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4 0

디자인전공 대학(원)생에게 필요한 디자이너 역량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 전공을 중심으로-

Title
디자인전공 대학(원)생에게 필요한 디자이너 역량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시각디자인 전공을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Prioritization of Designer’s Competency Required for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Visual Design Major-
Author
송지성
Keywords
Competency; Competency Prioritization; Designer’s Competency; The Locus for Focus Model; 역량; 역량 우선순위; 디자이너 역량; 로커스 포 포커스 모형
Issue Date
2021-09
Publisher
한국디자인문화학회
Citation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 27, NO 3, Page. 283-29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시각디자인을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역량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역량의 수준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원)생이 우선적으로 개발해야 할 디자이너 역량이 무엇인지 그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할 연구도구를 제작하였다. 둘째, 연구도구의 내용 타당도 확보를 위해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셋째, 예비조사를 통해 설문문항을 정제했다. 넷째, 국내 2년제-4년제 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연구도구의 내적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전체 문항의 Cronbach’s α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최종 149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디자이너 역량의 현재 보유수준과 미래 필요수준의 차이 검정을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요구도 분석을 위해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역량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였다. 연구결과, 디자인 전공 대학(원)생은 기초역량보다는 직무역량 개발에 요구도가 높았다. 특히 4차 산업혁명 시대와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급격한 사회 변화에 발맞추어 신산업 분야에서의 디자인 역량 및 소프트웨어 활용역량 개발을 원하고 있었으며, 디자인 영역의 확대 및 융복합이라는 키워드에 부합하기 위해 필요한 지적재산권 확보, 마케팅, 분석, 평가, 관리 등의 전반적인 사업운용 역량에 대한 요구도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와 결론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공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과제를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etencies that are important to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in Korea and the level of competencies that they actually have, and the designers who should be developed first by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It is about prioritizing what competencies are and providing implications. To this end, first, a research tool to be used in the study was prepared. Second, the opinions of experts collected to secure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tool. Third, the questionnaire was refined through a pilot survey. Fourth, a survey was conducted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visual design. Fifth,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research tool was confirmed. Finally,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questionnaire responses of the final 149 students.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holding level of designer competency and future required level,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need, and the priority of the required competency wa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y had higher demands for job competency development than basic competency. In particular, they wanted to develop design competencies and software utilization competencies. an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overall business management competencies such as secur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marketing, analysis, evaluation and general management. Implications are provided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conclusions and follow-up task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60836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0395
ISSN
1598-6497
DOI
10.18208/ksdc.2021.27.3.28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DESIGN[E](디자인대학) > COMMUNICATION DESIGN(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