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3 0

박인환 시 연구

Title
박인환 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ark In-Hwan’s Poetry
Author
정애진
Alternative Author(s)
Jeong, AeJin
Advisor(s)
유성호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paper aims to delve into the agony and consciousness of the poetic ego of In-Hwan Park who responds to the time of colonization, by analyzing his poetry in the two keywords of ‘hope’ and ‘insecurity’. In-Hwan Park had a keen sense in observing the society and the world, though he died at an early age. Korean society was in the turbulent and chaotic era during his whole life, from 1926 to 1956. The poet who had experienced the chaoses such as ‘colonization era’, ‘independence’, ‘Korean civil war’ had tried to fight against harsh world, and immersed himself in the emergence of the new literature which can underpin the unstable band among the cosmopolitans. The ‘hope’ and the ‘insecurity’ in the poetry of In-Hwan Park can be the new perspectives of viewing his poetry in that the two notions reflect the turbulent history which had lasted during his whole life, and show the will of poetic ego to overcome the harsh world. In addition, the two notions imply th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nihilism’ and the ‘sentimentality’, which are well known as the limitation of his poetry. This paper classifies his poetry into three periods: early, middle, and late period, thereby illustrating the aspect of changing poetic consciousness in the stream of time. Chapter 2 focuses on the world of ‘hope’ portrayed in the early poetry of In-Hwan Park. His early poetry, which had been released from 1947, after the independence, to 1949, right before the beginning of the Korean civil war, fully reflects the perspective in which the poet had seen the reality of political situation that Korea faced after independence. The independence of his native country brought the atmosphere of anticipation and hope for the new world to the whole country. Nevertheless, a looming conflict between the ideologies and expansion of the new imperialism threatened the bright prospect for the future. In-Hwan Park strived to sustain the ‘hope’ for the future in the uncertain world by the ‘solidarity’, which means the community spirit based on the citizenship. Though In-Hwan Park strived to define himself as the postcolonial subject, he suffered from personal hardships such as the failure of the literary magazine and incidence of the Workers Party of South Korea. Eventually, his cognition of the world that had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 bright future in the perspective of the ‘hope’ progressed towards the ‘insecurity.’ Chapter 3 focuses on the world of ‘insecurity’ and its aspect of manifestation portrayed in the middle-period poetry of In-Hwan Park. Right after the beginning of the Korean civil war, contemporary literary figures were entangled with the feeling of fear, nihilism, and insecurity that the individuals' rational thoughts could not control. The shock that the war had evoked obscured the boundary between the life and death, and aroused the survival instinct, which is usually hidden in one’s mind. However, notably, the Korean civil war was not the only reason that In-Hwan Park’s