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 0

스마트워크 혁신특성 요인이 혁신저항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기효능감과 행동통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itle
스마트워크 혁신특성 요인이 혁신저항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기효능감과 행동통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smart-work innovation characteristic factors on innovation resistance and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behavioral control
Author
곽영
Alternative Author(s)
Young Kwak
Advisor(s)
신민수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Recently, many organizations are rapidly adopting a smart work environment due to the transition to a non-face-to-face society. The introduction of smart work does not simply end with the incorporation of ICT systems or SW solutions; it stimulates various changes in work methods and job types that are in line with technological advances. However, most of the preceding smart work researches focus on how the introduction of smart work improves productivity and efficiency from a technology acceptance perspective. Therefore, there is not enough discussion about innovation resistance from employees and management control when ICT systems are introduced in the workplac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control on innovation resistance and turnover intention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s of employees' self-efficacy in regards to innovation factors and innovation resistance when smart work is introduced. This research proposed a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is for the process by extending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that members resisted to turnover intention when innovation occurred. Preceding research and related literature on innovation characteristic factors, innovation resistance, self-efficacy, and behavior control were reviewed. A research hypothesis was established along with a research model on the effect of innovation characteristic factors on innovation resistance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were verified using SPSS 24.0 and Smart PLS 3.0 after collecting questionnaire data from 696 individuals working at companies/institutions across South Korea that incorporated smart work into their workplace.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re constructed with verified data an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the testing of research hypothes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higher the level of relative advantage and compatibility of improving management performance through the internal introduction and acceptance of smart work-related technologies, the lower the level of innovation resistanc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smart work-related technolog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of the complexity of using smart work-related technologies also increases the level of innovation resistance. Therefore, managers and practitioners of companies or institutions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mprovement in management-related performance and suitability with work processes that smart work-related technologies can bring during the process of the incorporation of smart work in the workplace. Furtherm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lement of intention to act in response to the technological element of organizational work chan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lf-efficacy appears to increase innovation resistance which indicates non-face-to-face work can cause communication problems within the organization. Moreover, working alone can lead to social alienation due to the lack of connection to colleagues, work itself, or organizations. 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innovation resistance of complexity in use, organizations should follow the process of lowering users' innovation resistance by accepting and applying new ideas for complex problems. From the perspective of innovation factors,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as it empirically examines individual self-efficacy and organizational behavioral control in regards to innovation resistance based on subjects that are actually applying smart work to their work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tend to contribute to management improvement by presenting factors worth considering when first incorporating smart work into workplaces in the future through case analysis.|최근 비대면 사회로의 전환으로 많은 조직이 빠르게 스마트워크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스마트워크의 도입은 단순히 ICT 시스템 또는 솔루션 도입이 아닌 기술적 진보에 맞춰 일하는 방식이나 직무 형태의 다양한 변화를 초래한다. 그러나 스마트워크 관련 기존 연구들은 기술수용관점에서 스마트워크 도입으로 인한 생산성 및 효율성이 향상된다는 연구가 대부분으로 ICT기반의 새로운 기업환경이 도입되었을 때 구성원들이 느끼는 혁신저항의 문제와 조직의 관리통제에 대한 현실적인 문제와 이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도입 혁신요인과 혁신저항에서 구성원들의 자기효능감에 대한 조절효과와 혁신저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통제의 행동통제 조절효과를 실증분석하고 혁신저항의 관점에서 조직의 혁신이 들어왔을 때 구성원들이 저항하는 구조적인 특징을 이직의도로 확장하여 프로세스에 대한 개념적 모델과 가설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혁신특성요인, 혁신저항, 자기효능감, 행동통제에 관한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혁신특성요인이 혁신저항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연구모형과 함께 연구가설을 수립하였다. 전국에 있는 기업/기관을 대상으로 스마트워크를 도입하여 업무에서 사용하고 있는 근로자 696개의 설문 자료를 수집 후 SPSS 24.0과 Smart PLS 3.0을 활용하여 측정모형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검증된 자료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성하고, 연구가설의 검정을 통해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스마트워크 도입 관련 기술의 기업 내부 도입과 수용을 통해 경영성과를 제고할 수 있다는 상대적 이점과 업무적합성의 수준이 높을수록, 해당 기업 또는 기관의 업무 프로세스와 적합한 스마트워크 관련 기술의 도입을 통한 혁신저항의 수준은 낮아진다. 또한 스마트워크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복잡성이 높을수록 혁신저항의 수준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기업 또는 기관의 경영자 및 실무자들은 스마트워크 관련 도입 및 수용의 과정에서 스마트워크 관련 기술이 가져다줄 수 있는 경영관련 성과 개선, 업무 프로세스와의 적합성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 업무변화의 기술적인 요소에 대해 반응하여 행동하려는 의도에 대한 요소가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업무 변화에 대한 혁신저항은 이직의도를 높이는 연구결과를 보여주었다. 자기효능감은 혁신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비대면 업무로 인한 조직 내 소통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혼자 업무를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직장과 동료로부터 소외감과 동료 또는 조직과의 연결이 없는 사회적 고립감을 느낄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이용복잡성의 혁신저항의 증가시키는 것으로 조직에서는 복잡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 제안에 대한 수용과 적용으로 사용자들의 혁신저항을 낮추는 과정이 따라야 할 것이다. 혁신요인 관점에서 실제 업무에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는 대상으로 혁신저항에 대한 개인의 자기효능감과 조직의 행동통제를 실증연구 한 것으로 학문적, 실무적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례 분석을 통해 향후 스마트워크 도입에 대한 고려 사항을 제시하여 신규 도입을 위한 경영개선에 기여하는 바를 제공하고자 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784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51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BUSINESS ADMINISTRATION(경영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