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농업의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시 텃밭 대상으로 -

Title
도시농업의 중요도 및 만족도 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시 텃밭 대상으로 -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Urban Agriculture
Author
구현정
Alternative Author(s)
Koo Hyun Jung
Advisor(s)
김건우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도시농업은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21세기에 꼭 필요한 산업으로 바뀌어 가고 있으며 도시민의 생존과도 밀접하게 맞닿아있는 중요한 자원이다. 그러나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많은 인구가 도시로 몰리기 시작하였고, 도시의 인구가 급증하여 농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농경지가 줄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속도로 농경지의 비율이 감소한다면 향후 도시의 인구가 충분히 먹을 만큼의 농작물 수확이 불가능해질 수 있게 되므로 이제는 도시농업을 단순히 옛 추억을 찾는 차원이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도시 자원이자 도시를 재창조하는 출발점으로 인식해야 한다. 특히 도시농업 이용자의 만족도는 도시농업의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농업의 사례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대상으로 도시농업 이용자의 설문 분석을 통해 도시농업의 문제점과 보완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도시농업의 활성화를 위해 고려해야 할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이론 고찰과 대상지의 현황 분석, 도시농업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설문조사의 결과를 통하여 도시농업 이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도시농업 이용자의 설계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해 5점리커트 척도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농업 이용 후 만족도 향상을 위해 고려되어야 할 요소는 크게 ‘사회·문화적 기능’, ‘경제적 기능’, ‘환경·생태적 기능’, ‘건강적(육체적, 정신적)기능’ 4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둘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도시농업 이용자는 60대 이상 인천에 거주하는 주부, 여성 위주로 이용되고 있었고 이용자들은 계절과 요일에 상관없이 오전에 가족이나 친구와 함께 취미 생활과 건강을 위해 이용하는 사람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이용자의 대부분은 친환경 농작물 재배에 만족감을 느꼈지만, 이용 면적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술 통계학적 설계요소 중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요소는 가꾸는 재미를, 낮은 요소는 도시의 범죄 감소, 지역 간 경제 불균형 완화를 뽑았다. 넷째, IPA 분석 결과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도시농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녹지율 확대’, ‘공기 정화 효과’, ‘도시 열섬화 및 지구온난화 완화’, ‘도시환경 개선’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이용자의 특성과 이용행태에 따른 만족도 결과, 연령, 학력, 직업, 이용 빈도, 요일, 시간대별, 동반 방문에 따라 만족도에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만족도와 행위 의도의 영향 관계 분석 결과 사회·문화적, 경제적, 환경·생태적, 건강적(육체적, 정신적) 기능이 도시농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만족도가 증가되면 재방문 의사가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근 많은 사람들이 도시농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형태로 활성화 방안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도시농업 참여자의 만족도 향상이 미비한 상태이며, 지속적으로 도시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실질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농업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인지하고, 지속적인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표를 삼고 있으며, 도시농업 이용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향후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Urban agriculture is changing into an essential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urban residents and is an important resource closely related to the survival of urban residents. However, as urbanization progressed, a large population began to flock to cities, and the population of cities increased rapidly, reducing agricultural land where crops could be harvested. If the ratio of agricultural land decreases at this rate, it will be impossible for the city's population to harvest enough crops in the future, so urban agriculture should now be recognized as a new type of urban resource and a starting point for recreating the city. In particular, since the satisfaction of urban agricultural us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vitalizing urban agriculture, research is needed for urban agriculture activation meas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oblems and supplementary measures for urban agriculture through a survey of urban agricultural users in Michuhol-gu, Incheon, a representative example of urban agriculture, and to present basic data to be considered for future urban agriculture. As a method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oretical review,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arget sites, and urban agricultural users,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usage behavior of urban agricultural users through the results of the survey. In addition,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5-point Likert scal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urban agricultural users' design element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to improve satisfaction after the use of urban agriculture are largely divided into four types: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economic functions',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unctions', and 'health (physical and mental) functions'. Second, urban agricultural users in Michuhol-gu, Incheon were mainly used by housewife women in their 60s or older living in Incheon, and users were the most used for hobbies and health with their family or friends in the morning regardless of the season or day. And most of the users felt satisfied with the cultivation of eco-friendly crops in urban agriculture, but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level was not high due to the narrow area of use. Third, among the design factors of descriptive and statistical analysis, the most unsatisfactory factors were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cultivation, and the most unsatisfactory factors were crime reduction in cities and alleviation of economic imbalance between regions. Fourth, through IPA analysis, problems to be solved in order to revitalize urban agriculture in Michuhol-gu, Incheon Metropolitan City, focusing on "expansion of green area rate," "air purification effect," "reduction of urban heat and global warming," and "improvement of the urban environment." Fifth, through the analysis of design elem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usage behavior of users, there was a difference in design elem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age, education, job, frequency of use, day of the week, time of day, and accompanying visits. Sixth,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design facto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t was found that social, cultural, economic, environmental, ecological, and healthy (physical, mental) functions influenced urban agricultural satisfaction, and as the overall satisfaction increased, revisit intention increased. Recently, many people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urban agriculture and are striving to revitalize it in various forms, but the improvement of urban agricultural participants' satisfaction is insufficient, and practical solutions are needed to continuously revitalize urban agriculture.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rban agriculture once again and study continuous activation measures, and it is judged that it will be able to help revitalize urban agriculture in the future through a survey of urban agricultural user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051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50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S](공학대학원) > ARCHITECTURAL, CIVIL AND LANDSCAPE ENGINEERING(건축ㆍ토목ㆍ조경공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