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0 135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형구-
dc.date.accessioned2022-04-21T06:02:26Z-
dc.date.available2022-04-21T06:02:26Z-
dc.date.issued2020-08-
dc.identifier.citation벤처창업연구, v. 15, no. 4, page. 277-301en_US
dc.identifier.issn2671-9509-
dc.identifier.issn1975-7557-
dc.identifier.uri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1809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7018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최근 세계보건기구(WHO)가 공식 질병으로 인정한 게임이용장애 분류기준이 국내에 도입되었을 때 어떠한 효과가 나타날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 일반 성인 50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응답자의 사전지식 수준차를 고려하여 절반의 응답자를 게임이용장애 분류에 관한 정보성 기사를 제공하는 집단에 무선할당하였다. 또 국내 게임중독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응답자를 정상이용집단과 잠재적 문제이용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게임이용장애 분류코드 등록은 정상집단과 잠재적 문제집단 모두에서 게임시간 24%, 게임비 28%, 이용 게임수 22%가 감소하는 등 전반적인 게임 수요를 감소시키는 영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문제이용집단의 경우 게임이용장애 공식화 후 게임비용이 증가하더라도 게임비를 기꺼이 더 지불하겠다는 의향이 정상집단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집단도 추가 비용 지불 의향이 높았는데, 이는 게임중독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의 효과가 미쳐야 하는 대상 집단에 오히려 경제적 비용 증가가 발생하는 역설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게임장애 관련 정책을 수립할 때 이러한 문제집단, 특히 ‘스트레스 수준이 높은 집단’, ‘자기통제력이 부족한 집단’ 즉 중독성향이 높은 집단을 선별하여 정책의 타겟 집단으로 해야 질병코드 등록 정책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 게임장애에 관한 정보성 기사의 긍정적 효과는 이미 자기통제력 수준이 높은 게임이용자들에게만 집중적으로 나타나 정작 향후 정책의 영향을 받게 될 대상(잠재적 문제집단 중 중독성향이 강한 집단)의 태도와 행동 의도에는 별다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시 한번 정책의 대상을 세분화하여 문제집단의 특성별로 정책을 정교화하는 핀셋 정책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국내 여건에 관한 고려 없이 게임이용장애 분류를 도입할 경우 국내 게임이용자, 게임산업 및 유관 기업들에 부정적 영향과 손실을 끼칠 수 있으므로 산.관.학 협력을 통해 선제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surveyed 503 adults to examine the effect of gaming disorder classification, recently announced by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when it is applied to Korean game market.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respondents' background knowledge on gaming disorder,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ad an informative news article describing WHO's decision and its expected effect on domestic game industry. Based on previous literature of gaming disorder, we categorized respondents into a normal-use group and a potentially problematic-use group. As a result of analyses, it was found that the gaming disorder classification would yield overall reduction of game-related consumption in terms of gaming time(24%), game cost(28%), the number of games(22%), etc. The potentially problematic group showed higher willingness to pay for gaming than the normal group did, even if the game cost presumably increases due to the gaming disorder classification. A similar outcome was observed in those with high stress levels. This implies that the policy to solve game addiction problems may ironically lead to unexpected cost increases to the target group of the policy. Hence, problematic groups, especially, highly stressful people and the people with the lack of self-control, need to be considered when the gaming disorder classification policy is established. Furthermore, the informative news article had the preventive effect on the attitude and the intention of the people with moderate or high self-control capacity, but not to the people with gaming-additive tendencies, Again, this finding confirms the necessity of the tweezers policy to refine target groups by their characteristics and prepare for differentiated policies. When the gaming disorder classification is simply adopted with no consideration of domestic circumstances, irreversible loss could affect Korean game users, game industries, and related companies. This calls for urgent cooperation between academia, government, and industry to set up appropriate measures to deal with the gaming disorder classification.en_US
dc.language.isoko_KRen_US
dc.publisher한국벤처창업학회en_US
dc.subject게임en_US
dc.subject게임산업en_US
dc.subject게임이용자en_US
dc.subject게임중독en_US
dc.subject게임이용장애 질병분류en_US
dc.subject게임산업정책en_US
dc.subjectGameen_US
dc.subjectgame industryen_US
dc.subjectgame useren_US
dc.subjectgame addictionen_US
dc.subjectgaming disorder classificationen_US
dc.subjectgame industry policyen_US
dc.title게임이용장애 질병분류가 게임이용자의 태도와 게임의향에 미치는 효과en_US
dc.title.alternativePotential Effects of Gaming Disorder Classification on Gamers' Attitude and Gaming Intentionen_US
dc.typeArticleen_US
dc.relation.no4-
dc.relation.volume15-
dc.identifier.doi10.16972/apjbve.15.4.202008.277-
dc.relation.page277-301-
dc.relation.journal벤처창업연구-
dc.contributor.googleauthor김석환-
dc.contributor.googleauthor한상훈-
dc.contributor.googleauthor김보라-
dc.contributor.googleauthor강형구-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Suk-hwan-
dc.contributor.googleauthorHan, Sanghoon-
dc.contributor.googleauthorKim, Bora-
dc.contributor.googleauthorKang, Hyoung-Goo-
dc.relation.code2020039845-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SCHOOL OF BUSINESS[S]-
dc.sector.departmentDEPARTMENT OF FINANCE-
dc.identifier.pidhyoungkang-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