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4 0

20세기 송서의 전승성과 음악 특징 연구

Title
20세기 송서의 전승성과 음악 특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Musical Characteristics of Songseo in the 20th century
Author
김예진
Alternative Author(s)
Kim yejin
Advisor(s)
조주선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ABSTRACT Songseo in the 20th century indicated the aspect that the sound of reading performed as universal culture was changed into a genre of vocal music. This study has considered the transmission of Songseo and examined the representative musical pieces of Songseo, , , , , and , to analyze the melodies and music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can be summed up as below. In Chapter Ⅱ, the transmission of Songseo is investigated. In traditional society, Songseo was used as a crucial way mainly for sadaebu to acquire Chinese and cultivate their character. Professional storytellers appeared as novels became popular in the 18th and 19th century, and they developed stories vividly adding entertaining technique, too, mainly with Korean-written novels popular then. Although it is hard to estimate the time exactly, Songseo began to be enjoyed in gibang having sadaebu and intellectuals as customers. As the media became vitalized in the 20th century, professional musicians working then centering around Lee Mun-won and Kwon Beon began to perform Songseo genuinely adopting the sound of reading. After that, Songseo was handed down to professional musicians and developed as performing culture for appreciation, and as it came to be a form of art, it was spotlighted musically and came to be a genre of vocal music. Lee Mun-won’s Songseo was transmitted to Muk Gye-wol and then her disciple, Yu Chang, and in 2009, it came to be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Chapter Ⅲ, Songseo’s saseol is examined. In Section 1, the process of five musical pieces of Songseo becoming formed as a representative repertoire are investigated through saseol collections. In the saseol collections issued from 1910 to 1950, two pieces of songs, and , were contained. From 『Gayojipseong』 in 1961, the item of ‘Songseo’appeared, and the songnamed was included in it. Later, in 1976, songs like , , or were included in 󰡔Hangukgachangdaegye󰡕, and in 2011, five pieces of songs, , , , , were contained. In Section 2, the aspects of changing saseol in those five musical pieces are examined. Comparing saseol collections published in the 20th century, this author has found that is the only one that showed change in saseol between 1915 and 1916, but later, it returned to the original form and then became transmitted in them. About the rest musical pieces, the lyrics were modified according to the rules of orthography and modern language, and there is not much change in the contents of saseol. Therefore, the long saseol of Songseo is characterized by that it has been transmitted while maintaining the fixed form in the process of being performed and transmitted as a song. In Chapter Ⅳ, this author analyzes the melodies of those five musical pieces and examines their mus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in Songseo, the beat is irregular, but a constant mode is applied to lyrics adding. According to who sings it, however, the beat tends to be either longer or shorter in particular lyrics, and this phenomenon has become the song’s unique feature. The sound structure of Songseo and sigimsae have shown that the five musical pieces of Songseo have tori similar to that of folk songs. is characterized by the mixture of gyeongtori and susimgatori melodies, and singers go with one of the four types, susimgatori, gyeongtori+susimgatori, gyeongtori, and bangyeongtori. consists of gyeongtori, but Kim Jeong-yeon and Han Myeong-sun apply the sigimsae of western provinces with deep and intense vibration to the ending melody, so it looks as if it ended with susimgatori melody. , , and all consists of gyeongtori; however, singers tend to go with appearing tones having sigimsae, the frequency of sigimsae, or forms of it differently. Lastly, this author has examined the ending melody of each of the musical pieces and