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3 0

한국어 이중모음의 포먼트 궤적 연구

Title
한국어 이중모음의 포먼트 궤적 연구
Author
손상미
Alternative Author(s)
Shon, Sangmi
Advisor(s)
조성문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이중모음을 실험음성학적으로 분석하여 현대 국어의 이중모음의 특성을 밝히고 이중모음에 대한 음운론적인 쟁점들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중모음은 반모음과 주모음으로 구성된 복합모음이므로 단모음과 달리 하나의 음절을 발음할 때 조음체들이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을 확인하지 위해서 모음을 분절하여 6지점의 값을 추출하고 이를 연결하여 궤적으로 구현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하기 위해서 객관적인 위치를 잡아서 음절을 분절할 수 있도록 스크립트를 사용하였고 추출된 수치는 그래프화 한 후 통계 처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으로 삼은 이중모음이 각 13개인데 실험 문장이 모두 4종류이므로 피험자 한 명마다 모두 52개의 음원 파일을 분석했고 한 파일마다 강도와 피치, F1, F2, F3, F4, 시간을 여섯 지점에 걸쳐 추출했기 때문에 음원 하나에 모두 42개의 수치를 얻을 수 있고 분석을 통해서 얻은 수치들은 모두 43,680개이다. F1, F2, F3, F4는 음성의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에너지가 집중된 부분인 포먼트(formant)를 의미하며 주파수가 낮은 쪽에서 순번으로 F1(제1포먼트), F2(제2포먼트)라고 번호를 붙인다. F1은 턱벌림의 정도를 알 수 있는데 턱벌림이 크면 F1의 수치가 높다. F2는 혀의 전후 위치를 알 수 있는데 전설일 때 수치가 높게 나타나며 F3로는 성도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F4는 본 연구에서는 수치 추출 과정에서 오류를 찾기 위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가 남녀 각 10명이었기 때문에 추출된 수치들은 모두 43,680개이고 음절의 종류에 따라 F1과 F2를 지점별로 연결하여 음절마다 포먼트 궤적을 만들었다. 또한 이중모음을 발음하는 조건을 음절 구조 및 발화 환경(단일 음절, 문장 내 발화)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발음할 때 이중모음의 특징을 살피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 목적 및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된 연구 문제를 정리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기존 연구와의 차이점을 밝혔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통해 이중모음의 체계를 정리하고 한국어 이중모음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본 연구에서 포먼트 궤적의 의미와 궤적을 구성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3장은 실험 과정과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실험 결과를 제시하는 방식은 이중모음을 계열별로 분류해서 j계, w계, ɰ계 이중모음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고 각 계열마다 하위 갈래로 단일 음절 GV구조, 발화 환경 및 구조별 비교, 남녀 비교를 하였다. 4장에서는 전체 이중모음을 분석하면서 특이점이 분명했던 이중모음들을 비교·대조하여 현대 국어에서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이중모음의 특성을 밝힌다. 현대 국어에서 단모음의 /ㅔ/와 /ㅐ/가 변별되지 않는 것이 이중모음에도 영향을 미쳐 /ㅖ/와 /ㅒ/, /ㅙ/와 /ㅞ/, /ㅚ/도 변별력이 떨어진다. 또한 /ㅢ/를 분석하면 안정화 구간이 단일 음절에서는 상대적으로 마지막 부분에 나타난다. 5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한계점을 제시하여 향후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 논의와 대별되는 연구 의의를 지닌다. 먼저 이중모음을 분절한 후 연구하여 이중모음의 동적 변화를 파악하였고 이중모음을 조음할 때 턱벌림의 정도와 입모양의 변화, 혀의 전후 위치의 변화를 분석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 이중모음을 발음하는 다양한 환경에 따른 특징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음운론적으로 논의되었던 주제들을 음성학적으로 확인하여 실제 현대 국어 화자들이 이중모음을 발음하는 양상을 분석할 수 있다는 점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Korean diphthongs experimentally phonetically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diphthongs and to analyze phonological issues regarding diphthongs. Since a diphthong is a complex vowel composed of a semivowel and a main vowel, unlike a single vowel, articulation bodies move when a single syllable is pronounced. In order to confirm this movement, the vowel is segmented, the values of 6 points are extracted, and the trajectory is implemented by connecting them. For this experiment, a script was used to segment the syllables by locating an objective position, and the extracted figures were graph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for comparison and analysis. Since there were 13 diphthongs used as the analysis target, and there were 4 types of experimental sentences, 52 sound source files were analyzed for each subject, and intensity, pitch, F1, F2, F3, F4, and time were analyzed at six points for each file. Since it was extracted over the course of time, 42 values can be obtained from one sound source, and the total number obtained through analysis is 43,680. According to the type of syllable, F1 and F2 were connected by points to create a formant trajectory for each syllable. In addition, by dividing the conditions for pronouncing diphthongs into syllable structure and speech environment (single syllable, intra-sentence speech), we tri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diphthongs when pronouncing them in various environments. Chapter 1 presents the research purpose and research method, and summarizes the research questions that started this study.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were summarized to reveal differences from previous studies. Chapter 2 summarizes the system of diphthongs through the theoretical backgrou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diphthongs, and examines the meaning of formant trajectories an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rajectories in this study. Chapter 3 describes the experimental process and results.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as to classify diphthongs by series, classifying them into j, w, and ɰ diphthongs. For each series, single-syllable GV structure, utterance environment and structure comparison, and male and female comparisons were performed as sub-branches. Chapter 4, the characteristics of diphthongs discussed in various ways in modern Korean are reveal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diphthongs with obvious singularities while analyzing all diphthongs. In modern Korean, the in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short vowels /ㅔ/ and /ㅐ/ also affects diphthongs, so /ㅖ/ and /ㅒ/, /ㅙ/ and /ㅞ/, and /ㅚ/ also have poor discrimination power. Also, when analyzing /ㅢ/, the stabilization section appears in the relatively last part of a single syllable. Chapter 5 concludes, reveal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s limitation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Existing studies on diphthong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from a phonological point of view, but there have been few studies to analyze them phonetically. Therefore, the singularities observed while analyzing the entire diphthong are summarized in Chapter 4. In modern Korean, the inability to discriminate between short vowels /ㅔ/ and /ㅐ/ also affects diphthongs, so /ㅖ/ and /ㅒ/, /ㅙ/ and /ㅞ/, and /ㅚ/ also difficult to distinguish. Also, when analyzing /ㅢ/, the stabilization section appears in the last part. This study has a research significance that is largely different from previous discussions. First, diphthongs are segmented and then studied to understand dynamic changes in diphthongs, and the degree of jaw-opening, changes in mouth shape, and changes in the anterior and posterior position of the tongue when articulating diphthongs are analyzed. Next, it is possible to fi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arious environments for pronouncing diphthongs. Lastly, by confirming the topics discussed phonologically phonetically,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pattern of actual modern Korean speakers pronouncing diphthong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51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61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