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7 0

MZ 세대가 인식하는 잡 크래프팅과 일의 의미가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itle
MZ 세대가 인식하는 잡 크래프팅과 일의 의미가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임파워링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Job Crafting and Meaningfulness of Work on Job Engagement perceived by MZ Generation :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Author
방지원
Alternative Author(s)
Bhang Ji Won
Advisor(s)
송영수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직무 열의는 조직 구성원 개인과 조직 전체의 성과를 위해 필수적이며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다양한 차원에서 지원할 필요가 있다. 특히 Digital Transformation으로 대변되는 4차 산업혁명과 조직 내 증대되는 새로운 세대에 의해 업의 본질이 바뀌고 있는 경영 환경에서 MZ 세대의 직무 열의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긍정적 조직행동(POB) 관점에서 MZ 세대의 직무 열의를 향상시키는 잡 크래프팅과 일의 의미의 실제적인 효과를 규명하고 임파워링 리더십이 MZ 세대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1988년 이후 출생자로 국내 사기업에서 2년 이상 재직한 조직 구성원 27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1) 잡 크래프팅과 직무 열의의 관계 검증, 2) 잡 크래프팅과 직무 열의 간의 관계에서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 검증, 3) 임파워링 리더십이 잡 크래프팅과 직무 열의에 대한 일의 의미의 매개 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SPSS PROCESS MACRO 3.5의 model 1, 4, 7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잡 크래프팅은 직무 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의 의미는 잡 크래프팅과 직무 열의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임파워링 리더십은 잡 크래프팅과 일의 의미, 직무 열의의 관계에 대한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잡 크래프팅은 직무 열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HRD 실무자들에게 자율성과 능동성을 중시하는 MZ 세대 조직 구성원의 직무 열의 향상을 위하여 활발한 잡 크래프팅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를 권장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잡 크래프팅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일의 의미가 매개하는지 검증함으로써 일의 의미의 중요성을 제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직무특성이론과 JD-R이론을 바탕으로 어떤 매커니즘을 통해 일의 의미가 주는 영향에 대한 설득력을 높였으며 일터 현장에서 일의 의미 자각을 위한 개입 방식에 관한 연구 기반을 조성하였다. 셋째, 기존의 리더십과 잡 크래프팅, 일의 의미, 직무 열의의 관계에 대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각각 검증한 선행 연구와 달리 임파워링 리더십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일부 리더십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서 리더의 영향력이 MZ 세대에게 절대적이지 않다고 주장한 것과 상이한 결과이며 세대 관련 연구 문헌 확장에 기여한 바 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조직 내 동력이 될 MZ 세대 조직 구성원들의 직무 열의를 고취시키는데 있어 개인의 주도성과 개인의 주요 심리 상태에 초점을 둔 잡 크래프팅과 일의 의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자율성을 바탕으로 내적 동기를 부여하는 임파워링 리더십의 필요성을 제고함으로써 개인 및 조직이 지향해야 할 태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Job Engagement is an essential aspect to investigate at the organizational and individual levels because it is directly associated with work performance and achievement. Moreover, various exploration and efforts to figure out how to enhance Job Engagement are significantly critical in current circumstances: 1) Ongoing Digital transformation and 4th Industrial Revolution. 2) Emergence of MZ generation in workplace and new meaning is needed to engage them well to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Job Crafting and Meaningfulness of Work that enhanced the Job Engagement of the MZ generation and investigate the impact of Empowering Leadership on Job Engagement with the perspective of POB.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mongst 270 participants born after 1988 and who worked more than two years in domestic private companies. We utilized models 1,4 and 7 in SPSS PROCESS MACRO 3.5 to validate 1)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Engagement, 2) mediating effect of Meaningfulness of Work this relationship 3) the role of Empowering Leadership on this mediating effect on the above relationship.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e study: Job Craf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Meaningfulness of Work has a mediating effect on Job Crafting and Job Engagement. Empowering Leadership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Job Engagement, and Meaningfulness of Work. First, Job Engagement can be improved by Job Crafting. This fact made the people in charge of HRD actively enforce Job Crafting. Second,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Meaningfulness of Work on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Job Engagement, we found out the importance of Meaningfulness of Work. Based on Job Characteristics theory and JD-R theory, this study enhanced the persuasion of the impact of Meaningfulness of Work through certain mechanism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intervention methods for awareness of Meaningfulness of Work in the workplace. Third,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Job Crafting, Meaningfulness of Work, and Job Engagement, i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comprehensively verified through the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empowering leadership. This is different from what som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eadership argued that the influence of leaders was not absolute for the MZ generation, and contributed to the expansion of generational research literature.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77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72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EDUCATIONAL TECHNOLOGY(교육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