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7 0

미술 비전공자가 미술에 대해 느끼는 거리감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Title
미술 비전공자가 미술에 대해 느끼는 거리감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Other Titles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sense of distance of non-majors in art:Based on the Bourdieu’s cultural theory,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uthor
김석영
Alternative Author(s)
Seok Young Kim
Advisor(s)
김선아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Accepting art as a part of life and enjoying it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happy human life. Feeling a sense of distance for art means that art is not perceived as a part of life and means of communication. Thus, with a critical mind for the phenomenon that people feel a sense of distance for art for the reason that they did not major in art, the researcher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sense of distance had been formed in the habitus embodied in participants' homes and society, cultural capital and their past experiences. To be more specific, first, the researcher examined the meaning of art defined by the participants and thereby, discussed what message such a meaning delivers to us. Secondly, the researcher examined what experiences they had undergone in their art education process in their life and how such experiences acted to form a sense of distance. To this end, the researcher selected 4 participants who felt a sense of distance for art although being interested in art and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m. As a method of study, the researcher used the method of ethnography among various qualitative ones. Then, the data were encoded to be categorized into code, group of themes, and themes themselves to identify the problems therein. The problems of a sense of distance for art are specified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had internalized the habitus about art at their homes and in their society. They acquired the primary habitus in the positive and free home environment, and also acquired it as men in their social environment. In this process, they felt diverse feelings. They felt 'listen with one ear and forget with the other ear' or 'eat the boiled rice against their will'. Or they felt a sense of distance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habitus related to art learned at home and the art they had learned at school. Nevertheless, they expressed 'novel', 'comfortable' or 'good' for the creation or appreciation of art. Secondly, the participants defined art based on the habitus internalized at home and in the society. Just as McPhee defined art as a method of communication, they defined art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o express their thoughts. They did not define the art simply as expression of their thoughts and emotions but define it as expression of their inner feeling and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rethrough. Moreover, they thought the undefined plural values as characteristic of art. Thus, they defined art as multiple choices allowing for diverse correct answers. Based on such definitions, the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would be engaged in the activities related to art when they wanted to have new experiences or feel comfortable. Thirdly, the participants applied such perception of art and internalized habitus to school only to learn about diverse experiences and emotions. Although the art class is liberal with no correct answer, they answered that there existed a correct answer for the art class at school. Moreover, they remembered that since the time for art project had been too short, they could not well develop their own tastes or competence related with art. The assessment in art class accounted for some part of their art experiences at school, they recollected that their art work had not been assessed much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ssessment points reflecting the socio-cultural values and their internalized habitus and talent. In addition, they thought that such differences would form a sense of distance for art for them. Fourthly,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since they could not afford to have art-related experiences but the art class at school and since their peer group's culture had not been relevant to art, they would be distanced from art. Namely, although the participants had grown in the home environment allowing for acquisition of habitus, it could not continue to act as a cultural capital, not being internalized in them, because of poor art education and its assessment at school and the peer group's culture. Lastly, the participants would form a sense of distance from art through such series of processes. Thus, they put forward some solutions. In order to resolve such sense of distance for art, they should have some economic and time, and the school art class should evaluate the diversity. Namely, the pedagogics of the school art class should