poetic world had changed drastically after the war. The ‘insecurity’ his poetry portray is interrelated to the ‘existence’ of the individual. While ‘fear’ is the emotion that arouses in the circumstances that evoke horror, ‘insecurity’ is the emotion that the evokes the feeling that is not identifiable or uncertain.is not identifiable or uncertain. For In-Hwan Park, the ‘insecurity’ of the poetic ego is attributed to the essential question about the self. ‘Insecurity’ evokes endless questions about the existence of ‘self’, and the world loses its meaning in the feeling of 'insecurity.' Humans are caught in the endless loneliness at the collapse of familiar world to the meaningless one. The ‘absence of the God’ portrayed in the poetry of In-Hwan Park implies the special point that illustrates the world of nothingness. ‘God’ is the only one last object that humans can resort to in the moment of despair in which everything loses its meaning. The meaning of the Absolute is maximized by the extreme situations, especially by wars. However, God is portrayed as an incompetent and meaningless one in the poetry of In-Hwan Park. The finite lives of individuals are wholly in charge of themselves in the world in which the omnipotent God is not able to save the individuals. The poetic ego thereby becomes closer to the ‘death’ and acquires the possibility of its existence by confronting the 'death.' Chapter 4 focuses on the another meaning of ‘insecurity’ and the intention to progress to the world of the ‘hope’ again through the conscientious poem writing, both of which are portrayed in the late poetry of In-Hwan Park. The poet went on a trip to America by chance in March 1955 and illustrated the experience of 19-days trip in several essays and the . The biggest problem that South Korea had to cope with was to recover from the devastation caused by Korean civil war, and America rose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developed country,’ which South Korea had to take as a role model. The liberalism and democracy that American had developed and the leading civilization based on the notions became the targets of envy for many elites. In-Hwan Park highly appreciates American society's public order and the people's attitude as the leading citizens in his essays. On the other hand, the grief of the stranger who was isolated, rejecting the material civilization, and the homesick, wandering poetic ego are portrayed in the 11 poems categorized as the . This ambivalent attitude evokes the question about the poet's existence, and the repeated questions of ‘Who am I’ stimulate the desire to retrieve the intrinsic ego. As a result, Park In-hwan's late poetry show different patterns from previous poems in subject consciousness and poetic sanctions. The meaning of 'solidarity' in early poems extends to a wider range of community perceptions, which in turn leads to the restoration of the original self through conscientious poetry writing. KeyWord : Park In-Hwan, the period of liberation, 1950’s, Modernism, death, hope, anxiety, nihilism, existentialism, A collection of poems(Sun-sijip), Shinshiron, Hubangi.|이 논문은 박인환의 시를 ‘희망’과 ‘불안’의 두 키워드로 살펴봄으로써 시대에 대응하는 시적 주체의 고뇌와 의식 세계를 보다 면밀히 관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비록 젊은 나이에 작고했으나 박인환은 그 누구보다 세상과 사회를 치열하게 바라본 시인이었다. 