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6 0

프로젝트관리오피스(PMO)와 인적자원역량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건설엔지니어링산업 중심으로

Title
프로젝트관리오피스(PMO)와 인적자원역량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건설엔지니어링산업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Effect of PMO and Human Resource Competency on Project Performance: Focusing on Construction Engineering Industry
Author
이헌창
Alternative Author(s)
Lee, Heon Chang
Advisor(s)
김승철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최근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은 프로젝트의 대형화, 복잡화, 전문화 등으로 인한 건설환경의 변화와 민간투자사업(Public private Partnership, PPP)이 증대되고 있고, 단일 프로젝트의 발주보다는 동일한 성격의 프로젝트들이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발주되고 있는 추세이다. 오늘날의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은 자원의 제약과 시장 점유율을 둘러싼 경쟁(Jang et al. 2020)을 고려할 때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한정된 자원으로 더 많은 프로젝트를 실행해야 하는 과제에 직면해 있다. 현재까지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은 프로젝트 성과 달성을 위해서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였으나 프로젝트 초기에 계획한 목표를 달성하는 비율은 그리 높지 않았고, 국내 정부 주도 대형 건설사업들도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지만 프로젝트 관리기능 부족으로 초기 계획에 실패하고 최적의 조건으로 사업을 수행하지 못함으로써 예산 낭비뿐만 아니라 사업수행으로 기대한 사회적, 경제적 효과를 상실하였다(김우영, 2020). 이렇듯 프로젝트의 목적과 기업의 성과 및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전문적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는 프로젝트관리오피스(Project Management Office, PMO)의 역할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프로젝트의 운영과 관리는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구성원이 수행함으로써 구성원의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프로젝트 성과의 차이를 발생시키므로 프로젝트 구성원인 프로젝트 관리자(PM)의 리더십과 팀 구성원의 역량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MO 역할과 프로젝트 성과의 관계에 대한 검증을 한 후 인적자원역량에 따른 PMO 역할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에서 PMO 역할과 프로젝트 성과의 관계와 인적자원역량의 중요성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건설엔지니어링 기업 및 관련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다년간 다수의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고, PMO 역할과 프로젝트 성과, 인적자원역량에 대한 선행이론과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측정지표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실증분석 결과 PMO 역할은 프로젝트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인적자원역량인 PM리더십과 팀 구성원 역량은 PMO 역할과 프로젝트 성과와의 관계에서 조절효과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PMO의 역할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 실증 연구함으로써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에서 프로젝트를 체계적이고 전문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PMO 역할의 필요성을 증명하고 인적자원의 역량에 따른 PMO 역할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국・내외적으로 학문적 및 실증적 연구가 부족한 건설산업부문의 PMO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학문적 시사점이 있으며, 국내 건설엔지니어링 산업에서의 PMO가 프로젝트 성과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증명되었기에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국책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 PMO의 운영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렸다는 것과 건설엔지니어링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인적자원역량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실무적 시사점이 있다.. 주제어: 프로젝트관리오피스(PMO), PM 리더십, 팀 구성원 역량, 프로젝트 성과 |Recently,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industry has been encountered in transition moment owing to the scaled-up, complexity, and specialization of the construction projects,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projects are increasing. Furthermore, program is the dominant trend of project orders rather than a single project.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are faced with challenges to execute more projects with limited resourc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a view of resources restriction and market share competitions (Jang et al., 2020). So far,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have been investing plenty of time and budget to achieve the project outcome. However, the achievement of the initial planned target is not so much, and domestic government based large construction project invests a large amount of budget, but it used to be failed on initial planning stage due to the lack of project management function as well as the limitation of project implementation in optimal conditions. Therefore, the project used to be a waste of the budget as well as losing the socio-economic effects which were envisaged in the initial stage (Kim, W. Y., 2020). In order to meet the project goals, firm's outcome, and strategic purpose, the role of the project management office (PMO) is required to manage the project being professional. Besides, the project operation and management are implemented by the project participants, so the project management results would be deviated by the human resources' capacity and specialized knowledge and experience. Hence, the project results are deemed to be influenced by the project manager's leadership, as well as the project team members' capacity. Therefore, this study is the identific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MO’s role and project performance, and verification of moderating effect of the project performance by PMO’s role in accordance with the human resource’s capacit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will provide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PMO and project performance and the effect on the capacity of human resources in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industry. In order to the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practitioners to whom have numerous experience in the project implementation for construction engineering companies and related public institutions, and the metrics were construc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prior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on PMO role, project performance, and human resource competency. As a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wi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s, it is verified that the role of PMO effects on the project performance, and the capacity of human resources has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of the PMO and the project performance.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s on project performance by the PMO’s role and to prove the requirements of PMO’s role in order to manage the projects systematically and professionally in construction engineering industry by the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PMO’s role to the project performance. Moreover, there are academic implications by the suggestion of the direction for PMO research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at is limited academic and empirical research in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 addition, it is verified that the PMO has an important role to achieve the project performance in domestic construction engineering industry, hence there are the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he operation of PMO is required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large-scale government projects, and the human resource competence is importa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engineering firm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7797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2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