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84 0

우리나라 전통초가 이엉잇기의 지역 특징에 관한 연구

Title
우리나라 전통초가 이엉잇기의 지역 특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eg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 Traditional Thatched Roof: - Focused on the Comparison of Major Folk Village
Author
정현정
Alternative Author(s)
Jung, Hyun Jung
Advisor(s)
한동수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e traditional thatched roof house in Korea is a typical type of traditional residential architecture ordinary people made in the past by adapting to the local environment. In general, residential architecture remained features of the lives and wisdom of people who had lived in the specific region, and in this sense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n residential architecture,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traditional thatched roof, which is a representative type.  ‘Thatch thatch’ is a unique construction method in which the thatched roof woven with plant stems is raised on the roof. It would be the best facto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This is because the villagers gathered and helped each other to repair the roof every year by using nearby materials and by passing on improved construction methods continuously to suit the local climate. However, now the traditional thatched roof house has lost its role as an actual living space and it can be only viewed as a cultural property. This construction method that was possible for anyone to use has become a transmission method only handed down only in some folk villages. In addition, as the thatched roof craftsmen are old and the manpower of it is scarce, systematic technology transmission has not occurred well. Because of the problem, it is being concerned that each regional construction feature will be mixed or unified.   In order to resolve these concern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features of the thatched roof house respectively. Since most of the thatched roof houses are in the middle of folk villages, this study selected six villages (Asan Oeam Village, Andong Hahoe Village, Gyeongju Yangdong Village, Goseong Wanggok Village, Suncheon Nagan Village, and Jeju Seongeup Village) in which the thatch weaving event is carried out on a large scale every year. After it recognized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thatched roof based on the 「Standard Specification for Repairing Cultural Heritages」, this study set standards which could compare regional features by selecting factors hugely influenced by local climate. The set standards are ‘thatch, Geotgosal, Yeonjuk, and Yongmareum’.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conducted a status survey on the thatched roof and event of the thatch in the subjective villages. In this process, this study complemented contents about partly transformed trenched room house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Since the current condition of thatched roof houses in the village is very similar, this study selected representative 3 or 4 houses and analyzed them, and into the appendix it added researches of the other houses surveyed but not included in the body of this paper. In addition, it presented standard elevation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atched roof houses in each village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andard element could be compared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is study derived four basic factors for identifying the thatched roof. It verified that ‘Yeonjuk’ showed the most featured characteristic and regional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handed down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eonjuk and Geotgosal.   However, since it did not check every thatched roof houses in each region but confirmed representative villages, this study still has limits that it is not said those representative thatched roof houses cannot represent the whole region and this study could not implement precise measures like slope of a roof because it mainly utilize naked eye inspection. In addition, this study has insufficient grounds of the original forms of the thatched roof hous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thatched roof house before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when the thatched roof house was most severely deformed. This study expects that such problems can be resolved more clearly by researching Korean-Chinese thatched roofs in northeast China and those in North Korea, which are built by similar techniques with ours.   Nevertheless, this study can make a starting point to resolve the technology transmission problem of craftsmen of the thatched roof in each village. | 우리나라 전통초가는 과거 서민들이 그 지역 환경에 순응하여 만들어 낸 대표적 주거 건축의 한 유형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건축에는 지역을 기반으로 살아온 사람들의 삶과 지혜가 특징처럼 남아 있는데 이런 의미에서 우리나라 주거 건축의 지역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대표적 유형인 전통초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초가 이엉잇기’는 식물 줄기를 엮은 이엉으로 지붕을 올리는 독특한 시공법으로 전통초가의 지역성이 가장 잘 반영되어 있는 요소이다. 마을 주민들이 일손을 모아 매년 지붕을 보수하며 인근의 재료를 이용하고 지역 기후에 맞게 지속적으로 개량된 시공법을 전수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통초가가 실제 생활공간이 아닌 문화재로서나 볼 수 있게 된 지금, 누구나 할 수 있던 이 시공법은 일부 민속마을에서만 전해 내려오는 전승기법이 되어 버렸다. 더구나 초가 이엉잇기 장인들이 노령화되고 시공인력이 부족해지면서, 체계적인 기술전승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로 인해 지역별 시공특징이 뒤섞이거나 단일화 될 우려를 초래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우려를 해결하기 위한 단초로 각 지역별 초가 이엉잇기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현재 대부분의 초가가 민속마을 내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매년 대대적으로 초가 이엉잇기를 시행하는 마을을 지역별로 6개(아산 외암마을, 안동 하회마을, 경주 양동마을, 고성 왕곡마을, 순천 낙안마을, 제주 성읍마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를 바탕으로 일반적인 초가지붕 구조를 파악한 후 그 중 지역의 기후에 크게 영향을 받는 요소를 선택하여 지역별 특징을 비교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이에 선정된 비교 기준 요소는 ‘이엉과 겉고살, 연죽, 용마름’의 4가지이다. 한편, 연구 대상 마을은 초가지붕의 현황조사와 초가 이엉잇기 현황조사로 나누어 진행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일부 변형된 초가는 문헌조사를 통해 보완하였다. 마을 내 지붕 현황이 대동소이 한 관계로 가옥 3~4채를 선정하여 대표로 분석하였으며, 본문에 싣지 못한 조사 가옥들은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또한 초가지붕의 마을별 표준 입면도와 단면도를 제시하여 각 기준 요소에 따른 특징들이 서로 비교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가 이엉잇기에 있어 기본적으로 파악해야할 4가지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그 중 ‘연죽’이 가장 큰 특징을 갖고 있고 연죽과 ‘겉고살’의 관계에 따라 지역별 다양한 시공법이 전승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만 본 연구는 각 지역의 대표 마을을 확인하였을 뿐 지역의 모든 초가를 확인한 것이 아니기에 지역 전체를 대변하기에는 여전히 한계가 있으며, 육안조사 위주로 진행되어 물매 등 정밀 실측이 이루어지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또한 초가의 변형이 가장 심한 1970년대 새마을운동 이전의 초가를 확인하기가 어려워 원형에 대한 근거가 부족한 측면도 있다. 향후 이러한 문제는 우리와 비슷한 이엉잇기 수법을 갖고 있는 중국 동북지방 조선족 초가와 북한 지역 초가의 조사를 통해 보다 명확한 지역별 특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현재 각 마을 장인들의 초가 이엉잇기 기술 전승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본 연구가 하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032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5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