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픽 모델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주요 이슈 및 인식 분석

Title
토픽 모델과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주요 이슈 및 인식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Major Issues and Perceptions of Win-Win Cooperation between Large Company and SMEs in Korea Using Topic Models and Text Network Analysis
Author
김민성
Alternative Author(s)
Kim, Min Seong
Advisor(s)
김영민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4차 산업혁명과 코로나19, 기후변화 등으로 인한 디지털화, 글로벌화, 비대면화와 같은 경영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기업 간 상생협력은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다. 2005년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통한 대기업-중소기업 간 격차 해소를 위해 시작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은 16년 동안 새로운 정부가 들어설 때마다 국정과제 중 하나로 추진되면서 국내 경제의 보편적인 경영 문화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우월적 지위에 근거한 대기업의 기회주의적 행태, 국내 중소기업·소상공인의 경쟁력 저하 등으로 대·중소기업 간 격차 해소라는 목표는 아직도 요원한 상태이다. 또한, 최근 상생협력 논의의 초점은 경영 환경의 변화 및 양극화 심화 등에 대응하여 공정거래, 협력에 따른 성과의 배분, 중소기업·소상공인 보호에 맞춰져 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기업 규모에 따른 격차 확대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의 자생력을 높이는 근본적인 상생협력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문헌 연구, 사례 조사 등을 통해 각 분야의 상생협력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및 상생협력 활성화 요인 분석, 상생협력 정책 현황과 주요 성과 분석 등을 다루고 있다. 반면 상생협력 전반을 통시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연구방법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새로운 연구는 진행된 적이 없다. 또한, 정부의 상생협력 정책은 외부 충격에 따른 위기 극복 차원에서 중소기업·소상공인의 보호 및 지원, 대기업에 대한 규제 위주로 흐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상생협력 뉴스 데이터를 활용해 텍스트에 잠재되어있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의 주요 이슈와 인식을 동태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상생협력의 어떤 측면이 강조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중소기업의 자생력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균형 잡힌 상생협력을 위한 정책 및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상생협력 뉴스 데이터를 대상으로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과 텍스트 네트워크(Text Network)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시기별(제1차~제4차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기본계획)로 상생협력의 주요 이슈와 인식의 흐름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생협력 뉴스에서 주요 이슈는 무엇이며, 시기별 이슈의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상생협력 뉴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군집은 어떤 의미를 가지며, 주요 주체 및 관심사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2008년부터 2020년까지 총 26개 언론 매체에서 보도한 상생협력 관련 뉴스 40,164건을 빅카인즈(BIGKinds)를 통해 수집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각 시기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기본계획 적용연도를 기준으로 제1차 기본계획(2008~2010년)을 1기로, 제2차 기본계획(2011~2013년)을 2기로, 제3차 기본계획(2014~2017년)을 3기로, 제4차 기본계획(2018~2020년)을 4기로 하였다. 상생협력 주요 이슈 파악 및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파이썬(Python)을 활용한 토픽 모델링 분석(LDA 모델)을, 상생협력 뉴스 네트워크의 군집과 주요 주체·관심사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게피(Gephi)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생협력을 규범적 차원과 경제적 차원으로 분류하여 주요 이슈를 분석한 결과, 4기에 가까워질수록 양극화 해소를 위한 중소기업 보호와 공정거래 규제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규범적 차원의 상생협력 이슈가 다수를 차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처럼 규범적 차원의 상생협력 비중이 높아진다는 것은 기업의 자발적인 협력 생태계 조성을 저해할 위험이 커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규범적 차원의 상생협력은 대부분 중소기업 보호 및 지원을 위한 대기업의 역할을 법으로 규제하거나 평가를 통해 압박하는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중소기업 보호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최근의 환경 변화 속에서도 장기적 관점의 중소기업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하는 상생협력을 위해서는 상생협력 정책 소관 부처인 중소벤처기업부의 경제적 차원과 규범적 차원의 균형 잡힌 정책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상생협력 뉴스 네트워크에 대해 군집 분석을 수행한 결과 상생협력의 주요 추진 주체는 ① 대통령을 비롯한 정부, ② 대기업 및 중소기업, ③ 기업 이익을 대변하는 경제단체로 나타났다. 주로 상생협력 정책 형성 및 의제 설정 역할을 하는 정부와 경제단체는 상대적으로 규범적 차원의 상생협력 이슈에 관심이 높고, 상생협력 활동을 실행하고 과제를 발굴하는 기업은 경제적 동기의 상생협력 이슈에 관심이 높다. 그런데 1기에서 4기로 갈수록 네트워크 내 고유벡터중심성이 높은 주체가 기업보다 정부와 경제단체에 속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뉴스 네트워크 분석 역시 토픽 모델링 분석과 마찬가지로 최근 들어 규범적 차원의 상생협력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현상을 보여준다. 따라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자생력을 제고 할 수 있는 기업 간 상생협력 활동을 끌어내기 위해서는 정부와 국회가 직접적인 규제 및 보호 정책으로 대응하기보다는 기업들이 경제적 동기에 근거해 자발적 상생협력 활동을 발굴하고 실행할 수 있는 환경조성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13년간 보도된 상생협력 관련 뉴스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특정 기업·기관·단체·분야 중심의 제한적이었던 상생협력 연구범위를 상생협력 전반으로 확대하였다. 둘째, 뉴스 데이터를 바탕으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례연구, 설문 조사 등 고전적 연구방법에 머물러 있던 상생협력 연구방법의 다양성을 추구하였다. 셋째,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기본계획이 추진된 2008년부터 2020년까지 뉴스에 나타난 상생협력 이슈와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상생협력 정책 수립 및 추진 방향의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넷째, 상생협력의 두 차원을 기준으로 뉴스 데이터에 내재된 의미와 주요 주체를 분석함으로써 각 차원을 고려한 상생협력의 향후 발전 방향 연구에 대한 토대를 제공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첫째, 뉴스 데이터만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으므로 상생협력 관련 기관의 보도자료, 연구논문, 정부의 정책자료 등 다양한 데이터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둘째, 당시 대통령이 누구인지에 따라 상생협력 정책의 성격이 크게 달라질 수 있고 매년 정치·경제·사회적 환경의 변화로 주요 이슈가 달라질 수 있음에도, 3년 주기의 기본계획을 기준으로 시기를 분리하여 분석했기 때문에 각 정부 또는 연도별 상생협력의 특징을 명확하게 분리하기 어려웠다. 