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8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훈-
dc.date.accessioned2022-06-21T23:56:43Z-
dc.date.available2022-06-21T23:56:43Z-
dc.date.issued1999-12-
dc.identifier.citation디자인과학연구 / TH SCIENCE OF DESIGN. Jan 01, 1999 4:1en_US
dc.identifier.issn1229-1072-
dc.identifier.uri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164599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1410-
dc.description.abstract디자인은 아름답고 쾌적한 인상으로 사람의 눈을 끄는 동시에 보는 사람에게 어떠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여기서 컬러(Co1or)의 역할은 보다 정확하게 이용하여 미적효과를 높이는 것과 동시에 정보를 용이하게 전달하지 않으면 안된다. 무운(P. Moon),스펜서(D.E. Spence)의 조화론에서 "색채의 조화는 그 색이 애매하지 않은 경우에 이루어진다" 라든가, 쟈드(D.B Judd)의 조화론에서 "애매하지 않은색의 조합은 조화한다" 라고 지적하고 있는 것처림 애매한 인상을 주는 컬러(Co1or)의 사용은 미적효과라고 하는 점에서나 전달효과라고 하는 점에서 결함이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Network) 환경에서의 웹사이트(Web-Site)는 사용자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시각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에게 보다 근접된 형태로 다가설 수 있는 그래픽환경을 제공하고있다. 이러한 그래픽환경에서 컬러(Color)의 사용은 컬러 커뮤니케이션(Color Communication)의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며 조화로운 컬러(C010r)의 선택및 사용을 위하여 컬러의 시각효과측면에서의 시인성, 유목성, 면적효과 등의 지각활동 요인들을 고찰해본다. 또한 본 연구에서의 조사방법은 인터넷 환경에서의 램에 틀라있는 각종단체, 기업, 학교, 개인의 홈페이지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모니터에서의 색채인 R.G.B의 3원색을 기준으로 하여 조사하였고 그 결과로 나타나는 컬러의 사용이 사용자들에게 어떠한 시각적 인지효과로 나타날 수 있는가를 예측해보고 색의 명도, 채도, 서체의 컬러등은 모니터의 상태등을 고려하여 조사대상에서 제외하였고 단지 사용자가 기본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색채의 선택 및 사용의 표본을 유추하여 시각정보의 확장된 환경, 즉 컬러(Co1or)커뮤니케이션 측면예서의 조화로운 컬러 환경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으며 본 연구에 대해 분석해 본 결과 배경색에서는 white가 53.3%로 가장 높은 비율로 사용되었고 배경색 대비 도형의 컬러는 Blue, Red, Green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순색 또는 순색에 가까운 컬러가 사용되어졌으나 이러한 순색의 컬러들은 시인성, 유목성은 뛰어나지만 중복된 도형의 컬러 배색으로 인하여 유저층(User)의 혼란스러움과 정확한 정보전달에 어려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에 있어서 컬러의 사용이 시각적 정보전달에 많은 역할을 담당하기에 조화로운 컬러의 사용, 인간의 생리적, 심리적. 감성적. 환경적. 코디네이트, 커뮤니케이션 측면까지도 심도있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imaginative design is to draw attention and to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simultaneously. In any piece of design work, the apporpriate use of color is essential in promoting the aesthetic aspects of the design, so as to maintain the viewer`s Interest In It, as well as providing understanding for the Information of which the design purposes to convey. As Spence, Moon, and Judd pointed out In their books, real harmony of colors is possible only when each color has distinctive trails. Ordinary colors do not tend to have effectiveness in terms of both aesthetic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In this paper, various websites were explored In order to incorporate a broader spectrum of scope. Subsequently, it was determined that a further developed network environment can provide users with new types of visual-graphical information. In this graphical environment, the well-harmonized use of colors can Inspire practical color communication between the designer and the users. T his in turn can help to promote better understanding and more appreciation for the design work, for all parties involved.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the investigation of the interactiv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usage. The influence that the use of the 3 primary colours-red, blue, and green-found on web-sites of various organizations, schools, companies and Individuals. has on users` recognition has been researched. Website selection was done randomly and brightness and Intensity were not considered. In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53.3% of websites use white as a background color and that blue, red and green were used as overlay colors-with blue being used the most and green being used the least. The use of color resulted In the users` attention being drawn from the information found on the screen and being placed on the color scheme itself. This in effect, hampers the transmission of the information from the website to user. Users are not only affected by the use of color, but are also affected by biological, psychological, emotional and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attention ! must be paid to the choice of colors and to the four above-mentioned factors when websites are designed.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1999년 한양대학교 교내연구비에 의해서 연구되었음.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사)한국디자이너협의회en_US
dc.subjectColoren_US
dc.subjectUser Interfaceen_US
dc.subjectWeb siteen_US
dc.title논문 : Network 환경에서의 색상 인지요소에 관한 연구 - web-site 환경을 중심으로 -en_US
dc.title.alternativeOriginal Articles : A Study of Color Preception Factor on Network Environment - Concentration on web-site environment -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journalVISUAL COMMUNICATION DESIGN 학-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Sung Hoon-
dc.relation.code2012209756-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DESIGN[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INTERACTIVE MEDIA DESIGN-
dc.identifier.pideagle-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ETC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