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1 0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 공무원의 빅데이터 수용 연구

Title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 공무원의 빅데이터 수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ceptance of Big Data by Local Government Officials in Korea
Author
김태은
Alternative Author(s)
Taeeun Kim
Advisor(s)
이석환
Issue Date
2022. 8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factors affecting the spread of big data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and the acceptance of big data by public officials. This study divided the topic into three parts: the spread of big data policies by Korean metropolitan governments, the impact of self-determination on the acceptance of big data policies, and the impact of public officials' technological stress on policy acceptance. First of all, in the policy spread, it was intended to find out what type of big data policy is established and spread at the actual metropolitan government level, and to check whether it is horizontally spread. Big data technology has been receiving high attention from policy stakeholders in terms of improving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regional development, discovering policy blind spots that were not known by existing database analysis in a relatively recent academic administrative working environment.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by reflecting the legal status, authority,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metropolitan government beyond th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at the level of administrative districts or geographical boundaries at the specific or basic local government level.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pread of metropolitan governments with similar status, authority, and socioeconomic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policy spread occurs at the metropolitan government level with similar status and type. The distribution of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showed a bell shape,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mulated enactment drew an S curve, and it was found that it corresponds to the type of policy spread of Rogers (1962) and Gray (1972).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big data policies can be enacted and spread on their own by necessity at the metropolitan government level even without recommendation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Next, the analysis of the self-determination factors of individual public officials on the acceptance of big data policies, a new technology,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empirically confirmed that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ionship, which are self-determination factors, can be the preceding factors i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proposed by Davis (1989). It was found that self-determination factors directly or indirectly affect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only plays a mediating role that indirectly affects acceptance inten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performed an analysis by controlling demographic properties. It can be said that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at had the risk of causing bias in the results were supplemented by performing analysis without excluding demographic attributes. Finally, the impact of technological stress on public officials' acceptance of new policies was analyzed. Technology stress means tha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ies acts as a stressor for individuals. Sub-dimensions include technology breaches, technology overruns, technology uncertainties, technology instability, and technology complexity, and it is sometimes reported that new technologies have caused members in the organization to suffer performance degradation (Tarafdar et al., 2011). This study attempted to check the stress factors felt by the parties to public officials by paying attention to the previous phenomenon and to check the influence relationship on acceptance. It can be said that it has a differentiation of research by supplementing areas that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in research dealing with technological stre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echnical stress had a direct or indirect effect on negative psychological performance, and that negative psychological performanc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novation resistance. As in the previous analysis, demographic attributes were controlled to remove the bias of the result valu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effects of stress factors on technology acceptance for public officials in metropolitan and provincial governments nationwide. This study improved the understanding of the spread of big data policies at the metropolitan government level, contributed to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technology acceptance, and empirically verified the impact of public officials' technology stress on acceptance of new technologies. Therefore,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spread of policy and the expansion of the base of big data-related research in that it designed and analyzed a three-dimensional model for policy diffusion and acceptanc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본 연구는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의 빅데이터 정책 확산과 공무원들의 빅데이터 수용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데이터 과학(data science)이라는 포괄적 기본틀(umbrella thoery) 하에서 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의 빅데이터 정책 확산, 공무원의 자기결정성이 빅데이터 정책 수용에 미친 영향, 공무원의 기술스트레스가 정책 수용에 대한 부정적 반응과 회피에 미치는 영향 세 부분으로 주제를 나눠 분석을 진행했다. 먼저 정책 확산에서는 실제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 빅데이터 정책이 어떠한 유형으로 수립되고 확산되는지를 알아보고, 수평 확산 여부 등을 확인하고자 했다. 빅데이터 기술은 비교적 최근 학계 행정 실무 환경에서 기존 데이터베이스 분석으로는 알 수 없었던 정책의 사각지대를 발견하고, 행정 효율성 및 지역의 발전 제고 차원에서 정책 이해 당사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특정 혹은 기초자치단체 수준에서 행정구역 혹은 지리적 경계 차원에서 분석한 것을 넘어서, 광역자치단체 유형별 법적 지위, 권한, 사회경제적 특성을 반영하여 분석을 전개했다. 지위, 권한, 사회경제적 환경이 유사한 광역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확산 여부를 살펴본 결과 위상과 유형이 비슷한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 정책 확산이 일어난다는 점을 발견했다. 조례의 제정 분포는 종모양을 보였고, 누적된 제정은 S곡선을 그린다는 것을 확인했으며, Rogers(1962), Gray(1972)의 정책 확산 유형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빅데이터 정책은 중앙 정부의 권고 등이 없어도 광역자치단체 차원에서 스스로 필요에 의해 정책을 제정하고 확산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다음으로 공무원 개인의 자기결정성 요인이 새로운 기술인 빅데이터 정책 수용에 미치는 분석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자기결정성 요인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이 Davis(1989)가 제안한 기술 수용 모형의 선행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경험적으로 확인했다. 자기결정성 요인이 지각된 이용 용이성과 유용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이용 용이성은 수용 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매개 역할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는 인구통계학적 속성을 통제하여 분석을 수행했다. 인구통계학적 속성을 배제하지 않고 분석을 수행하여 결과의 편향 등을 유발할 위험이 있었던 선행 연구들의 한계를 보완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공무원의 기술스트레스가 새로운 정책 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기술스트레스는 새로운 기술 등장이 개인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하위 차원으로는 기술 침해, 기술 초과, 기술 불확실성, 기술 불안정, 기술 복잡성이 있으며 실제 새로운 기술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아 조직 내 구성원들이 성과 저하가 이루어졌다는 것이 보고되기도 한다(Tarafdar et al., 2011). 본 연구는 앞선 현상에 주목하여 공무원 당사자들이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들을 확인하고 수용에 미치는 영향 관계 등을 확인하고자 했다. 그간 기술스트레스 등을 다루는 연구에서 비교적 설명이 부족했던 영역을 보완함으로써, 연구의 차별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분석 결과 기술스트레스는 부정적 심리 성과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심리 성과는 혁신 저항과 양의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했다. 앞선 분석과 마찬가지로 응답자의 특징 등에 의한 결과값의 편향을 제거하기 위해 인구통계학적 속성을 통제했다. 본 연구는 전국 광역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기술 수용에 있어 스트레스 요인이 미치는 영향 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빅데이터 정책 확산 과정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기술 수용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매개효과 검증에 기여 했으며, 공무원의 기술스트레스가 새로운 기술 수용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정책 확산과 수용에 관한 입체적인 모형을 설계하고 분석했다는 점에서 정책 확산과 빅데이터 관련 연구 저변 확장에 공헌했다고 할 수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62883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419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POLICY STUDIES(정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