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3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연택-
dc.contributor.author허욱-
dc.date.accessioned2022-02-22T02:18:22Z-
dc.date.available2022-02-22T02:18:22Z-
dc.date.issued2022.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882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59-
dc.description.abstractThe importance of local tourism creator support policies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local tourism problems. Local tourism creators are ‘entrepreneurs who create new tourism values and innovatively solve local tourism problems through creative content linked to local resources’. The importance of policies to support local tourism creators is being emphasized in that they provide creative content that satisfies the tastes of the MZ generation in a macro-environment where domestic travel consumption increases. Since the local tourism creator support policy is implemented in cooperation with the private sector and the public, local tourism governance, a public-private cooperative decision-making and operation method, should be smoothly implemented. However, research related to local tourism creators is insufficient, and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pply the perspective of local tourism governance.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ed at finding the situational meaning and the essence of local tourism governanc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local tourism creators by applying Giorgi(1985)’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cusing on the theoretical resources of governance and ultimately achieving theoretical expansion of local tourism governance.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s and studies of local tourism creators, local tourism governance, and phenomenological study were reviewed. The research problem was presented as a process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vity process’, and ‘activity evaluation’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experience. Firstly, ‘What kind of motivation did local tourism creators have in participation of local tourism governance activity?’. Secondly, ‘What kind of activities did local tourism creators experience in local tourism governance activity?’. Thirdly, ‘How did local tourism creators evaluate the experience of local tourism governance activity?’. As for the research case, a local tourism creator support policy of the Gangwon Center of Creative Economy and Innovation, which has been cooperating with local tourism creators in the form of local tourism governance since 2015, was selected. For the sampling of research participants, eight local tourism creators in the Gangwon region were selected based on the appropriateness and adequate, which are the sampling principles of qualitative research suggested by Morse & Field(1995).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and the analysis method followed the five-step analysis procedure suggested by Giorgi(1985). The rigor of the research design was evaluated based on ‘true value’, ‘applicability’, ‘consistency’, and ‘neutrality’ suggested by Lincoln & Guba(1985) as four evaluation criteria for qualitative research.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43 meaning units were converted into academic terms and ultimately derived 36 transformed meaning units, 14 sub-themes, and 7 themes. The themes consisted of ‘needs for local networks’, ‘formation of networks based on mutual dependence’, ‘interaction as partners of local projects’, ‘conflict between participating actors’, ‘reinforcement of business capabilities and recognition of regional responsibility’, ‘expectation of continuous cooperation with public participants’, and ‘recognizing the need to grow to an independent local venture’. In the specific description of situated structure, the situational meaning of the experience in whic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participants are revealed was identified, focusing on 7 themes and 14 sub-themes. In the description of general structure, the situational meaning was structured into a general experience so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es revealed according to the content flow, and the essence was identified. The essence of local tourism governanc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local tourism creators identified in this study is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because of the need for a local networks, but based on interdependence, reinforcing business capabilities interacting with public as partners of local projects, recognizing responsibility for local tourism, and growing into an independent local venture and expecting