셋째, 언론에 나타난 상생협력 이슈는 정책 담당자, 기업 실무자, 소상공인 등이 실제 현장에서 인식하는 상생협력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언론 보도 외에 다양한 텍스트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상생협력 이슈 및 성격에 대한 논의가 가능할 것이다. 둘째, 대통령 임기인 5년을 기준으로 또는 일정 기간을 1년 단위로 분석한다면 각 정부의 성격과 상생협력 주요 이슈에 대한 관계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연도별 경영 환경 변화에 따른 상생협력 이슈와 인식에 대해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상생협력 이슈 및 인식에 관한 설문 조사, 전문가 조사 등을 함께 진행함으로써 언론에 나타나는 상생협력과 실제 기업 간 상생협력 현장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차이점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Win-win cooperation between companies is being emphasized more than ever due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digitalization, globalization, and non-face-to-face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VID-19, and climate change. Win-win cooperation between large company and SMEs, which began in 2005 to bridge the gap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es by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SMEs, was promoted as one of the national tasks whenever a new government was established for 16 years. And now it has become a universal management culture of the domestic economy. However, the goal of bridging the gap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es is still a long way off due to opportunistic behavior of large companies based on superior status and the decline in competitiveness of domestic SMEs and small business owners. In addition, the focus of discussions on win-win cooperation in response to recent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and deepening polarization is on fair trade, distribution of performance through cooperation, and protec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small business owners. However,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widening the gap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pany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t is necessary to find a fundamental way to increase the self-sustainability of SMEs. Existing studies mainly deal with the impact and activation factors of win-win cooperation in each field, policy status, and major performance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However, no ne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using big data and text data that can examine the overall win-win cooperation. In addition, the government's win-win cooperation policy trend is mainly focused on protecting and support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regulating large enterprises in order to overcome the crisis caused by external shock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at aspects of win-win cooperation are emphasized by dynamically analyzing the main issues and perceptions of win-win cooperation latent in the text using win-win cooperation news data.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lay the foundation for policies and research for balanced win-win cooperation aimed at enhancing the self-sustainability of SM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low of major issues and perceptions by period (The 1st to 4th Basic Plan for Win-Win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es) through topic modeling and text network analysis for win-win cooperation news data.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main issues in win-win cooperation news, and how are the issues changing over time? Second, what does the cluster that constitutes the win-win cooperation news network mean, and how are the main subjects and interests changing?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40,164 news related to win-win cooperation reported by a total of 26 media companies from 2008 to 2020 were collected using Big Kinds and used for analysis. Each period was set based on the year of application of the Basic Plan for Win-Win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es. The first Basic Plan(2008-2010) was set as the first period, the second Basic Plan(2011-2013) was set as the second period, the third Basic Plan(2014-2017) was set as the third period, and the fourth Basic Plan(2018-2020) was set as the fourth period. In order to identify major issues and analyze changes in win-win cooperation, Topic Modeling analysis(LDA model) using Python was conducted, and Text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Gephi program to analyze clusters of win-win cooperation news networks and changes in major subjects and interests. The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major issues based on the two dimensions of win-win cooperation: the normative and economic dimensions, the issue of win-win cooperation at the normative level, which mainly focuses on