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 0

문식성 신장을 위한 유추적 사고의 기제 연구

Title
문식성 신장을 위한 유추적 사고의 기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Mechanism of Analogical Thinking for Literacy Improvement
Author
김형석
Alternative Author(s)
Kim, Hyungseok
Advisor(s)
류수열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principle and mechanism of “Analogical Thinking” and to implement the analogical thinking education for literacy improvement. Analogy is “inference through ideas between source domain and target domain that are structurally similar,” and analogical thinking can be construed to be the ability to use cognitive functions in line with this method of analogy. The process of analogical thinking consists of “interpretation and retrieval – structuring and mapping – initial application – evaluation”, and each process is made up of several basic cognitive functions. The performance of analogical thinking leads to literacy practice and improvement. The practice of literacy is performed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and contextual circumstances centered on text. By the properties and level of language activity, literacy can be largely divided into functional/pragmatic/critical levels. The functional level of literacy is to understand basic knowledge · norms · functions for reading and writing, and to decode the surface meaning of the text. The literacy at the pragmatic level refers to an area of language activity that takes place in the context of a real situation, and is to grasp the in-depth meaning from the surface meaning of the text or to perform activities tailored to the intention of the text. Lastly, the literacy at the critical level is an area of practical language activity in which the subject of language activity interacts with the reality context surrounding oneself through analytical activities on text, involving critical understanding, evaluation, and introspec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patterns of multi-layerd literacy realization of analogical thinking through actual analogous text. Basic knowledge of letters or vocabulary,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the inferred text, etc., corresponds to the literacy at the functional level, and is directly or indirectly used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analogical thinking.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analogical text according to the process of analogical thinking and infer its intentions, which is the literacy activity at the pragmatic level. Finally, language users make critical judgments about the meaning of text through analogical thinking, while transferring them to their lives and reality, which is to practice the literacy at the critical level. By synthesizing the above, the goals and contents relating to the analogical thinking education of the Korean language geared toward literacy improvement can be devised. The purpose of analogical thinking education is to cultivate critical understanding of text, acquire tools for creative thinking, and develop attitudes toward voluntary learning. First, critical understanding encompasses a deeper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or knowledge and rational judgment based on it. By acquiring relevant knowledge and functions through analogical thinking education, the learners can grasp the in-depth meaning and intention of the text, determine whether to accept or discard the inferred conclusion, and modify the performance of analogical thinking. Next, creative thinking can be achieved through the strategic use of everyday cognitive functions, and analogical thinking can be applied as a tool for creative thinking. A performer of analogical thinking discovers and embodies new associations between different areas based upon an understanding of a specific topic or area. Finally, the learners integrate newly learned knowledge with existing one by using analogical thinking, and the experience of mathematical sublime , gained by connecting the areas that are not related and discovering integrated fundamentals and principles, acts as a motivation for voluntary internalization of learning content. Analogical thinking is also related to the study methodology of kyeokmool-chizi(格物 致知, gé-wù-zhì-zhī) seeking the discovery of universal reason through the idea of