found that the forms are diversified by who sings it. First, the mood of susimgatori is stressed by lengthening a particular beat and adding deep and intense sigimsae from western provinces. Second, the rhythm is divided into small pieces and developed sequentially, and sometimes, musical technique is added splendidly. Third, as if they read text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it, they take out the first tone and repeat the melody of going down to the low register, and there is a mode that lets us feel as if they read out each of the letters consisting of the lyrics clearly and neatly. Fourth, there is a mode of constructing a simple melody mostly with major tones. Therefore, the ending melody reveals the singer’s interpretation of the song and musical style. As shown above, the five musical pieces of Songseo, , , , , and , have shown that unlike the long saseol that has been transmitted in a fixed form, musical elements are found to differ by the singer or genre group. Expressing the sound of reading with musical methods and sentiments can be said to be the musical feature of the Songseo genre. |국문요지 본 연구는 20세기 송서를 대상으로 연행 주체에 따른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송서의 대표적인 악곡 <추풍감별곡>·<짝타령>·<삼설기>·<등왕각서>·<적벽부> 등 다섯 악곡의 선율을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는 송서의 전승성을 고찰하였다. 전통사회에서 송서는 사대부를 중심으로 한문을 익히고 인격을 수양하는데 중요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18·19세기 소설이 흥행하면서 직업적인 이야기꾼이 등장하였고, 이들은 당시 유행하였던 국문소설을 중심으로 예능적인 기교를 더해 실감나게 이야기를 전개하였다. 한편 이 시기에 송서는 사대부와 식자층을 고객으로 하는 기방에서도 향유되기 시작하였다. 20세기 초 미디어매체가 활성화되면서 이문원과 권번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전문음악인들은 본격적으로 글 읽는 소리를 수용하여 송서를 연행하기 시작하였다. 이후 송서는 감상을 위한 공연 문화로 발전하게 되고, 그 결과 전통 성악의 한 장르로 자리잡게 되었다. 이문원의 송서는 묵계월에게 전승되어 제자 유창에게 이어졌으며, 2009년 서울무형문화재 제41호로 지정되었다. 제Ⅲ장에서는 송서의 사설을 고찰하였다. 먼저 사설집을 통하여 송서 다섯 악곡이 대표적인 레퍼토리로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1910~1950년에 발간된 사설집에는 <추풍감별곡>과 <짝타령> 두 악곡이 실려 있었다. 1961년『가요집성』에서부터 ‘송서’ 항목이 생겼으며, 악곡 <삼설기>가 수록되었다. 이후 1976년 󰡔한국가창대계󰡕에 <추풍감별곡>·<삼설기>·<적벽부> 등의 악곡이 수록되었고, 2011년에는 <추풍감별곡>·<삼설기>·<적벽부>·<짝타령>·<등왕각서> 등 다섯 악곡이 현행 주요 레퍼토리로 확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섯 악곡의 사설 변화를 비교해본 결과, 다섯 악곡 중 유일하게 <추풍감별곡>에서 1915년~1916년 사이 사설의 내용에 변화가 있었으나, 이후 다시 원래의 사설 형태로 전하고 있었다. 그 외 악곡은 맞춤법과 현대어에 맞게 가사가 조정되었으며, 사설 내용에 큰 변화는 없었다. 이를 통하여 송서는 긴 사설을 노래로 연행하고 전승하는 과정에서 사설이 고정된 형태로 유지되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송서 다섯 악곡의 선율을 분석하여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송서는 박자가 불규칙하지만 가사붙임새에는 일정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었다. 반면 가창자에 따라 특정 가사에서 박이 늘어나거나 당겨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는데, 이러한 현상은 악곡의 고유한 특징이 되었다. 또 송서 다섯 악곡의 음구조와 시김새는 민요과 유사한 토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추풍감별곡>은 경토리 선율과 수심가토리 선율이 혼재하는 점이 특징적이며, 가창자에 따라 수심가토리, 경토리+수심가토리, 경토리, 반경토리 등 네 가지 형태가 나타나고 있었다. <적벽부>는 경토리로 되어 있으나, 김정연과 한명순의 경우 종지선율에 깊고 격하게 떠는 서도 시김새를 넣어 수심가토리 선율로 종지하는 느낌을 준다. <삼설기>·<등왕각서>·<짝타령> 등은 모두 경토리로 되어 있으나, 시김새가 나타나는 출현음과 시김새의 출현 횟수, 시김새의 형태는 가창자마다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각 악곡의 종지선율은 가창자마다 나타나는 형태가 다양하였다. 첫째, 특정 박을 길게 늘이며 깊고 격한 서도 시김새를 넣어 수심가토리의 분위기를 강조하는 경우가 있다. 둘째, 리듬을 잘게 나누어 순차진행을 하며 음악 기교를 화려하게 넣는 경우가 있다. 셋째, 문장구조에 맞춰 글을 읽듯, 첫 음은 들어서 내고 저음역으로 하행하는 선율이 반복되며, 가사 한 자 한 자를 또박또박 읽어나가는 듯한 느낌이 드는 형태가 있다. 넷째, 주요 구성음 위주로 간결하게 선율을 구성하는 형태가 있다. 따라서 종지선율은 가창자의 곡 해석과 음악 스타일을 두드러지게 나타내는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송서 다섯 악곡 <추풍감별곡>·<짝타령>·<삼설기>·<등왕각서>·<적벽부>의 음악 특징을 분석한 결과, 긴 사설을 유지하고, 가사붙임새에 일정한 방식이 적용되며, 민요와 유사한 토리로 구성된 공통점이 있었다. 반면, 가창자에 따라 특정 가사의 리듬을 변화시켜 가사붙임구조가 다르게 나타나고, 시김새 형태가 다르며, 종지선율이 다양한 형태를 하고 있는 등 음악적 요소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글 읽는 소리를 전문음악인의 음악적 어법과 감수성으로 표현한, 송서 장르의 특징이라 할 수 있겠다. 송서에 대한 본 연구는 기존에 논의가 부족했던 송서 가창자와 음악 특징에 주목하여 실질적인 선율을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그 결과 송서의 보편적 음악 특징과 전문음악인의 성악 장르로서 가지는 차별성을 확인하였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75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8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KOREAN TRADITIONAL MUSIC(국악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