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7 0

철운 조종현 시조 연구

Title
철운 조종현 시조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ijo by Cheolun Cho, Jong-hyun
Author
유성호
Keywords
조종현; 시조; 민족; 자연; 불교; Cho, Jong-hyun; Sijo; nation; nature; Buddhism
Issue Date
2020-07
Publisher
한국시조학회
Citation
시조학논총, v. 53, page. 133-155
Abstract
여러 근대적 조건들이 시조로 하여금 한 시대의 주류 양식으로서의 시효를 재촉했다고 할지라도, 근대문학으로서 시조의 양식적 위의(威儀)와 가능성은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근대에 대한 반성을 토대로 우리가 잃어버린 원형에 대해 탐색하려 할 때 취해지는 이른바 반(反)근대의 열정이 시조 안에 오롯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살피려는 철운 조종현의 시조 미학 역시 근대문학사의 권역을 풍요롭게 개척한 사례로 전혀 부족함이 없다. 조종현은 불교의 유식 사상을 기저로 하여 삶에 대한 깊은 관조와 불교의 구도적 경지를 추구하는 시조 세계를 줄곧 보여주었다. 그의 시조는 세 가지 양상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첫 번째가 현실 인식의 민족주의적 시편이라면, 두 번째는 자연을 탐색하고 원형적 의미를 노래한 시편, 마지막으로는 불교적 사유와 관조의 세계를 다룬 시편이다. 그는 승려 출신으로서 불가적 감각과 사유를 축으로 하여 시조를 썼고, 불가적 사유와 시조의 문학성을 결속한 뚜렷한 사례로 근대시조사에 남았다. 그의 작품은 우리의 눈을 밝게 하는 우수한 시적 고갱이로 충일할 뿐더러, 그의 언어는 근대를 살아가는 우리 마음속에 사유와 감각, 서정과 인식, 전통과 근대의 심미적 결절을 보여준 뜻 깊은 실례가 되어주었다. 그의 시적 기상은 시조라는 양식이 고루한 중세의 산물이 아니라 지금도 우리 근대문학사에서도 충분히 양식적 정체성과 문학적 위의를 동시에 지켜갈 수 있는 양식임을 경험케 해주고 있다. Though the recognition of Sijo as a major genre of the period ceased due to modern conditions, it still has its place and potential in modern literature. This is because Sijo exhibits anti-modern fervor in the missing original form which reflects the modern era. The aesthetics of Sijo by Cheolun Cho, Jong-hyun pioneered the narrow segment of modern literature. Cho, Jong-hyun had repeatedly depicted a poetic world that deeply contemplated life and truth through Buddhism. His Sijo could be divided into three kinds: first, nationalistic, where his Sijo showed an awareness of reality; second, exploring nature, where he sung archetypal songs on nature; third, dealing with the world of Buddhist thoughts and contemplation. As a poet and former monk, Cho wrote Sijo in the Buddhist sense and his thoughts had acentral axis. He is recorded in the history of modern Sijo as a poet who united Buddhist thought and the literary wealth of Sijo. His Sijo works have remarkable poetic quality that enliven our senses. His language is an example of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and depicts aesthetic knots between thoughts and senses, lyricism and recognition, and tradition and modernity. Revealing the sensuous and extroverted world, his poetic spirit proves that Sijo is not an outdated medieval creation, but a genre that has the possibility of simultaneously maintaining both its nationalistic identity as well as literary dignity.
URI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38162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9136
ISSN
1226-2838
DOI
10.35610/keosls.2020.07.53.133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HUMANITIES[S](인문과학대학)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Article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