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68 0

지역MICE산업정책 행위자의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서울MICE얼라이언스 민간참여자를 대상으로

Title
지역MICE산업정책 행위자의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서울MICE얼라이언스 민간참여자를 대상으로
Other Titles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Participation Process of Regional MICE Industry Policy Actors in Collaborative Governance: A Case of the Private Participant of Seoul MICE Allianc
Author
이슬기
Alternative Author(s)
Lee, Seul Gi
Advisor(s)
이연택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MICE산업정책에서 협력적 거버넌스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정부차원에서 거버넌스 체계가 구축되고 있다. 특히 협력적 거버넌스는 MICE산업정책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가장 적합한 모형으로서 민간행위자의 자발적인 참여와 민관 상호 간의 협력적 관계를 핵심으로 한다. 하지만 현실에서는 여전히 거버넌스 체계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으며 진정한 의미의 협력적 거버넌스 실현을 위해서는 민간행위자의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과정적 측면에서 민간행위자의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과정을 근거이론연구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과정에 대한 통합적 이론을 구축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고찰에서는 MICE산업정책, 거버넌스이론, 근거이론과 MICE산업정책 및 거버넌스, 근거이론 관련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역MICE산업정책 행위자의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과정을 참여동기, 활동경험, 대응방안을 기준으로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자료수집은 심층인터뷰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서울MICE얼라이언스 회원사 가운데 서울시 MICE산업정책 참여 경험이 있는 13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분석은 Strauss and Corbin(1998)이 제시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분석 절차를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개방코딩에서는 79개의 개념, 25개의 하위범주, 11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축코딩을 통해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심현상, 중재적 조건, 작용/상호작용 전략, 결과의 구성요소를 구분하여 과정적 패러다임 모형을 구축하고 범주의 속성과 차원을 제시하였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도출하고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진술을 바탕으로 지역MICE산업정책 행위자의 유형을 네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통합적 이론 제시를 위한 상황모형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MICE산업정책 행위자의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과정에서 참여동기는 MICE기업으로서 산업에 대한 이해 부족과 MICE시장에서 개별 기업의 경쟁력 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MICE산업정책 행위자는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과정에서 서울MICE얼라이언스 활동을 통해 MICE산업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역할을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의 과정에는 MICE산업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지원, 급변하는 산업환경으로 인한 불확실성이라는 사회적 배경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MICE산업정책 행위자의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과정에서 대응방안은 정책행위자로서 MICE산업정책과정에 참여와 민관 행위자 간 상생을 위한 공동사업 발굴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략에는 공공주도의 MICE산업정책 추진과정의 한계와 민간조직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정책참여 제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MICE산업정책 행위자들은 MICE산업 기업시민으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고 MICE산업의 협력적 생태계 형성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 측면에서 MICE산업정책연구의 다원화에 기여하였으며, 지역MICE산업정책 행위자의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과정에서 나타난 새로운 개념을 발견하고 통합적 이론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실무적 시사점으로는 지역 차원에서 MICE산업에 대한 지방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대응 정책 마련, 정책과정에서 민간 참여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 마련, 얼라이언스 운영방식에 대한 개선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한계로는 제한된 일반화의 한계와 연구 참여자 선정의 한계가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지역MICE산업정책 행위자의 협력적 거버넌스 참여과정은 MICE산업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역할 인식을 통한 MICE산업 기업시민으로서 정체성 확립과 협력적 생태계 형성에 기여하는 과정이다. 다시 말해 지역MICE산업을 구성하는 조직 수준의 행위자가 사회적 관계를 통해 산업의 주체가 되어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지역MICE산업정책에서 민간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한 실질적인 협력적 거버넌스가 실현되는 단초가 되길 바라며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새로운 개념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As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governance is emphasized in MICE industrial policy, a governance system is being established at the government level. In particular, collaborative governance is the most suitable model for MICE industry policy process, focusing o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private actors and collabor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However, in reality, there is still a problem that the governance system is insufficient, and in order to realize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 true sens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articipation process of private actors in collaborative govern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n integrated theory on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participation process based on grounded theory methods. In the theoretical review, research on MICE industry policy, governance theory, grounded theory, and related precedent studies were discussed. The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based on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vity experience, and response strategy.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13 research participants with experience in participation of the Seoul MICE industry policy were selected among the members of the Seoul MICE Alliance.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procedures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suggested by Strauss and Corbin (1998) were appl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9 concepts, 25 sub categories, and 11 categories were derived in open coding, and a procedural paradigm model was constructed and the properties and dimensions of the categories were presented in axial coding. In selective coding, a core category was derived, and the types of regional MICE industry policy actor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and conditional matrix analysis was attempted.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participation process of regional MICE industry policy actors in collaborative governance,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w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industry as a MICE company and a lack of competitiveness of individual companies in the MICE market. Second, it was found that regional MICE industry policy actors recognized their role as members of the MICE industry community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Seoul MICE Alliance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governance.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background of social interest and support for the MICE industry and uncertainty caused by the rapidly changing industrial environment indirectly affected the process of recognition. Third, in the participation process of regional MICE industry policy actors in collaborative governance, the response strategies were found to be participating in the MICE industry policy process as a policy actor and discovering joint projects for co-prosperity between public and private actors. It was found that these strategies were affected by the limitations of the MICE industry policy process by public sector and policy participation restrictions due to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rivate organizations. Based on this, it was found that regional MICE industry policy actors established their identity as citizens of MICE industry companie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collaborative ecosystem in the MICE industry. For theoretical contributions, diversification of MICE industry policy research, discovery of new concepts emerged in the participation process of regional MICE industry policy actors in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an integrated theory was presented. For practical implications, continuous interest and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in the MICE industry, preparation of response policies through collaborative governance, preparation of measures to promote private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and improvement in alliance operation were suggested. As limitations of the study, the limitations of generalization and the limitations of selecting research participants were presented. In conclusion,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participation process of regional MICE industry policy actors is a process that contributes to the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a MICE industry corporate citizen and the formation of a collaborative ecosystem through role recognition as a member of the MICE industry community.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rocess in which the actor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constituting the regional MICE industry become the subject of the industry through social relationship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expected that practical collaborative governance based on active private participation in regional MICE industry policy will be realized, and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onduct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new concepts found in the research result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38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6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