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4 0

향토민요 말붙임새의 음악적 구현양상과 의미

Title
향토민요 말붙임새의 음악적 구현양상과 의미
Other Titles
The Musical Aspects and Meaning of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in Traditional Folk Songs
Author
이정민
Alternative Author(s)
Lee Jeong Min
Advisor(s)
조주선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focused on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in folk song and the aspect of their performance. Centering on the 3 small beat and 4 beat folk songs which are transmitted regionally, the following are analyzed: the features of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by their types, the tempo, the repetitive structure, and usage analysis of stress structure. Through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function of folk song and the related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are examined and the following are the summary. Firstly, the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show regional remarkable differences. In Gangwon, the types of the four syllable are stable while, in Gyunggi, the 1st subsequent type and the syllable expansion type was frequent. The following was frequent in the respective regions: in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the syllable expansion type, in Gyungsangnamdo and Jeollabukdo, the basic syllable type, in Gyungsangbukdo, the syllable-diminished type were frequent. In Jeollanamdo, the syllable complex type was more frequent, and it utilizes rhythms in a diverse manner, disclosing a 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culture and the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Secondly,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he basic syllabl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1+2 rhythm, 2+1 rhythm, and a mixture of 1+2 and 2+1. They can be found in genres such as , , . The syllable-diminished types use complex, various rhythms because their syllables are diminished and they can be found in . The syllable expansion types use certain situations from songs as the lyric and because the number of letters increases 1+1+1 rhythm is frequently used. They can be found in , , and etc. The syllable complex type uses three kinds of rhythms such as 1+2, 2+1, 1+1+1 because of the combination of syllable reduction and addition. It is found in and that are related to motions. Thirdly, The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used for starting a song is related to the tempo of music and the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from the last beat in a rhythm is related to breathing of singing method. A song that starts the first beat with the rhythm of 1+2 is found to be used in slower songs than the 2+1 rhythm. A song that uses 2+1 rhythm for the last beat in the rhythm is used for leading and receiving type that is not influenced by breathing. However, in the case of solo singing, it is rarely used because there is no time to breathe before moving onto the next rhythm. Fourthly,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have a relation with the formal organization of a song.