protection of SMEs and fair trade regulations to resolve polarization, tends to take up more weight. Such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win-win cooperation at the normative level can hinder the creation of a voluntary cooperation ecosystem. This is because most win-win cooperation at the normative level appears in the form of legally regulating the role of large companies to protect and support SMEs or pressuring them through evaluation. Therefore, despite recent environmental changes that emphasize the need to protect SMEs, a balanced policy approach from the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is needed to promote win-win cooperation to enhance SME competitiveness in the long run. Seco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f the win-win cooperation news network, the main drivers of win-win cooperation were 1. the government, including the president, 2. large companies and SMEs, and 3. economic organizations representing corporate interests. The government and economic organizations, which mainly play a role in forming win-win cooperation policies and setting agendas, are relatively interested in win-win cooperation issues at the normative level, and companies that implement win-win cooperation activities and discover tasks are interested in economic motivation. However, as it approached the 4th stage, the number of subjects with high eigenvector centrality in the network more often belonged to the government and economic organizations than to companie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news network analysis, like the Topic Modeling analysis, has recently emphasized win-win cooperation at the normative level. Therefore, the role of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is important for win-win cooperation that can increase the self-sustainability of SMEs and small business owners. Rather than the government or the National Assembly pushing for direct regulations or protection policies, it should strengthen its role in creating an environment where companies can discover and implement voluntary win-win cooperation based on economic motive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by comprehensively analyzing news data related to win-win cooperation reported for 13 years, the research area for win-win cooperation, which was limited centered on specific companies,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fields, was expanded. Second,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news data through text mining techniques, the diversity of win-win cooperation research methods that remained in classical research methods such as case studies and surveys was pursued. Third, by analyzing the issues and perceptions of win-win cooperation in the news from 2008 to 2020, when the Basic Plan for Win-Win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Businesses was promoted,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future win-win cooperation policies. Fourth, by analyzing the meaning inherent in news data and the main subjects based on the two dimensions of win-win cooperation, the foundation for the study of future development directions of win-win cooperation considering each dimension was provided. Nevertheles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since only news data was targeted for analysis, there wa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various data such as press releases, research papers, and government policy data from institutions related to win-win cooperation. Second, it was difficult to clearly separate the characteristics of win-win cooperation between each government or year because the period was analyzed separately based on the Basic Plan of the three-year cycle. Third, the issue of win-win cooperation in the media may differ from the win-win cooperation perceived by policymakers, corporate practitioners, and small business owners in the actual field, but there wa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this. Therefor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ill be possible to discuss more accurate win-win cooperation issues and characteristic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various text data in addition to media reports. Second, if analyzed on a five-year (presidential term) or on a yearly basis,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e of each government and major issues of win-win cooperation as well as the issues and perceptions of win-win cooperation due to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by year. Third, by conducting surveys and expert surveys together, it will be possibl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that appear in the media and in the actual win-win cooperation field between companie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73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41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TECHNOLOGY & INNOVATION MANAGEMENT[S](기술경영전문대학원) > TECHNOLOGY MANAGEMENT(기술경영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