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5 0

이상 소설의 ‘희극성’ 연구

Title
이상 소설의 ‘희극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micality’ of Yi Sang’s novels
Author
허진혁
Alternative Author(s)
Heo Jin-Hyuk
Advisor(s)
서경석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Yi Sang’s novels focusing on the ‘Comicality’. Yi Sang and his literature are given tragic sublime due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biographical elements. However, the structure of failure of tragic failure in his novels becomes clearer when approaching through the comicality. Generally, the comicality occurs from contrast and discrepancy caused by the degradation of the sublime object into banal object. However, in a strict sense, the comicality shifts the difference between two objects placed on different layers to the inherent difference of the same object itself. This conversion indicates the fact that the sublime object does not exist beyond the reality, but it is only assumed by the limited reality. Tragedy acquires sublime immortality through a suicidal gesture in which an attempt to reach an elevated objects fails. On the other hand, comedy deals with the ridiculous immortality of life itself, which persists through failure of tragic failure. The comic structure in Yi Sang’s novels works through the logic of satisfaction of repeated failure itself, not through the failure to an inaccessible object. Chapter Ⅱ examines the comic conversion of tragic reality. In Yi Sang’s novels, the desire for death is revealed, not the fear of death. The fundamental fantasy which can activates the desire of death to escape from confronted reality is maintained by the intervention of reality. Thus, it would be said that the object of fear is not death but an immortal cycle of life such as the ‘death drive’. The immortality of the frightening life could be considered as the same level as the immortality in the comedy, and this immortality lasts in the form of ‘life-less’. The characters in the novels aspire to reach the ideal life and perceive the daily life of reality as a ‘life-like’. The characters who failed to enter the symbolic order pretend to be ‘life as a pose', which paradoxically reveals the perception that external reality is constituted fictionally. Chapter Ⅲ approaches the comic structure which consists of designed life based on the concepts of ‘double’ and ‘neighbor’. The double in the novels is presented as an obstacle that appears in the moment of acquiring the true Self or Life. The double is not divided aspects of a single self, but an uncanny object that embodies the fundamental lack of the subject. In addition, the ‘life-like’ of others threatens one’s designed life with the ‘excess of inhuman neighbor’. The excess of neighbor is the excess of ‘life-less’ that remains in oneself. One’s life and the external life of others do not have a substantive difference due to different attributes, but reveal the comicality as a ‘minimal difference’ which means the inherent inconsistency in the same object of absent Life. Chapter Ⅳ analyzed the comicality of dislocated love. While, the desire for love sublimated into a sublime object is located in an inaccessible area, love as a desublimation revealed through the comic effect is placed in the repeated failure of the absent object. In the novels, the