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repeats itself and forms a rule, however, it is connected to the function of singing genres and combined into various rhythm, forming a diversity. Repeating in the units of different types of 2~3 beats, it is confirmed that it is used to construct a larger unit of songs. Fifthly,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is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function of songs and it can be categorized into ‘lullaby type’, ‘play song type’, ‘traditional children’s song type’, ‘labor song types’. ‘Lullaby type’ shows a fixed expression in which identical repetitive rhythm is used, ‘play song type’ is a form which is connected to the motion of jumping and it utilizes autonomy and flexibility. ‘Traditional children’s song type’ shows reduced lyrics while ‘labor song type’ uses complex syllables and expanding lyrics. Lastly, 2 small beat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at the beginning and the ending of rhythm discloses a relation to the genre assimilation. Folk songs under the influence of jungjungmori type is frequently found in Jeolla regions while folk songs influenced by gutguri type is scattered across the nation. The characteristics of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found in folk songs show creative principle and transmission principle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s of the song.|본 연구는 향토민요 말붙임새의 음악적 특징과 구현양상을 살펴본 글이다. 지역별로 전승되는 3소박 4박자의 향토민요를 대상으로 말붙임새의 유형별 특징, 빠르기와의 연계성, 반복 구조와 형식과의 관계, 강세 구조의 활용 양상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하여 향토민요의 기능과 연관된 말붙임새의 특성과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논의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토민요의 말붙임새를 유형화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마다 사용하는 말붙임새의 유형에 차이가 있었다. 강원은 4가지 음절 유형이 대체로 고르고, 경기도는 음절 확대형과 1자 다음형이 주로 사용되었다.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는 음절 확대형, 경상남도는 음절 기본형, 경상북도는 음절 축소형의 비중이 높았다. 전라북도는 음절 기본형 가운데서도 리듬을 섞어서 사용하는 형태가 많으며, 전라남도는 음절 복합형의 비중이 높고 리듬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특징이 있으며, 지역의 장르적 특성과 말붙임새가 연관된 것을 엿볼 수 있었다. 둘째, 말붙임새는 노랫말 율격의 기본 원리를 토대로 4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음절 기본형은 1+2, 2+1, 1+2와 2+1 리듬이 섞이는 형태가 있으며, 각각 <자장가>, <강강술래>, <기타 타령>의 장르에서 확인된다. 음절 축소형은 음절이 축소되면서 다양한 리듬형이 복합적으로 사용되며, <전래동요>에서 주로 확인된다. 음절 확대형은 가창의 상황을 노랫말로 삼아 부르면서 글자 수가 늘어남에 따라 1+1+1 리듬이 주로 사용되며 <노동요>와 <기타타령> 장르가 해당된다. 음절 복합형은 음절 축소와 확대가 섞이면서 1+2, 2+1, 1+1+1, 3의 리듬이 사용되며, 동작과 연관된 <노동요>나 <유희요> 등이 있다. 셋째, 말붙임새는 음악의 빠르기와 가창 방식과도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악곡의 시작형 말붙임새는 음악의 빠르기와 관련되어 있고, 한 장단의 끝 박의 말붙임새는 가창 방식 중에 호흡과 연관되어 있었다. 악곡의 첫 번째 박을 1+2 리듬으로 시작하는 노래는 2+1 리듬에 비하여 느린 악곡에서 확인되었다. 한 장단의 끝 박에 2+1 리듬을 사용하는 악곡은 대부분 호흡의 영향을 받지 않는 메기고 받는 형식에서 사용되었다. 넷째, 말붙임새의 규칙성을 통하여 말붙임새가 악곡의 형식적인 부분에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말붙임새는 다양한 리듬으로 조합하면서 다양성을 구축하기도 하지만 동일하게 반복되며 규칙을 이루기도 한다. 반장단 규칙형이 한 장단 규칙형이 될 수 있는 유기적 관계를 이루기도 하고, 유형이 다른 2~3장단 단위가 반복되면서 더 큰 단위의 악곡을 구축하는 형태도 확인되었다. 이처럼 말붙임새는 작은 단위의 리듬으로 시작하여, 반 장단 단위부터 한 장단 단위를 벗어나 더 큰 단위의 악구를 형성하기도 한다. 다섯째, 말붙임새는 악곡의 기능과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었으며, 가창 장르의 기능과 빠르기, 음절 구성에 따라 유형화가 가능하였다. ‘자장가형’, ‘놀이노래형’, ‘전래동요형’, ‘일노래형’으로 유형화될 수 있다. ‘자장가형’은 동일하게 반복되는 리듬형이 고정적인 공식구적 표현으로 나타나며, ‘놀이노래형’은 뛰는 동작과 연결되고 자율성과 유동성이 반영되는 형태이다. ‘전래동요형’은 음절이 축소된 의성어와 같은 노랫말을 사용하며, ‘일노래형’은 음절이 복합적이고 확대되는 상황을 노랫말에 담아 부르는 형태로 유형화된다. 여섯째, 장단 전 · 후반의 2소박형 말붙임새 구조로 장르적 접변과의 관련성을 엿볼 수 있었다. 중중모리형에 영향을 받은 향토민요는 전라도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고, 굿거리형에 영향을 받은 향토민요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특정 지역에서 연행되는 예술 음악의 수용은 향토민요와의 장르적 접변 현상으로 나타나며, 말붙임새를 통하여 확인되었다. 이처럼 향토민요는 생활속 기능과 음악 어법을 근간으로 하는 리듬 체계가 있으며 이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있었다. 또한 향토민요에 드러나는 말붙임의 특징은 가창 기능에 따른 창작 원리와 전승 원리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84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8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