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97 812

홍은원 감독의 영화 연출 경향 연구 : ˂여판사˃(1962)를 중심으로

Title
홍은원 감독의 영화 연출 경향 연구 : ˂여판사˃(1962)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ilm Directing Tendency of Director Hong Eun-won ‒ Focusing on “A Woman Judge”(1962) ‒
Author
함충범
Keywords
홍은원; 여성감독; 여성 영화인; 영화 연출; <여판사>; 1960년대; 한국영화; Hong Eun-won; Women Director; Female Film Worker; Film directing; A Woman Judge; 1960’s; Korean Film
Issue Date
2020-10
Publisher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Citation
동양학, no. 81, page. 123-145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영화사상 두 번째 여성감독인 홍은원의 영화 연출 경향에 대해, 그의 감독 데뷔작이자 세 편의 연출작 중 유일하게 영상 자료가 현존하는 ˂여판사˃(1962)를 통해 탐색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이 작품은여성이 사회적 영역과 사적 영역에서 겪는 갈등을 주된 주제로 삼은 동시기 한국영화 제작 경향의 자장 안에위치하면서도, 사회적 주체로서 여성 캐릭터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여타 작품들과 차별점을 보이기도 한다. ˂여판사˃는 주인공 진숙(문정숙 분)이 판사라는 사회적 위치와 며느리라는 가정 내 위치 사이에서 갈등을 겪다가 시조모 사망 사건에 얽힌 곤궁을 해결함으로써 그것이 해소되는 서사 구조로 전개되는 작품이다. 영화는이러한 전개 과정을 통해 여성 주체의 욕망과 의지가 발현되어 실천적 전복의 가능성이 노출되는 주제적 효과를 내포하고 있는데, 그 기저에는 홍은원이 실화를 토대로 구성된 이 작품의 각본에 대한 각색 작업에 직접참여했다는 사실이 자리한다. 아울러, 홍은원은 영화적 표현기법을 적절히 활용하여 남녀 간 성적 위계의 문제와 그 구별에 대한 무화의 가능성을 시청각적으로 구현한다. 이를 통해 그의 연출 작품에 묻어나 있는 홍은원의 여성주의적 관점을 발견할 수 있는데, 그 바탕에 ˂여판사˃가 제작·개봉된 1960년대 당시 한국의 사회적분위기 및 여성이 처한 현실적 상황 등이 놓여 있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1960년대 한국 사회라는 당대 현실의 자장에서 작품 창작 행위를 경유하여 새로운 시대상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홍은원 감독과 그의 연출 경향은주목을 요하는 영화사적 ‘사건’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study of Hong Eun-won who is the second female director in Korean film history, through “A Woman Judge”(1962) that her debut film and the only one among the three directing works that has video data present. This work is located in the trend of Korean films in the same period, which made women’s conflict in the social and private areas the main theme, but it also shows a difference from other works in that it constructs a female character as a social subject. “A Woman Judge” has a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the main character Jinsuk (played by Mun Jeongsuk) resolves the conflict by solving the case of grandmother-in-law’s death while having a conflict between the social position that the judge and the position in the family as the daughter-in-law. Through this process of story development, the desire and will of the female subject are expressed, revealing the potential for practical subversion. The effect is related to the fact that Hong Eun-won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adaptation of the scenario, which is based on a true story. In addition, She makes appropriate use of cinematic expression techniques to visualize the problems of sexual hierarchy between men and women and the possibility of incapacitation of their distinctions. Through this, we can discover Hong’s feminist perspective embedded in her directing works. The basis for this was the social atmosphere of Korea and the realistic situation faced by women in the 1960’s when <A Woman Judge> was produced and released. In conclusion, the female director Hong Eun-won and her film directing tendency are notable film history “events” in that she sought a new era through the creation of film art in the 1960’s amid the contemporary reality of Korean society.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3973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0986
ISSN
1229-3199
DOI
10.17320/orient.2020..81.123
Appears in Collections:
RESEARCH INSTITUTE[S](부설연구소) > ETC
Files in This Item:
홍은원 감독의 영화 연출 경향 연구 ˂여판사˃(1962)를 중심으로.pdfDownload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