sublime love represented by ‘chastity’ is not a substantive thing, but another appearance abstracted from the appearance of reality, ‘prostitution’ as a banal object. In other words, the love to be in an inaccessible area is dislocated and played in an accessible way through the comicality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ppearances redoubled on the object itself. The characters are not in the tragic failure toward abstract and universal object, but they concretize the fundamental impossibility of the object as a lack itself and visualize it in a negative way. The analysis of the comicality of Yi Sang’s novels enables a new reading of his works. According to the analysis, his works are not only recognizing the tragic reality but also staging the fundamental impossibility and lack of modern society through a comic structure.| 본 논문은 이상의 소설에 나타난 ‘희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작가 이상과 그의 문학은 시대적 배경과 전기적 요소로 인해 비극적 숭고함이 부여된 측면이 강하다. 그러나 그의 소설에 나타난 비극적 실패조차 실패하는 구조는 희극성을 통해 접근할 때 그 의미가 보다 분명해진다. 일반적으로 희극성은 숭고한 대상이 속된 대상으로 격하되어 발생하는 대조와 불일치를 통해 비롯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에서 희극성은 서로 다른 층위에 놓여 있는 두 대상 사이의 차이를 동일한 대상 그 자체의 내재적 차이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전환은 숭고한 대상이란 저 너머에 존재하는 것이 아닌 한계지어진 현실에 의해 상정된 것일 뿐이며 결여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지시한다. 따라서 비극은 저 너머의 영역으로 격상된 대상을 향해 나아가려는 시도가 실패하는 자살적 제스처를 통해 숭고한 불멸성을 획득하는 것에 반해, 희극은 비극적 실패조차 실패하며 지속되는 삶 자체의 우스꽝스러운 불멸성을 다룬다. 이상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희극적 구조는 접근 불가능한 대상에 대한 실패가 아닌, 반복된 실패 자체의 만족이라는 논리를 통해 작동한다. Ⅱ장에서는 비극적 현실의 희극적 전환을 살펴본다. 이상의 소설에서는 죽음에 대한 공포가 아닌 죽음을 향한 열망이 드러난다. 지금 여기의 현실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죽음의 욕망을 작동시키는 근본적 환상은 현실의 침입으로 인해서 유지된다. 따라서 공포의 대상은 죽음이라기보다는 ‘죽음 충동’과도 같은 불멸하는 삶의 순환이다. 공포스러운 삶의 불멸성은 곧 희극에서의 불멸성과 같은 층위에 놓여 있으며, ‘생활 없음’이라는 형태로 지속된다. 소설 속 인물들은 도달하고자 하는 이상적 생활을 열망하면서, 현실의 일상적 생활을 ‘생활 비슷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한다. 상징적 질서에 진입하지 못한 인물들은 ‘포즈로서의 생활’을 가장한다. 이는 외부적 현실이 허구적으로 구성되어 있음에 대한 인식을 역설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Ⅲ장에서는 설계된 생활로 구성되는 희극적 구조를 ‘분신’과 ‘이웃’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접근한다. 이상의 소설에 등장하는 분신은 온전한 자신이나 진정한 생활을 획득하려는 순간에 등장해 이를 방해하는 존재로 제시된다. 이때의 분신은 단일한 자아의 분열된 양상이 아니라, 주체 자체의 근본적 결여를 체현하는 섬뜩한 대상이다. 또한 타인의 ‘생활 비슷한 것’은 ‘비인간적인 이웃의 과도함’으로 나의 설계된 생활을 위협한다. 이웃의 과도함은 곧 나 자신에게 잔존하는 ‘생활 없음’이라는 과잉이다. 나의 생활과 타인의 외부적 생활은 상이한 속성들로 인해 실체적인 차이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부재하는 생활이라는 동일한 대상 안에 내재하는 불일치, 즉 ‘최소 차이’로서의 희극성을 드러낸다. Ⅳ장에서는 탈구된 사랑의 희극성을 분석한다. 숭고한 대상으로 승화된 사랑에 대한 욕망은 접근 불가능한 영역에 위치하는 반면, 희극적 효과를 통해 드러나는 탈승화로서의 사랑은 부재하는 대상에 대한 반복된 실패 자체에 놓여 있다. 이상의 소설에서 ‘정조’로 표상되는 숭고한 사랑은 실체적인 것이 아니라, 속된 대상으로서의 ‘매춘’이라는 현실의 외관으로부터 추상된 또 다른 외관이다. 다시 말해서, 대상 그 자체에 겹쳐진 두 외관 사이의 차이라는 희극성을 통해 도달 불가능한 영역에 놓여 있어야 할 사랑이 탈구되어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연출되는 것이다. 이상의 소설 속 인물들은 추상적이고 보편적인 대상을 향한 비극적 실패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결여 그 자체로서의 대상이 지닌 근본적 불가능성을 구체화하며 부정적인 방식으로 가시화한다. 이상 소설의 희극성에 대한 분석은 그의 작품들이 비극적 현실에 대한 인식에서 나아가, 근대적 사회의 근본적 불가능성과 결여의 층위에 대해서 희극적 구조를 통해 문학적으로 연출해내고 있다는 새로운 독해를 가능하게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76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9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