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9 0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의 다중가산조절효과

Title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의 다중가산조절효과
Other Title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Effects of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uthor
김동희
Alternative Author(s)
Kim, Dong Hee
Advisor(s)
송지훈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조직몰입은 조직 구성원들의 지속적인 성장과 성공의 바탕이 되는 지표이다. 조직몰입은 직장에서 겪는 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감소되므로,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을 파악하고 그런 요인이 미치는 부정적 효과를 완화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은 직원들에게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부정적인 리더십으로 조직몰입뿐만 아니라 조직에 다양한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자원보존이론을 바탕으로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살펴보고, 개인차 요인으로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가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두 가지 기술적 목적을 수립하였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한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가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다중가산조절하는지 검정한다. 이를 위해 근속기간 1년 이상의 사무직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에 앞서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과 동일방법 편의를 확인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SPSS 21.0과 Process macro model 2를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몰입은 U자형의 비선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몰입 간 관계를 다중가산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이론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조직몰입을 낮추는 결정적인 요인이 아닐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이 개인차에 따라 다르게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실천적 시사점은 자기효능감이 낮은 직원들의 경우,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몰입의 관계가 부적으로 나타남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상사의 비인격적 감독과 조직몰입의 관계가 비선형적일 수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그 관계가 자기효능감과 성취동기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양상을 밝히면서, 직원들의 개인차에 따른 다른 관리 전략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조직에 몰입하는 직원들을 늘리고자 하는 기업의 인재관리 전략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n indicator of employees' continuous growth and success. As workplace stressors reduce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essential to identify such stressors and find ways to buffer the aversive effects of such stressors. Abusive supervision is a destructive leadership that causes stress to employees and has various negative consequences for the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rawing on conservation of resource theor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and analyze the effects of abusive supervis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hether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450 employees with a working tenure of a year or longer. Before testing the hypothesis, reliability, validity, and common method variance tests were perform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Process macro model 2 The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a curvilinear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effect of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between abusive supervis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confirmed.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busive supervision is not a decisive factor in redu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abusive supervision has different effects depending on individual differences. A practical implication is that in the case of employees with low self-efficacy, it was confirmed that abusive supervision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current study reveals the curvilinear relationship between abusive supervision. The study demonstrated that the relationship could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otivation. The study suggested that organizations use different management strategies be depending on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employees. It would be worthwhile in the talent management strategy of companies that want to increase the number of employees committed to the organization.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00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7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