external objects. The analogical thinking based upon the principle of kyeokmool-chizi is not just a momentarily fleeting experience, but also forms a tendency for thinking activities that continuously expand the horizon of perception. The contents of analogical thinking education can be put forth in terms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First, as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knowledge, the literacy at the functional level acting on analytical thinking can be presented. This involves procedures, rules, and the comparison with relevant concepts of analogy. Next, the activities of analogical thinking conducted at the pragmatic and critical levels of literacy can be presented as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At this time, in order to train the function of invisible analogical thinking, the instructor should be able to mediate in the process of thinking through appropriate stimuli and reactions. Finally, an understanding of the significance of analogical thinking should be provided as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attitudes. Through this, learners can voluntarily practice analogical thinking at the critical level of literacy.|이 연구는 ‘유추적 사고(類推的 思考, Analogical Thinking)’의 개념 및 원리를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식성 신장을 위한 유추적 사고 교육의 내용을 구안하고자 한다. 유추는 ‘근거영역과 목표영역 간의 구조적 사상(mapping)을 통한 추론 행위’이며, 유추적 사고란 이러한 유추의 방식에 따라 인지 기능들을 사용하는 능력이라 할 수 있다. 유추적 사고의 수행 과정은 “해석 및 인출―구조화 및 사상(mapping)―추론적 적용―평가”로 이루어지며, 각 과정은 몇 가지 기초적 인지 기능들로 구성된다. 유추적 사고의 수행은 문식성의 실천과 신장으로 이어진다. 문식성의 실천은 언어활동의 주체가 텍스트를 중심으로 사회·문화적인 배경 및 상황 맥락과 상호 작용하며 이루어지는데, 언어활동의 성격과 층위에 따라 크게 기능적 층위‧실용적 층위‧비판적 층위의 문식성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능적 층위의 문식성은 읽기와 쓰기를 위한 기초적 지식이나 규범·기능 등에 대해 알고, 텍스트의 표면적 의미를 해독하는 것이다. 실용적 층위의 문식성은 실제 상황 맥락 속에서 이루어지는 언어활동의 영역으로, 텍스트의 표면적 의미로부터 심층적 의미를 파악하거나 텍스트의 의도에 맞는 활동을 수행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판적 층위의 문식성은 언어활동의 주체가 비판적 이해‧평가‧성찰 등 텍스트에 대한 분석적 활동을 통해 자기 자신을 둘러싼 현실 맥락과 상호작용하는 실천적 언어활동의 영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유추 텍스트를 통해 유추적 사고의 단계별 중층적 문식성 실현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문자나 어휘에 대한 기초적 지식, 유추 텍스트의 구조에 대한 이해 등은 기능적 층위의 문식성에 해당하며 유추적 사고의 전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활용된다. 유추 텍스트의 수용자는 유추적 사고의 과정에 따라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의도를 추론해 나가게 되는데, 이는 실용적 층위의 문식성 활동이다. 마지막으로 언어 사용자는 유추적 사고를 통해 텍스트의 의미에 대해 비판적 판단을 내리는 한편 자신의 삶과 현실에 전이시키게 되는데, 이는 비판적 층위의 문식성을 실천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하여, 문식성의 신장을 위한 국어과 유추적 사고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구안할 수 있다. 유추적 사고 교육의 목적은 텍스트에 대한 비판적 이해력을 함양하고, 창의적 사고 수행의 도구를 습득하며, 자발적인 학습 수행의 태도를 기르는 데 있다. 먼저 비판적 이해력은 정보나 지식에 대한 심화된 이해와 이에 근거한 합리적인 판단을 포괄한다. 유추적 사고 교육을 통해 관련된 지식과 기능들을 습득함으로써, 수용자는 텍스트의 심층적 의미와 의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추론된 결론에 대한 수용‧폐기 여부를 판단하고 유추적 사고의 내용을 수정해 나갈 수 있다. 다음으로, 새로운 것을 생성해내는 창의적 사고는 일상적 인지 기능들의 전략적 활용을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유추적 사고는 창의적 사고 수행을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유추적 사고의 수행자는 특정 주제나 영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상이한 영역들 간의 새로운 연관성을 발견하고, 이를 구체화시켜 나가게 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는 새롭게 학습한 지식에 대하여 유추적 사고를 활용함으로써 기존의 지식과 통합시키게 되는데, 연관성이 보이지 않는 영역들을 연결 짓고 통합적인 원리 및 원칙을 발견함으로써 얻게 되는 수학적 숭고의 체험은 학습 내용에 대한 자발적 내재화의 동기로 작용한다. 유추적 사고는 외부 사물에 대한 궁리를 통해 보편적 이치의 발견을 추구하는 ‘격물치지(格物致知)’의 공부 방법론과도 연관된다. 격물치지의 유추적 사고는 순간적인 경험에 그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인식의 지평을 확장해나가는 사고 활동의 경향성을 형성한다. 유추적 사고 교육의 내용은 지식‧기능‧태도의 측면에서 제시할 수 있다. 먼저 지식에 해당하는 내용으로는 유추적 사고에 작용하는 기능적 층위의 문식성들을 제시할 수 있다. 여기에는 유추적 사고의 절차, 규칙, 관련 개념과의 비교 등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실용적‧비판적 층위의 문식성에서 이루어지는 유추적 사고의 수행 활동을 기능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때 비가시적인 유추적 사고의 기능을 훈련시키기 위해서, 교수자는 적절한 자극과 반응을 통해 사고의 과정에 매개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태도에 해당하는 교육 내용으로는 유추적 사고의 의의에 대한 이해가 제공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자발적으로 비판적 문식성의 층위에서 유추적 사고를 실천할 수 있게 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94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8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LANGUAGE EDUCATION(국어교육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