그가 태어났던 1926년부터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1956년까지, 한국 사회는 격동과 혼란의 시대에 직면해 있었다. ‘일제강점기’, ‘해방 정국’, ‘6.25 전쟁’ 등 역사적 격변을 경험해온 시인은 ‘시 쓰기’를 통해 험난한 사회와 싸우고자 했으며, 불안정한 연대를 견인할 새로운 문학의 발돋움을 위해 그 누구보다 치열하게 골몰했다. 박인환 시에 나타나는 ‘희망’과 ‘불안’의 두 세계는 시인의 생애를 관통한 질곡의 역사를 반영하고, 시적 주체의 현실 극복 의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그의 시 세계 전반을 조망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시의 한계점으로 회자되어온 ‘허무주의’와 ‘감상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 또한 열어준다. 이 논문에서는 박인환의 시 세계를 초기, 중기, 후기 세 시기로 구분하고 시대에 따른 의식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박인환의 초기 시에 나타나는 ‘희망’의 세계에 주목한다. 해방 후 1947년부터 6. 25 전쟁 발발 직전인 1949년까지 발표된 그의 초기 시에는 해방정국을 바라보는 시인의 현실 인식이 잘 반영되어 있다. 조국의 광복은 온 나라에 새로운 세계에 대한 기대와 희망의 바람을 불게 했다. 그러나 점차 확산되어가는 이데올로기의 대립과 신제국주의의 팽창은 미래를 향한 긍정적인 전망을 위협하고 있었다. 불확실한 현실 속에서 박인환은 시민 정신을 바탕으로 한 공동체 의식, 즉 ‘연대’를 통해 낙관적인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견지하고자 했다. 탈식민적 주체로서 자신을 위치시키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박인환은 동인 활동의 실패, 남로당 사건 등 개인적 고난을 겪게 된다. 결국 ‘희망’의 시선에서 밝은 미래의 가능성을 엿보고자 했던 그의 세계 인식은 점차 ‘불안’으로 이행하게 된다. Ⅲ장에서는 박인환의 중기 시에 나타나는 ‘불안’의 세계와 구체적 발현 양상을 고찰한다. 한국 전쟁 발발 직후, 당대의 문인들은 인간의 이성적 사고로 제어할 수 없는 공포와 허무, 불안 등의 감정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전쟁이 야기한 충격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모호하게 했으며, 인간의 내면 깊이 자리하고 있는 생존의 본능을 일깨웠다. 그러나 한국전쟁을 전후로 박인환의 시 세계가 눈에 띄게 변모한 이유가 비단 전쟁이라는 특정 상황 때문만은 아니란 점에서 주목을 요할 필요가 있다. 그의 시에서 나타나는 ‘불안’은 개인의 ‘실존’의 문제와 맞닿아 있다. ‘공포’가 두려움을 야기하는 특정한 상황 속에서 나타나는 감정이라면, ‘불안’은 자기가 불안해하는 그것이 무엇인지 알 수 없는, 즉 대상이 불확실한 감정이다. 박인환의 경우, 시적 주체의 ‘불안’은 자기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에서부터 기인한다. ‘불안’은 ‘나’라는 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고민을 유발하며, ‘불안’의 기분 속에서 세계는 그 의미를 상실한다. 친숙했던 세계가 무의미의 세계로 미끄러져 내리는 순간, 인간은 한없는 고독에 사로잡히게 된다. 박인환의 시에서 나타나는 ‘신의 부재’는 무(無)의 세계를 표상하는 독특한 지점을 내포한다. 모든 것이 의미를 잃어버린 절망의 순간에서 인간이 마지막으로 의지할 수 있는 대상은 ‘신’뿐이다. 특히 전쟁과 같은 극한의 상황은 절대자의 의미를 더욱 극대화하는 요인이 된다. 그러나 박인환의 시에서 신은 무능하고 무의미한 존재로 그려진다. 신의 전능한 힘이 인간의 삶을 구원해주지 못하는 세계에서 개인의 유한한 삶은 오로지 그 자신의 몫이 되고 만다. 이로써 시적 주체는 ‘죽음’과 더 가까워지고, ‘죽음’과 직면함으로써 자기 고유의 존재 가능성을 획득하게 된다. Ⅳ장에서는 박인환의 후기 시에 나타나는 또 다른 의미의 ‘불안’과 양심적 시 쓰기를 통해 다시금 ‘희망’의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시선을 살핀다. 1955년 3월, 우연한 기회로 미국 기행을 떠나게 된 시인은 19일간의 경험을 몇 편의 산문과 <아메리카 시초>에 담아냈다. 당시 전쟁으로 인해 황폐해진 삶의 터전을 복구하는 일은 한국 사회가 감당해야 할 가장 큰 과제였으며, 미국은 한국이 본보기로 삼아야 할 ‘선진 국가’의 대표적 표본으로 떠오르고 있었다. 특히 미국 사회가 견인해온 자유민주주의와 이를 바탕으로 이룩한 선진 문명은 많은 지식인들에게 선망의 대상이 될 수밖에 없었다. 박인환은 그의 산문에서 미국 사회에 자리 잡힌 질서와 선진 국민으로서의 시민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반면 <아메리카 시초>로 묶이는 11편의 시에서는 물질문명의 세계를 스스로 부정하며 철저히 고립된 이방인의 비애와 고향을 그리워하며 방황하는 시적 자아의 모습이 드러나게 된다. 이 같은 이중적 태도는 시인 자신에 대한 존재 물음을 야기하며, ‘나는 누구인가’라는 반복된 물음은 본래적 자아를 되찾고자 하는 욕구를 촉발시킨다. 이로써 박인환의 후기 시는 주제 의식, 시적 제재 등에서 이전 시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된다. 초기 시에서의 ‘연대’의 의미는 더 넓은 범위의 공동체적 인식으로 확장되며, 이는 곧 양심적 시 쓰기를 통한 본래적 자아의 회복으로 이어진다. 주제어: 박인환, 해방기, 1950년대, 모더니즘, 죽음, 희망, 불안, 허무주의, 실존주의, 선시집, 신시론, 후반기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401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9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 LITERATURE(국어국문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