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5 0

부산 아미동 비석문화마을의 장소성을 고려한 주거문화복합시설 계획안

Title
부산 아미동 비석문화마을의 장소성을 고려한 주거문화복합시설 계획안
Other Titles
A Study on the Mixed-use Residential Culture Facility, Considering the Placeness of tombstone Culture Village in Ami-dong, Busan
Author
강효진
Alternative Author(s)
KANG HYO JIN
Advisor(s)
노승범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는 시간이 흘러가면서 흔적을 남기고 그 흔적들이 쌓여 도시만의 정체성과 장소성을 지니게 된다. 특히 부산 서구는 부산 개항과 더불어 근대적 시가지가 형성되어 항도 부산의근대화를 이끌었고 한국전쟁 중에는 대한민국 임시 수도로 많은 역사를 지니게 되었다. 그 중 아미동은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일본인 공동묘지에 한국전쟁 이후 부산으로 몰려 온 피난민들과 부산시내 판자집 철거정책으로 떠밀려온 사람들이 묘지 위에 임시로 거주하면서 한국 근현대사를 배경으로 형성된 대표적인 부산의 산복도로이면서 역사를 좀 더 단적으로 보여주는 동네로 ‘피란수도 부산'이라는 도시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마을이다. 이에 선택한 대상지인 아미동 비석문화마을은 가파른 경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작은 스케일의 매스들이 테라스 형식으로 이루어져있고 계단과 계단으로 이어진 골목길과 그 사이에 작은 공간, 다채로운 색, 우수한 경관 등 마을의 공간적 특성과 역사적, 장소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인구 감소, 고령화, 공ㆍ폐가의 증가 등 많은 문제점으로 인해 마을의 정체성을 잃어 가고 있으며 이에 부산시와 서구는 산복도로 르네상스사업, 주거환경개선사업, 셉테드사업(CPTED), 아미ㆍ초장 도시재생 프로젝트 등 많은 도시재생사업을 시행하였지만 마을의 쇠퇴는 계속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후화된 건물, 폐가 등으로 슬럼화된 아미동 비석문화마을에 장소성과 지형을 고려한 주거와 주민들이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문화 시설을 도입하여 마을의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새로운 수직, 수평 동선들을 제안하여 장소성을 고려한 주거문화복합시설 계획을 제안하고자 한다.|A city leaves traces as time goes by, and the traces are accumulated to have its own identity and sense of place. In particular, Seo-gu, Busan, formed a modern city with the opening of Busan Port, leading to the modernization of Busan, and during the Korean War, it had a lot of history as a temporary capital of Korea. Ami-dong is representative Busan mountain road formed by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history with refugees flocking to Busan and those pushed by the removal policy of shanty houses in Busan temporarily living on the cemetery, showing the identity of the city of "Piran Capital Busan." The selected target site, Ami-dong tombstone Culture Village, is located on a steep slope, and h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and spatial value of the village, including small alleys leading to stairs and stairs, small spaces between them, and colorful scenery. However, the identity of the village is being lost due to many problems such as continuous population decline, aging, and the increase of empty and abandoned homes. Although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uch as regeneration projects were implemented, the decline of the village continue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residential and cultural complex facility plan that considers the sense of place and topography by introducing facilities and cultural facilities necessary for daily life in Ami-dong Tombstone Culture Village, which is stagnant with old buildings and abandoned hous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18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47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E(건축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