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7 0

한・중 시인 김소월과 서지마의 비교 - 사회 배경이 창작에 미치는 영향

Title
한・중 시인 김소월과 서지마의 비교 - 사회 배경이 창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Comparsion of Korean and Chinese Poets Kim So-wol and Seojima: The Influence of Social Background on Poetry Creation
Author
고옥호
Alternative Author(s)
GAO YUHAO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ocial background has a close influence on the creation subject of art to form the world of work. There may be several factors in influencing the work of the society in which poets step on, such as the background of the times in which the poet lived, the family environment, and the experience of life. This paper selected Kim So-wol and Seojima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to understand that the work depicts the social image as it is or that the individual world of work is not related to society, but that the poet and society have a close reflective relationship.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state of Kim So-wol and Seojima that occurs through their respective social situations, and based on social culture, political background, and changes in society, literary subjects and the world of work are influenced by social backgrounds. In the 1920s, both Korea and China were engulfed in great social unrest and requested the reconstruction of the literary order, and romanticism prevailed and new cultures replaced it. Kim So-wol and Seojima are important poets in both countries, and they have also contributed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new cultural order in both countries. In particular, Kim So-wol and Seojima were born in different national lands, but through similar social backgrounds, they can find many things in common in terms of poetry creation. The two poets are largely distinguished from other poets by showing their exploration of love, nature, and freedom under the influence of romanticism, and emphasizing the connection between inner and reality is also a trait shared by the two poets. The text mainly started from these things in common and explored the influence of social background on poet creation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in areas such as creative techniques of the two poets and linking them with reality. In the first part we tried to identify the coordinates of previous studies that compare the two poets side by side and reveal the differentiation and significance of this paper. As a result of focusing on the existing studies of Kim So-wol and Seojima in both Korea and China, existing papers have been rich in individual studies of Kim So-wol and Seojima, and some progress has been made in cross-analysis, but attempts to view them are still insufficient. The second part begins by examining the lives of Kim So-wol and Seojima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creative actions of the inner activities of the work side by side. Poets' creation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social background they fac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ives and social backgrounds of the two poets,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the two poets' creative activities were analyzed, and the influence of the social background on the creation of the two poets was explored. The third part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images by conducting a comparative study between images, starting with the poem creation comparison between Kim So-wol and Seojima. Since poems on the theme of love account for a large number of the works of the two poets, the meaning of the images created by the two poets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representative love poems of the two poets and introducing a connection with realit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background also influenced the creative theme of poets, and the work of comparing the setting and exploration of the themes of the two poets was carried out. From the early to mid-term, the two poets revealed poet's emotions, passionate decisions, and wishes for the future through lover images or natural images, and were analyzed to symbolize love, beauty, and pursuit of freedom in common. In the last part, even those with similar structures or lifestyles that search for death images or sublimate realistic limitations show some differences in material and detailed form, which can be understood