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2 0

가정용 보안시스템 경험요인에 따른 IoT기반 스마트 홈 카메라의 UX개선방안

Title
가정용 보안시스템 경험요인에 따른 IoT기반 스마트 홈 카메라의 UX개선방안
Other Titles
The UX Improvements of IoT Smart Home Security Camera according to Experience Factors of Home Security System
Author
김유빈
Keywords
IoT; 스마트 홈카메라; 경험요인; UX개선; Smart Home Security Camera; Experience Factors; UX improvements
Issue Date
2020-09
Publisher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Citation
산업디자인학연구, v. 14, no. 3, page. 53-62
Abstract
연구배경 IoT 기반의 스마트 홈 카메라가 우리 가정에 보편화 되고 있지만 목적에 맞지않는 기능과, 미흡한 정보, 보안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스마트 홈 카메라의 부정적인 경험을 발견하고, 해결할 수 있는 UX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가정용 보안시스템에 특수화된 경험요인을 정보적/기능적/감각적UX의 분류에 따라 도출하고, 이를 반영한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최근 1개월 이상 홈 카메라를 사용한 총 15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사용자의 부정적인 경험 자료를 수집하여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정보적/기능적/감각적 UX개선방안을 경험 플로우 맵에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정보적UX의 부정적 경험요인은 ‘조작성’이었으며 개선책으로 ‘Wifi, 블루투스 등 추가적 네트워크 연결 조건의 옵션제공’과, ‘영상을 활용한 다양한 콘텐츠 경험과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이었다. 기능적UX의 부정적 경험요인으로는 ‘편리성’과 ‘개인맞춤화’였으며, 개선방안은 ‘특정 User 맞춤형 모드’를 지원하는 것과 ‘무선 충전방식과 유니버설한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감각적UX의 부정적 경험요인은 ‘신뢰성’과 ‘친숙성’이었고 개선방안으로는 ‘외부 네트워크 환경으로부터 차단할 수 있는 보안모드를 제공’하는 것과 ‘불필요한 알람 필터링 시스템’, ‘공간을 포근하게 연출할 수 있는 심리적 안정경험’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결론 스마트 홈 카메라의 모바일앱 및 기기의 사용경험과 더불어 상호연계 네트워크에 대한 관점에서 UX연구를 진행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스마트홈 카메라 UX개선방안은 향후 인간중심적 보안시스템 개발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The problems of IoT-based smart home cameras are becoming common. This study aims to discover negative experiences of existing smart home cameras and to come up with UX improvements to solve them. Methods Experience factors specialized in home security system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information/functional/sensory UX. Based on the experience factors, we conducted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lso, we collected negative experience data and to identify the cause of the problem, providing improvements. Results The negative experience factors of information UX were 'manipulation'. The improvements were 'providing options for additional network conditions such as Wifi and Bluetooth' and 'providing various experiences and interfaces of video content '. The negative experience factors of functional UX were 'convenience' and 'personalization'. The improvemens were to support 'specific user customized mode' and provide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universal stands'. In addition, the negative experience factors of sensory UX were 'reliability' and 'familiarity'. The improvements were 'providing a security mode from the external network', 'unnecessary alarm filtering system' and 'psychological stability experience to warm up the space'. Conclusion This UX research was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onnected networks, apps and devices for smart home cameras. It is meaningful that the improvement plan would be used as a criterion for human-centered security systems.
URI
https://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382712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0451
ISSN
1976-8745
DOI
10.37254/ids.2020.09.53.06.5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EDUCATION[S](사범대학) > APPLIED ART EDUCATION(응용미술교육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