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9 0

문화로의 전환과 '정치주의' 문화전략 -1920년-1925년 사이의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Title
문화로의 전환과 '정치주의' 문화전략 -1920년-1925년 사이의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Transition to the Culture and Cultural Strategy of ‘Politicalism’ - DongA Ilbo(1920-1925) as a Center
Author
윤해동
Keywords
문화; 동아일보; 문화연구; 문화운동; 문화주의; 문명; Culture; DongA Ilbo; Cultural Studies; cultural movement; culturalism; civilization
Issue Date
2020-10
Publisher
한국서양사학회
Citation
서양사론, no. 146, page. 154-189
Abstract
민족자결주의와 개조론을 3ㆍ1운동과 연결해준 매개는 문화론이었다. 그런 점에서 3ㆍ1운동은 가히 ‘문화를 위한 투쟁’이라고 해도 좋았다. 특히 개항 이후 주로 일본을 경유하여 동아시아에 수용된 독일식 문화개념의 수용과 전파라는 측면을 중심으로 보면, 3ㆍ1운동이 가진 ‘문화투쟁’으로서의 성격이 두드러지는 바 있다. 이는 ‘문화론적 전환’이라 부를 수 있는 시대적 변화였다. 이처럼 1920년대는 ‘문화의 시대’로서 자신의 문을 열어제치고 있었다. 『동아일보』는 ‘문화주의’를 자신의 주지(主旨)로 삼음으로써 ‘문화운동’의 선봉을 자처하였다. 여기서는 ‘정치주의’ 문화연구를 제안하였던바, 그 핵심은 당대의 문화 혹은 문화론을 시대적 현실에 개입하기 위한 정치적 전략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따라서 1920년대의 문화 혹은 문화론은 정치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식민지적 우회전략으로서 중요한 위상을 갖게 된다. 정치적 우회전략으로서의 문화 혹은 문화론은 두 가지 전략을 취하고 있었다. 하나는 특수성으로 파악된 문화인데, 이는 곧바로 문화운동으로 전환하였다. 이리하여 ‘운동으로서의 문화’가 등장하였는데, 이것은 특수성을 확인하기 위한 문화의 전략이었다. 다른 하나는 부문성으로 파악된 문화인데, 이는 다양한 서브 컬쳐와 일상적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드러났다. ‘민족문화’에 대한 관심은 문화가 부문성을 넘어 전체성을 확보하는 매개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두 과정이 ‘정치주의적 문화연구’가 취하는 전략을 통해 확보할 수 있게 된 문화의 시대정신이었다. Culture was the link connecting the ideologies of national self-determination and reconstructionism of the March 1st Movement. In this respect, the March 1st Movement may be called “a struggle for culture.” The cultural struggle is particularly prominent set against the reception and spread of the German concept of culture (Kultur) by way of Japan after the opening of doors in colonial Korea. This was a change deserving of the term, “cultural turn.” Such was characteristic of the 1920s, moving towards embracing a cultural era. Using “culturalism” as a key tenet, DongA Ilbo claimed to be spearheading the cultural movement. Here, I make a suggestion for cultural studies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politicalism), the core of which is that culture must be seen as a political strategy to intervene in the reality of a specific period. In this approach, the culture of the 1920s has a critical status as an oblique strategy toward a political goal. In terms of political strategy, there were largely two perceptions of culture. One was based on particularity, which immediately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he cultural movement. Hence, culture as a movement emerged, as a strategy focused on particularity. The other perception was based on a sectional concept of culture, as manifested in the various subcultures and a heightened interest in daily culture. The emphasis on the “national culture” had an intermediary role in moving culture out of particularity and into generality. These two processes represented the cultural zeitgeist created through the strategies as understood in the cultural studies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URI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82842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0987
ISSN
1229-0289
DOI
10.46259/WHR.146.154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RESEARCH INSTITUTE OF COMPARATIVE HISTORY & CULTURE(비교역사문화연구소)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