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68 0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요소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요소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local community activation factor on regional development : Focused on craft breweries
Author
조재희
Alternative Author(s)
Jo Jae Hee
Advisor(s)
김환용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최근 수제맥주 시장은 주세법 개정과 과세체계 전환으로 인해 많은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변화에 맞춰 한국수제맥주협회는 미국 수제맥주 협회를 벤치마킹하여 수제맥주의 대한 정의를 내리고 무늬만 수제맥주가 아닌 정의에 의한 수제맥주를 규정하기에 이르렀다. 다만, 해외 수제맥주협회와는 다르게 국내에선 지역성에 대한 정의를 써놓았는데, 이는 수제맥주의 외부유통이 허용되며 편의점 같은 생활 밀착형 소매공간에 진출하게 되자 무늬만 지역성을 강조하는 맥주를 제한하고 지역성 자체를 강조하기 위함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인천이나 정선, 성미동 등에서는 지역성을 강조한 수제맥주 사업을 내놓고 있으며 한순간의 유행에 그쳐 단순히 제품을 한시적으로 판매하는게 아닌 지역커뮤니티의 일환으로 지역발전에 지속적으로 이바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양조장의 지역 중심의 전략이 그 지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질적인 영향을 알아보고, 지역커뮤니티와 지역발전간의 관계가 검증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경제는 물론 커뮤니티 활동에 제한이 걸려있는 점을 고려하여, 팬데믹 이전 1년(2019.01.01. ~ 2019.12.31.)으로 설정하였고, 내용적 범위는 양조장의 지역커뮤니티 활동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각 양조장의 SNS와 Blog등 공식사이트의 피드, 게시물을 참조하였다. 공간적 범위는 전국으로 정했으나, 자료수집을 위해 공식사이트를 운영하는 양조장 65개로 제한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더미변수 6개, 독립변수 16개, 종속변수 6개, 총 28개의 변수를 활용하여 수제맥주 양조장의 지역커뮤니티 활동이 지역발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더미변수 분석을 통해 지역커뮤니티가 지역발전 중 어떠한 부문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 밝혀내었다. 각 지수 중 의미 있는 설득력을 가지는 지수는 문화수준을 나타내는 삶의 여유공간지수이며, 지역커뮤니티가 문화부문에 가장 영향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봤을 때 지역발전과 가장 밀접한 관련을 가진 요소는 행사장소 제공과 지역특산물 활용으로 나타났으며, 지역발전세부지수를 살펴봤을 때 행사장소를 제공하면 생활 인프라, 경제력지수엔 양의 상관관계를. 문화수준을 나타내는 지수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와 반대로 지역특산물 활용은 문화수준을 나타내는 지수엔 양의 상관관계를, 생활서비스와 관련된 지수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앞서 지수 간 상관관계 분석시 생활서비스와 지역경제력은 양의 상관관계, 각각은 삶의 여유공간 지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둘째,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요소 중 어떠한 요소가 문화수준에 영향을 주는지 밝혀내었다. 16개의 선별된 수제맥주 양조장의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요소 중 문화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규모, 지역특산물 활용, 양조장과 사업장의 일치, 행사장소 제공이였으며 양조장의 규모가 커질수록, 양조장의 메뉴 또는 맥주에서 지역특산물을 활용 할수록, 양조장과 사업장이 불일치 할시 상대적인 지역의 문화수준이 올라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양조장이 공공적이지 않고 개인적인 대관, 대실행사를 진행할수록 상대적인 지역의 문화수준이 낮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문화수준에 있어 어떠한 요소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지 비교 분석을 통해 밝혀내었다. 유의한 변수들의 비표준화 계수를 비교분석하여 각 요소별로 어떠한 요소들이 영향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각 변수는 행사장소 제공, 지역특산물 활용, 규모, 양조장과 사업장의 일치 순으로 지역의 상대적인 문화수준에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공간적 요소에서 2개, 지역적 요소에서 2개로 나왔으며 그 이외의 변수들인 프로그램적 요소와 사회적 요소는 지역의 문화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서 밝혀낸 영향 관계를 바탕으로 수제맥주 산업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공공 위주로 진행되던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정책을 민간의 영역으로 확장하고 지역 자치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에 필요한 참고자료로서 기여할 것이라 기대된다. |Recently, many changes have been made in the craft beer market due to the revision of the Liquor tax law and the change of the taxation system. In line with such changes, the Korea Craft Brewers Association(KCBA) benchmarked the American Brewers Association(ABA) to define craft beer and defined craft beer by definition. However, unlike ABA, the definition of locality was written in Korea. This seems to be to limit overseas beer and emphasize locality itself among beer that emphasizes locality as it can be sold in life-friendly retail spaces such as convenience stores as craft beer is allowed to be distributed outside. In line with this trend, Incheon, Jeongseon, and Seongmi-dong are launching craft beer businesses that emphasize locality, and it is not just a trend in a moment, but continues to contribute to regional development as part of the local communit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find out how the brewery's regional-centered strategy affects the region and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regional development. The scope of the study i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Considering that the time range is limited not only to the economy but also to community activities due to the pandemic situation, it was set to 1 year before the pandemic (01.01.-12.31. 2019), and the content range was referred to feeds and posts - 104 - on official sites such as SNS and blogs of each brewery. The spatial range was set nationwide, but it was limited to 65 breweries operating the official site for data collection.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study, a total of 28 variables, including 6 dummy variables, 16 independent variables, 6 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to examine how the local community activities of handmade beer breweries affect regional development.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dummy variable analysis, it was found which sector of regional development the most influenced by the local community. Specifically, the factors most closely related to regional development were the provision of venue and the use of local specialties, and when looking at the regional development detailed index, providing venu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living infrastructure and economic power index.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dex representing the cultural level. On the contrary, the use of local specialti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dex representing the cultural level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ndex related to living services. When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dices, it was once again confirmed that life services and regional economic power had a positive correlation, and each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leisure space index of life. However, among each index, the index with meaningful persuasive power was found to be the leisure space index of life representing the cultural level. It can be seen that the local community has the most influence on the cultural sector. Second, it was found which of the factors that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affects the cultural level. Among the 16 factors that revitalize the local community of handmade beer breweries, variables that affect the cultural level were found to be size, use of local specialties, match between breweries and workplaces, and provide venue. The larger the size of the brewery, the more local specialties were used in the brewery's menu or beer, the workplace were inconsistent, the higher the cultural level of the relative reg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ultural level of the relative region decreased as the brewery was not public and private rental and large room events were held. Third, it was revealed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hich variable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cultural level.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it was confirmed that it influenced the relative cultural level of the region in the order of providing venue, using local specialties, size, and matching between breweries and workplaces. This came from two in spatial and two in regional factors, and other variables, programming and soci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no effect on the local cultural level. Overall, it will be possible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the craft beer market based on the influence relationship reveal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expand the policy to revitalize local communities, which was mainly conducted by the public, to the private sector and contribute as a reference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that forms local autonomous communiti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80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465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ARCHITECTURAL DESIGN(건축설계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