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9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용일-
dc.date.accessioned2022-05-23T06:48:38Z-
dc.date.available2022-05-23T06:48:38Z-
dc.date.issued2022-02-
dc.identifier.citation일본학보, 02/28/2022, Vol. 130, p. 95-112en_US
dc.identifier.issn1225-1453-
dc.identifier.urihttps://www.earticle.net/Article/A40905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1041-
dc.description.abstract본고에서는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일본어 모국어 화자가 사용하고 있는 [먹다]와 [食べる/食う]의 의미들과 인지적 범위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2가지 결과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1.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일본어 모국어 화자가 사용하고 있는 각각의 동사인 [먹다]와 [食べる/食う]는 공통된 7가지 의미를 갖고 있다. 첫째 ‘입으로 씹어 뱃속으로 넣다’의 의미이다. 이 의미는 [먹다]와 [食べる/食う]가 공통으로 갖고 있는 핵심적인 의미이다. 둘째 ‘식사하다’, 셋째 ‘내 것으로 차지하다’, 넷째 ‘욕 등을 듣다’, 다섯째 ‘잃다’, 여섯째 ‘맞거나 당하다’, 일곱째 ‘배신당하다’이다. 이들 7개의 의미는 한국어 모국어화자와 일본어 모국어화자가 동일한 인지적 범위 안에서 사용하고 있다. 2.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일본어 모국어 화자는 동사 [먹다]와 [食べる/食う]에 대해서 언급한 7개의 상호 동일한 의미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서로 다른 의미를 사용한다.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먹다]를 사용할 경우 일본어 [食べる/食う]에는 없는 9개의 의미를 사용하고 있다. 첫째 ‘마시다’, 둘째 ‘취하다’, 셋째 ‘빼앗다’, 넷째 ‘흡수하다’, 다섯째 ‘익숙하다’, 여섯째 ‘흡입하다’, 일곱째 ‘󰠏이 되다’, 여덟째 ‘작동하다’, 아홉째 ‘받아들이다’의 의미이다. 한편 일본어 모국어 화자는 [食べる/食う]를 사용할 때 한국어 [먹다]에는 없는 3개의 의미를 사용한다. 첫째 ‘살아가다/생활하다’, 둘째 ‘물리다’, 셋째 ‘걸리다/필요하다’의 의미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어 [먹다]와 일본어 [食べる/食う]의 의미가 실생활에서 한국어 모국어 화자와 일본어 모국어 화자가 공통된 인지적 범위를 공유하면서 서로 다른 인지적 범위를 갖고 사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In the present study, the meanings of [meokda] and [taberu/kuu] used by native Korean and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the cognitive scope of using these meanings were examin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pective verbs [meokda] and [taberu/kuu] used by the native Korean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have seven common meanings. First, it means ‘chew with your mouth and then put it in your stomach’. This is the core meaning that [meokda] and [taberu/kuu] have in common. The second is ‘to eat’, the third ‘to take possession of it’, the fourth ‘to receive insults’, the fifth ‘to lose’, the sixth ‘to be beaten’, and the seventh ‘to be betrayed’. These seven meanings are used by the native Korean speakers and the Japanese native speakers within the same cognitive scope. 2. The native Korean speak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the following different meanings based on the seven mutually identical meanings mentioned for the verbs [meokda] and [taberu/kuu]. When native Korean speakers use [meokda], they use 9 meanings that are not in Japanese [taberu/kuu]. 1st ‘drink’, 2nd ‘get’, 3rd ‘take away’, 4th ‘absorb’, 5th ‘get used to’, 6th ‘inhale’, 7th ‘become’, 8th ‘work’, 9th ‘accept’ is used. On the other hand, the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three meanings of [taberu/kuu], namely ‘live/living’, ‘bite’, and ‘need’ that do not exist in the Korean [meokda]. These results show that the meanings of Korean [meokda] and Japanese [taberu/kuu] are used in real life with the same identity as that of the native Korean and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have different cognitive ranges.en_US
dc.description.sponsorship이 논문은 2021년 한양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으로 연구되었음(HY2021G).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일본학회en_US
dc.subject먹다en_US
dc.subject食べる/食うen_US
dc.subject인지적 범위en_US
dc.subject대응관계en_US
dc.subject동이성en_US
dc.subjectmeokdaen_US
dc.subjecttaberu/kuuen_US
dc.subjectcognitive rangeen_US
dc.subjectcorrespondenceen_US
dc.subjectcommonalities and differencesen_US
dc.title한일 모국어 화자가 갖는 [먹다]와 [食べる/食う]의 인지적 동이성en_US
dc.title.alternativeCognitiv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Native Korean Speakers and Native Japanese Speakers of ‘meokda’ and ‘taberu/kuu’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130-
dc.identifier.doi10.15532/kaja.2022.02.130.95-
dc.relation.page95-112-
dc.relation.journal일본학보-
dc.contributor.googleauthorPark, Yong-Il-
dc.relation.code2022000368-
dc.sector.campusE-
dc.sector.daehak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JAPANESE STUDIES-
dc.identifier.pidewsnnews-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LANGUAGES & CULTURES[E](국제문화대학) > JAPANESE STUDIES(일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