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으로 건네는 위로의 길 : 도심형 납골시설의 제안

Title
빛으로 건네는 위로의 길 : 도심형 납골시설의 제안
Other Titles
consolation through light : Proposal of urban charnel facilities
Author
김주호
Alternative Author(s)
Kim JooHo
Advisor(s)
김재경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사람은 누구나 태어나고 사망하는 일을 겪게 되는데, 왜 사망한 후 모두 서울에서 벗어나 도시 외곽에 묻혀야 하고, 왜 장묘시설은 유가족들보다는 고인을 위한 공간이 주를 이루게 되는지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소중한 사람을 잃은 유가족들은 고인을 모신 장묘시설에 방문하여 고인을 추억하며 마음의 위안을 얻게 되는데, 장묘시설은 혐오시설이기 때문에, 도시 외곽으로 밀려나게 되었고, 그래서 고인에게 자주 방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장묘시설은 고인을 위한 공간이 주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유가족들을 위안해 주는 공간은 없다. 유가족들에게 필요한 장묘시설은 자주 방문할 수 있고, 마음을 위로해 주는 공간이라고 생각한다. 우리나라의 장례방식은 과거에는 매장 방식이 주를 이루었지만, 매장 방식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국토 잠식, 사후관리, 매장 비용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체 방안으로 다양한 장례방식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중 화장 방식이 66%로 화장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화장 후 유골 처리는 납골당 안치가 47.7%, 산골장 37.1%, 납골묘 15.2%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도심 내에 위치한 납골당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고, 고인을 위한 공간이 아닌 유가족들을 위한 공간이 주가 되는 납골당을 설계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은 기존의 납골당에 대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보완하여 새로운 납골당의 공간을 제시하는 것으로 한다. 도심 내 유휴공간을 분석하여 선정하고, 슬픔의 5단계의 감정들을 공간화하여, 유가족들에게 위로를 건네고자 한다. 위로의 공간은 제한된 자연의 빛을 사용하여, 슬픔의 5단계에 맞는 공간의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납골시설에 대한 혐오시설의 이미지를 조금이나마 탈피하고, 유가족들에게 위로가 되는 공간을 갖은 새로운 형태의 도심형 납골시설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y everyone is born and dies, and why after death, they all have to leave Seoul and bury outside the city, and why funeral facilities are dominated by spaces for the deceased rather than bereaved families. The bereaved families who lost their precious people visit the funeral facility where the deceased was enshrined and remember the deceased, and because the funeral facility is a hate facility, they are pushed out of the city, so it is difficult to visit the deceased frequently. Since funeral facilities mainly consist of spaces for the deceased, there is no space to comfort the bereaved families. I think the funeral facilities necessary for the bereaved families can be visited frequently and are a space that comforts the mind. Korea's funeral method was dominated in the past, but it is changing into various funeral methods as an alternative to solve problems such as national land erosion, follow-up management, and burial costs caused by the burial method. Among them, 66% of the makeup methods are preferred. After cremation, the ashes were treated in the order of 47.7% of the charnel house, 37.1% of the mountain valley, and 15.2% of the charnel house. Therefore, I thought that a charnel house located in the city center was needed, and I would like to design a charnel house where space for the bereaved family is the main space, not for the deceased. The progress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nd supplement the problems of the existing charnel house to present a new space for the charnel house. We would like to analyze and select idle spaces in the city center, spatialize five stages of sadness, and give comfort to the bereaved families. The comfort space uses limited natural light to create an atmosphere of space suitable for the five stages of sadness. Through these factors, the goal is to break away from the image of hateful facilities for charnel facilities and to propose a new type of urban charnel facility with a space that comforts the bereaved famili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316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48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