in that the two poets went through different lives and growth environments even in similar historical backgrounds. Literature reflects reality without reflecting it as it is, but it is also a product of reality that cannot be thought of completely separated from reality itself. Both Kim So-wol's mournful emotions in poetry and Seojima's beautiful appearance are related to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time, and the poet himself is revealed as a posture taken facing the era he threw himself. Images chosen by the poet to recreate the world can serve as guides that allow readers to approach and examine his life and work side by side. Their lives were short, but the river of literature acquired therefrom was so wide that presenting a perspective to the two poets could be a constraint. However, this paper relied on the exit of image and theme to get a glimpse of inspiration in the continuous works of the two poe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unique creative characteristics of Kim So-wol and Seojima, they tri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works and reality,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the two poets, and make new attempts in the field of comparative research between Kim So-wol and Seojima.|사회적 배경은 예술의 창작 주체가 작품 세계를 형성하는 데 긴밀한 영향 관계를 지닌다. 시인이 발 담그는 사회가 작품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데에는 여러 요인이 있을 수 있는데, 시인이 살아온 시대적 배경, 가정환경, 생애의 경험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논문은 작품이 사회상을 그대로 그려낸다는 것도, 혹은 개인의 작품 세계가 사회와 하등 무관계하다는 것도 아닌, 시인과 사회가 서로 긴밀한 상호적 반영관계를 가진다는 점을 파악하고자 한・중을 대표하는 시인으로서 각기 김소월과 서지마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고는 김소월과 서지마가 각자의 사회적 상황을 겪으면서 발생하는 심리 상태를 탐구함으로써 사회문화와 정치적 배경, 사회의 변화 양상 등을 기초로 하여 각기 다른 국적을 지닌 문학 주체와 작품 세계가 사회적 배경으로부터 영향을 받으며 작품 세계로 환류하는 양상을 짚어보고자 한다. 1920년대 한국과 중국 모두 큰 사회 불안에 휩싸여 문학 질서의 재건이 요청되었고, 낭만주의가 성행해 신구문화가 교체하게 된다. 김소월과 서지마는 양국 시단에서 중요한 시인으로 양국 신시 발전에 큰 힘이 된 시인들이기도 하다. 특히 김소월과 서지마는 서로 다른 국토에서 태어났으나 유사한 사회적 배경을 거치며 시 창작의 측면에서 여러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다. 두 시인은 낭만주의의 영향으로 사랑과 자연, 자유에 대한 탐구를 주요하게 보여주어 다른 시인과 대별되며, 내면과 현실의 연계를 중시하는 것 또한 두 시인이 공유하는 특질이다. 본문은 주로 이러한 공통점으로부터 출발하고 두 시인의 창작 기법, 주제 특징과 현실의 연계 등 방면의 비교적인 연구를 통하여, 사회 배경이 시인의 창작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서론에서는 두 시인을 나란히 견주어 살피는 종래 연구의 좌표를 확인하고 그로부터 본고의 차별성과 의의를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과 중국 양국에서 이루어진 김소월과 서지마의 기존 연구를 중점적으로 파악한 결과 현존하는 논문들은 김소월과 서지마 개별에 대하여 풍부할 정도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둘의 교차적 분석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진전을 보이고 있으나 사회적 현실과의 관련성을 통하여 이 둘을 조감하는 시도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제2장은 김소월 및 서지마의 작품 외적 활동으로서의 생애와 작품 내적 활동의 창작 행위를 나란히 살피는 것으로 시작한다. 시인의 창작은 그들이 처한 사회적 배경과 갈라놓을 수 없다. 두 시인의 생애와 사회 배경에 대한 분석을 통해 두 시인의 창작 활동에서의 특징적 요소를 분석하고, 사회적 배경이 두 시인의 창작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제3장은 김소월과 서지마의 시 창작 비교부터 시작하여 우선 이미지 간의 비교연구를 진행하여 이미지 간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사랑을 주제로 한 시가 두 시인의 작품 중 많은 수를 차지하므로 주로 두 시인의 대표적인 애정시들을 비교하며 현실과의 연계를 도입해 두 시인이 창작하던 이미지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로써 사회적 배경이 시인들의 창작 주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파악되었으며, 두 시인의 시적 주체의 주제의 설정과 탐색 등을 비교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두 시인은 초기에서 중기에 이르도록 애인 이미지 혹은 자연 이미지를 통하여 시인의 감정, 열렬한 결단, 미래에 대한 소망 등을 드러내며 공통적으로 시인의 사랑, 미(美), 자유에 대한 추구를 상징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후기에서 죽음 이미지를 탐색하거나 생의 현실적 한계를 승화시키는 구조나 삶의 태도마저도 유사한 이들이 소재나 세밀한 형식상에서는 다소간의 차이를 보여주는데, 이는 두 시인이 유사한 역사적 배경 하에서도 서로 다른 삶과 성장 환경을 거쳤다는 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 문학은 현실을 그대로 비추지 않고 굴절시켜 반사하지만, 현실 자체와 완전히 분리시켜 생각할 수 없는 현실의 산물이기도 하다. 김소월의 시에 나타나는 애절한 정서와 서지마의 시의 수려한 풍모는 모두 당시의 사회 배경과 관계하며, 시인 자신이 스스로 던져진 시대를 마주하며 취한 자세로서 드러나는 것이다. 시인이 세계를 재현하기 위하여 선택한 이미지들은, 독자들에게 다가가 그의 생애와 작품을 나란히 살피게 하는 안내서로 작동할 수 있다. 그들의 생은 짧았으나 그로부터 획득된 문학의 강은 이토록 넓었기에 두 시인에게 하나의 관점을 제시한다는 것은 하나의 제약이 될 수도 있는 일이다. 다만 본고는 이미지와 주제라는 출구에 의지하여 두 시인의 줄기찬 작품 속에서 영감을 엿보려고 하였다. 김소월과 서지마의 독특한 창작 특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들의 작품과 현실의 관계를 탐구하고, 김소월과 서지마의 두 시인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동시에 김소월과 서지마의 비교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고자 한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081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61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