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여가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Title
노인의 여가활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n elderly depression
Author
신지영
Alternative Author(s)
Shin, Ji-Young
Advisor(s)
엄애선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노인 인구가 증가하고 기대수명이 길어짐에 따라 노년의 여가시간 활용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2020년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변수 및 그 상관관계와 유형별로 구분한 여가활동이 노인의 우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고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고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실태조사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10,097명중 인구 사회학적 요인, 여가활동, 우울관련 특성 10개 항목에 응답한 9,920명을 대상으로 통계프로그램(SPSS/PC for windows 28.0)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의 차이는 여성, 연령, 교육수준, 종교, 경제활동, 가구 형태, 연 소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성, 연령이 높을수록, 낮은 교육수준, 무종교, 경제활동을 하지 않고, 독거 형태, 연 소득이 낮을 경우 각각 노인의 우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노인의 여가활동을 신체적·정신적 활동의 직접 참여여부로 참여형, 관람형, 감상형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는 유형에 상관없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우울을 낮추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과 함의는 다음과 같다. 노인의 여가활동 유형 중 스포츠 활동, 취미 오락 활동, 문화예술 활동, 사회 및 기타 활동과 같은 신체적으로 직접 참여하는 참여형 활동은 노인이 선호하는 유형으로서 우울에 미치는 영향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이 직접 신체적으로 활동하는 다양한 참여형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과 여가활동의 기회를 줄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정보의 부족으로 여가활동에 참여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과 홍보를 통해 노인들의 여가활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하고, 노인의 여가활동이 보편적으로 확산되도록 사회적 인식 역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한국 노인을 대표할 수 있는 최근 노인실태조사를 활용하여 여가활동을 유형별로 살펴보았고 여가활동이 노인의 우울에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여가활동 참여의 필요성을 강화하고 참여율을 높여야 한다는 노인 여가 정책의 방향과 중요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횡단자료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기에 개인의 특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향후에는 종단 분석을 통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This study uses the "Survey on the Status of the Elderly in 2020"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lderly depression in variables and their correlation and type of leisure activities, and to suggest ways to reduce elderly depression and improve health. This study analyzed data using a statistical program (SPSS/PC for Windows 28.0) for 9,920 out of 10,997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who responded to 10 items related to demographic factors, leisure activities, and dep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in depress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women, age, education level, religion, economic activity, household type, and annual income. Second,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on depression,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participatory type, watching type, and appreciation type. The elderly's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lowered depression regardless of type. Th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elderly, it was found that the physical and direct participation activities had a great influence on depres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that can provide opportunities for leisure activities and develop various participatory leisure programs in which the elderly directly work physicall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not being able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due to lack of information, the importance of leisure for the elderly should be informed through education and publicity. This study showed that leisure activities by type using an elderly survey that can represent the elderly in Korea, and found that leisure activitie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of the elderl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strengthened the need to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and increased participation by presenting the direction and importance of leisure policies for the elderly.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847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4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CTIVE AGING INDUSTRY(고령산업융합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