be reformed. Thus, the researcher thought it necessary to adjust the hours for art class and change the method of teaching for such pedagogics as cooperative learning. Since this qualitative study is much based on researcher's experiences, its results may not well be generalized. Anyway, this study describes individuals' personal and subjective experiences and attempts to identify mutual subjectivity. Hence, it is necessary to generalize its results through follow-up studies. Specifically, the key words induced from this study need to be developed through quantitative future studies. Moreover, despite this study is a kind of ethnography research, it could not be conducted for a longer period, which means that it could not well observe and survey the participants sufficiently. Hence, a longitudinal future study would deduce more meaningful results. Nevertheless, this study may well be significant in that it researched qualitatively into a subjective concept or a sense of distance for the first time, covering Bourdieu's habitus and concept of the cultural capital.|미술을 삶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이고, 향유하는 것은 인간의 행복한 삶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미술에 대해 거리감을 느끼는 것은 미술을 삶의 한 부분이자 의사소통의 방법으로 인식하지 못함을 뜻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미술에 거리감을 느끼는 것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연구 참여자들의 가정과 사회 속에서 체화된 아비투스, 문화자본, 그리고 과거의 미술교육의 경험 속에서 어떻게 거리감이 형성되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첫 번째, 연구 참여자들이 정의하는 미술의 의미에 대해서 파악하고, 그것이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 번째, 그들의 삶의 궤적 속에 있는 모든 미술교육의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것이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며 거리감을 형성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에 관심과 흥미가 있지만 미술에 대해서 거리감을 느끼는 연구 참여자 4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해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질적 연구의 여러 방법 중 문화기술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 단계에서는 코딩의 과정을 거쳐 코드, 주제 모음, 주제로 범주화하여 그 속의 문제를 찾아내고자 했다. 본 연구를 통해 미술에 대해 느끼는 거리감에 대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 참여자들은 가정과 사회에서 미술에 관한 아비투스를 체화했다. 그들은 적극적이고 자유로운 가정환경에서 일차적 아비투스를 획득하였고, 사회적 환경 속에서의 남성으로서의 아비투스를 획득하기도 했다. 이 과정 속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다양한 감정을 느꼈는데 ‘한 귀로 듣고 한 귀로 흘리는’, ‘먹기 싫은 밥을 억지로 먹는 것’과 같은 감정을 느끼기도 하고, 가정에서 배운 미술과 관련된 아비투스와 교육과 학교에서의 미술교육에 차이가 있어 괴리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미술 창작, 미술 감상과 같은 미술을 새로움과 안락함, 좋았던 것으로 표현하였다. 두 번째, 연구 참여자들은 가정과 사회에서의 체화된 아비투스를 바탕으로 미술에 대해서 정의를 내렸는데 맥피가 미술을 의사소통의 한 방식으로 정의 내린 것과 같이 미술을 자신의 생각을 꺼내 소통하는 것으로 보았다. 단순히 자신의 생각과 감정의 표출로 미술을 정의 내린 것이 아닌 내면의 것을 꺼내 그것을 통해 타인과 소통하고 의사를 전달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또한 정해진 것이 없는 다원적인 가치를 미술의 특성으로 생각하였으며, 다양한 답이 나올 수 있는 선택지를 주는 것이라고 정의 내렸다. 이러한 정의를 바탕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새로운 경험을 하거나 안락함을 느끼고 싶을 때 미술과 관련된 활동을 한다고 대답하였다. 세 번째, 연구 참여자들은 이와 같은 미술에 대한 인식과 체화된 아비투스를 학교에서 적용시키며 다양한 경험과 감정을 학습했다. 미술수업은 자유로우며 정답이 없다는 보편적인 생각이 존재하지만, 연구 참여자들은 학교에서의 미술수업에 대해 정해진 정답이 있었다고 대답하였다. 또한 미술수업에서 주어진 프로젝트의 시간이 짧았기 때문에 미술과 관련된 자신만의 취향이나 실력을 발전시키기 어려운 환경이었다고 말했다. 미술 수업에서의 평가 또한 학교에서의 경험의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사회 문화적인 가치를 반영한 평가 기준과 연구 참여자가 체화한 아비투스와 재능에서 차이가 존재했기 때문에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고 분석하였고, 이는 미술에 대해서 거리감을 만들게 되는 요소라고 판단하였다. 네 번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 수업 외에는 미술과 관련된 경험을 형성하기 어렵고, 주변의 또래 집단 또한 미술과 관련된 문화가 아니었기 때문에 미술과 멀어지게 되었다고 진술하였다. 즉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을 삶의 한 방식으로 여기는 아비투스를 어린 시절부터 획득할 수 있었던 가정환경에서 성장하였지만, 위의 아비투스가 체화된 문화자본으로 지속되어 계속해서 삶의 한 방식으로 작용하지 못했던 것은 학교 수업의 지속성, 평가, 미술과 관련되지 못했던 또래 집단의 문화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앞서 말한 일련의 과정들을 겪으며 미술에 대한 거리감을 형성하게 되었고 거리감을 해결하기 위한 모색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미술과의 거리감을 해소하기 위한 조건으로 경제적, 시간적 여유가 있어야 한다고 설명하였고, 미술 수업에서 다양성의 개념을 중요하게 다루며, 미술수업에서의 교수 학습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를 통해 학교 미술 수업의 현장에서 현실적인 수업 시수의 조정, 협동 학습과 같은 수업 방식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경험이 연구 시작에 동기가 된 연구이며, 질적 연구이기 때문에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이는 연구 방법론상 특성으로 개인의 심증적인 경험들을 서술하고 상호주관적인 의미를 찾는 것에 중점을 둔 연구이다. 따라서 더 많은 연구 대상을 통해 객관화하는 연구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 도출된 키워드를 통해 인식도 조사와 같은 양적 연구를 보완하여 일반화 할 수 있는 의미로 발전시키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문화기술지를 연구 방법으로 이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의 범위 상 장기적으로 지속하지 못해 연구 참여자들의 생활에 대한 관찰과 조사를 충분히 하지 못했다. 따라서 후속 연구로 장기간의 연구, 종단적인 연구가 가능하다면 더 의미 있는 이해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던 미술에 대한 거리감이라는 주관적 개념에 대한 탐구를 부르디외의 아비투스. 문화자본의 개념, 그리고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시도하였다는 것에 의의를 지닌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679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40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ARTS AND PHYSICAL EDUCATION(예체능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