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7 0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 구성원의 나이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itle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 구성원의 나이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Supervisor Leadership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Differences in the Age of Members of Organization
Author
하희주
Alternative Author(s)
Heeju Ha
Advisor(s)
이윤수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상사의 리더십 유형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리더십 유형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나이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실증 분석하여 리더십 유형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나이를 주요 변수로 하는 연구를 발전시키는 데 기초가 되는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데 있다. 나아가 조직 차원에서 상사의 리더십의 중요성을 규명하고 HRD 관점에서 조직 구성원의 나이에 따라 효과적으로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재직자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384부의 유효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가설 검증에 앞서 SPSS 22.0을 활용해 신뢰도 검증 및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JAMOVI 1.1.9.0을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해서는 SPSS PROCESS macro 3.5의 model 1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의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나이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거래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나이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서번트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나이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 구성원의 나이의 조절효과를 증명하면서 국가 또는 연구자마다 상이하게 적용했던 세대 구분 기준에서 벗어나 연구를 진행하여 기존의 리더십 및 세대 연구를 보완했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대기업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리더십 연구에서 그동안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부족했던 서번트 리더십을 독립변수에 포함시켜 동시에 연구함으로써 대기업 구성원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 유형을 파악하는 등 대안 모색을 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셋째,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 향상에 리더십은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넷째, 리더십 이외에도 조직몰입 향상을 위한 방안을 찾는 것이 조직 차원에서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is the basis for developing research that uses the age of members of organization as a major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typ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 of supervisor’s leadership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the age of members of organization in the relationship. Furthermore, it aims to clarify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of supervisors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education programs that can effectively increase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age of members of organization from the HRD perspective. In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incumbent employees engaged in major domestic companies and a total of 384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Prior to hypothesis verification, reliability verification,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2.0, and test of validity was conducted through JAMOVI 1.1.9.0. For hypothesis verification,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odel 1 of SPSS PROCESS macro 3.5. The results fo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supervisor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mbers of organiz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of supervisor ha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members of organiz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servant leadership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of organiza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age of members of organiz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age of members of organiz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ixth, it was confirm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age of members of organiza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impl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lemented existing leadership and generation research by conducting research away from the generational classification criteria applied differently to each country or researcher while providing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is research provided evidence for seeking alternatives by including servant leadership, which was relatively lacking in research compared to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identifying leadership types that actually a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it has been confirmed that leadership is an essential factor in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members of organization. Fourth, in addition to leadership,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important to find ways to impro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89938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교육대학원) > EDUCATION(교육학계열)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