continuous cooperation with public participant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theoretical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this study attempted an academic study on local tourism creator, and contributed to the theoretical expansion of the concept of local tourism governa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xisting local tourism governance formation factors. As practical implications, it was suggested that securing autonomy to maximize creativity, forming personal bond through informal and personal interaction, and fostering servant leadership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of local tourism creators are necessary for governance of local tourism creator support policies. Limitations of the study participants segmentatio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subjective interpretat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s for research subjects and topics were pointed out, therefore theoretical accumulation is expected through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지역관광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로컬관광크리에이터 지원정책의 중요성이 부상하고 있다. 로컬관광크리에이터는 ‘지역자원을 연계한 창의적인 콘텐츠를 통해 새로운 관광가치를 창출하고 지역관광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는 창업가’로서, 국내여행의 소비가 확대되는 거시환경에 MZ세대의 취향을 만족시키는 창의적인 콘텐츠를 공급한다는 점(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20)에서 로컬관광크리에이터를 지원하는 정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로컬관광크리에이터 지원정책은 민간과 공공이 협력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민관의 협력적 의사결정 및 운영방식인 지역관광거버넌스가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로컬관광크리에이터 관련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지역관광거버넌스의 관점이 적용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로컬관광크리에이터의 지역관광거버넌스 참여 경험을 거버넌스의 이론적 자원을 중심으로, Giorgi(1985)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로컬관광크리에이터의 개별적 경험이 가지는 상황적 의미와 공통으로 나타나는 본질적 의미를 발견하고, 이를 통하여 궁극적으로 지역관광거버넌스 연구의 이론적 확장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로컬관광크리에이터, 지역관광거버넌스 그리고 현상학적 연구의 개념과 연구를 고찰하였다. 연구문제는 경험의 구조에 따라 참여동기-활동과정-활동평가의 과정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로컬관광크리에이터의 지역관광거버넌스 참여 경험에 있어 연구 참여자는 어떠한 동기에서 지역관광거버넌스 활동에 참여하였는가?’, ‘로컬관광크리에이터의 지역관광거버넌스 참여 경험에 있어 연구 참여자는 어떠한 지역관광거버넌스 활동을 경험하였는가?’, ‘로컬관광크리에이터의 지역관광거버넌스 참여 경험에 있어 연구 참여자는 지역관광거버넌스 활동 경험을 어떻게 평가하였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사례는 지역관광거버넌스의 형태로 2015년부터 로컬관광크리에이터와 협력하고 있는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의 로컬관광크리에이터 지원 사업을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 표집은 Morse & Field(1995)가 제시한 질적 연구의 표본 추출 원리인 적절성과 충분함을 기준으로 강원지역의 로컬관광크리에이터 8명을 선정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9월부터 11월에 걸쳐 개인 심층면담으로 진행하였으며, 분석방법은 Giorgi(1985)가 제시한 5단계의 분석절차를 따랐다. 연구설계의 엄격성은 Lincoln & Guba(1985)가 질적 연구의 네 가지 평가기준으로 제시한 ‘사실적 가치’, ‘적용가능성’, ‘일관성’ 그리고 ‘중립성’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의미단위 243개와 이를 학문적 용어로 변환하여, 변형된 의미단위 36개, 하위주제 14개, 주제 7개를 도출하였다. 주제는 ‘지역 네트워크에 대한 필요’, ‘상호의존을 바탕으로 네트워크 형성’, ‘지역사업의 파트너로서 상호작용’, ‘참여 행위자들 간의 갈등’, ‘사업역량의 강화와 지역책임성에 대한 인식’, ‘공공 참여 주체와의 지속적 협력 기대’, ‘독립적 로컬벤처로의 성장 필요성 자각’으로 구성되었다. 상황적 구조 진술에서는 7개의 주제와 14개의 하위주제를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의 개별적인 특성이 드러나는 경험의 상황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일반적 구조 진술에서는 주제들 간 관계가 내용적 흐름에 따라 드러나도록 상황적 의미를 일반적 경험으로 구조화하고 본질적 의미를 규명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로컬관광크리에이터의 지역관광거버넌스 참여 경험의 본질적 의미는 ‘지역 네트워크가 필요하여 참여하였으나, 상호의존을 바탕으로 지역사업의 파트너로서 공공과 상호작용하면서 사업역량을 강화하고 지역관광에 대한 책임감을 인식하며, 독립적 로컬벤처로 성장하여 공공 참여 주체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기대하는 과정’이다. 분석결과를 통한 이론적 시사점으로, 본 연구는 로컬관광크리에이터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시도하였으며, 지역관광거버넌스의 기존 형성요인들을 확인하는 동시에 ‘창의성’, ‘개인적 유대감’, ‘서번트 리더십’을 추가적인 형성요인으로 도출함으로써 지역관광거버넌스 개념의 이론적 확장에 기여하였다. 실천적 시사점으로, 공공성만을 강조하기보다 창의성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보장하고, 비공식적이고 개인적인 상호작용을 통한 개인적 유대감을 형성하며, 공공 참여 주체는 로컬관광크리에이터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참여 주체를 섬기는 서번트 리더십을 함양할 것이 로컬관광크리에이터 지원정책의 거버넌스에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한계로는 연구 참여자 세분화의 한계와 자료수집 과정의 한계, 주관적 해석의 한계 그리고 연구대상과 주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의 한계가 지적되었으며 향후 후속연구를 통한 이론적 축적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로컬관광크리에이터의 지역관광거버넌스 참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Local Tourism Governanc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Local Tourism Creators-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허욱-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eo Wook-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관광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TOURISM (관광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