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0 0

한국 판소리와 중국 고사(鼓詞)의 음악양상 비교 연구

Title
한국 판소리와 중국 고사(鼓詞)의 음악양상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Musical Aspects of Korean Pansori and Chinese Guci-Focusing on “ Rommance of the threeKingdoms ”
Author
동이린
Alternative Author(s)
DONG YILIN
Advisor(s)
조주선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국문요지 본고는 한국의 판소리와 중국의 설창 ‘고사’로 전승되고 있는 󰡔삼국지연의』를 대상으로, 그 전승 양상과 음악적 특징을 비교・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국 설창과 한국의 판소리는 양국을 대표하는 전통예술로, 일정한 서사를 음악적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양식적 공통점이 있다. 중국 연의소설 󰡔삼국지연의󰡕는 중국 설창 고사의 주요 작품으로 전승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적 변용을 거쳐 판소리 <적벽가>로 전승되고 있다.   판소리와 고사의 양식적 특징을 제시하고, 판소리와 고사로 전승되고 있는 󰡔삼국지연의』의 사설과 음악적 특징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설창예술인 ‘고사’와 한국의 판소리가 양식적으로 정립된 시기는 대략  17~18 세기로 같다. 두 양식 모두 전승 과정에서 다양한 유파로 분화되는 모습을 보이는데, 중국의 고사가 한국의 판소리에 비해 더 많은 유파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중국 고사의 유파는 역사성과 전통성을 간직하며 오늘날까지 양식적 특징을 그대로 지니고 있지만, 한국의 판소리는 창극이 등장한 20세기 이후 유파의 고유한 특징이 희석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국 판소리와 중국의 고사는 모두 구전심수(口傳心授)로 전승된다는 점과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둘째, 󰡔삼국지연의󰡕는 판소리와 고사의 중요한 레퍼토리로 전승되고 있다. 중국소설 󰡔삼국지연의󰡕가 중국에서 중요한 공연 레퍼토리로 전승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거니와, 16세기 무렵 조선에 전래된 이후 조선에서 상당한 인기를 얻으며 한국적 변용과 재창조를 거쳐 판소리 <적벽가>로 거듭난 점은 문화의 수용과 전파라는 측면에서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다. 중국의 경우 󰡔삼국지연의󰡕는 매우 중요한 문학 예술 장르로 전승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대목이 고사로도 전승되고 있다. 셋째, 중국 고사와 한국의 판소리는 양식적 측면에서 유사한 점이 많다. 무대에서 소리꾼이 공연하고 악사는  반주하며, 객석에는 관객들이 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반면에 고사에서 공연의 중심은 고사 소리꾼인데, 한국의 판소리에서는 소리꾼, 고수(반주자), 관객이 모두 중요한 위치에 있다는 차이점도 있다. 중국 고사에서는 반주 악기로 리듬악기도 사용하고 선율악기도 사용한다. 이에 반해 한국 판소리는 리듬악기만 사용한다. 음악 면에서 한국 판소리의 리듬과 조는 중국 고사의 리듬과 조보다 훨씬 풍부하고 변화가 많다. 또한 판소리와 고사에 공통적으로 있는 전승되는 적벽가 사설도 매우 유사하다. 창과 이야기가 공존한다는 사실도 두 양식의 공통점이다. 판소리는 아니리와 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고사 또한 설(說)과 창(唱)이 공존한다. 음악의 조와 리듬 면에서 고사 화용도의 리듬과 판소리 적벽가의 리듬은 모두 줄거리와 밀접한 관련성을 보인다. 하지만 판소리의 조는 줄거리와 매우 밀접한 관련성 보이지만, 고사의 창강은 줄거리와 밀접한 관련성이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중국의 설창 고사와 한국의 판소리는 전승의 측면이나 음악적 측면에서 상호 밀접한 연관을 보이고 있으며, 공통점과 변별성을 지니고 있다. 본고는 고사와 판소리로 전승되는 󰡔삼국지연의󰡕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아, 양식적 측면과 음악적 특징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양국이 공유하고 있는 󰡔삼국지연의󰡕의 예술적 가치를 구명하고, 나아가 양국의 문화적 동질성과 변별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주제어: 중국 고사, 한국 판소리, 삼국지연의, 적벽가, 화용도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465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8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