅 업계에 가장 중요한 대상으로 부각한 MZ세대는 예전 세대와는 달리 20대부터 부동산, 주식 등 투자에 ‘영끌’이라는 단어가 생길만큼 적극적인 세대이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MZ세대가 코로나19 전과 이후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와 그로 인해 어떻게 주거선택이 변화했는지 살펴보았고 코로나19 이후 MZ세대 주거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를 겪은 이후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인해 실거주 집 구조를 선택하는데 있어 기준이 변화할 것이다. 코로나 팬더믹을 겪으면서 우리는 강제로 집 안에서 지내야했다. 국가간의 교류는 물론 직장도, 가족도, 친구간의 대면 교류는 할 수 없었다. 일상이 완전히 달라지는 삶을 살면서 사람들은 하루 시간의 대부분을 집에서 보냈다. All in Room의 시대가 열린 것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실거주 집 구조를 선택하는데 있어 기준이 변화하게 되었다. 둘째, 코로나 19를 겪은 이후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실거주 집 위치를 선택하는데 있어 기준이 변화할 것이다. 그 동안 집을 선택할 때 직장과의 거리, 교육으로 인한 학원가 중심 등을 고려했던 사람들은 비대면, 언택트 시대가 되면서 완전히 다른 기준을 갖게 되었다. 물론 재택근무에서 다시 출퇴근 근무로 재개된 기업들에 의해 기준이 완전히 바뀌긴 어렵고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지만 예전에 비해 재택근무를 선택하는 기업들이 늘어났고 또 다른 전염병의 가능성이 대두되는 지금 새로운 집을 선택할 때 기준이 변화하게 되었다. 예를 들어 집의 크기가 작아도 주위의 헬스장, 카페 등의 이용이 중요했던 사람들은 공원이 가깝거나 카페에 가지 않고 집 안에서 해결하면서 베란다가 있는 집을 선호하게 되었다. 결론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MZ세대를 위한 주거를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바뀐 기준으로 변화된 주거형태, 주거 제도의 적립이 필요하게 되었다. 집은 짧은 시간안에 만들 수 있는 부동산이 아니다. 오랜시간 체계적인 계획이 필요하고 사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만큼 미래를 위해 체계적인 연구와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744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303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REAL ESTATE CONVERGENCE[S](부동산융합대학원) > REAL ESTATE(부동산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