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5 0

지방자치단체의 공간복지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Title
지방자치단체의 공간복지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Spatial Welfare in Local Government: Focused on the Case of Gangdong­Gu, Seoul
Author
이정훈
Alternative Author(s)
Jung Hun Lee
Advisor(s)
한 상 우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Space is a place occupied by a person or thing and a place where human activities are performed. Welfare means a happy life, which means a state of enjoying happiness in harmony with health, housing, childcare, education, transportation, care, nursing, and social environment. Therefore, Spatial Welfare is a holistic act that fills the space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nd happy life of the users in the space. Buildings and spaces characterized by publicness and openness are public goods, so they have a deep relationship with welfare, which means a happy life. In particular, when creating and using a community-based infrastructure space within a 10-minute walk, the needs of the residents are the key, and the residents are the users. In other words, public support for the community can be said to be the implementation of spatial welfare in the end. There was a clear disparity between regions and classes. In this study, a satisfaction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o see how the four types of Gangdong-type spatial welfare projects affected the residents in a community where various classes and generations coexist. In addition,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at home and abroad, I suggested alternatives to the improvement of spatial welfare. The four Gangdong-type spatial welfare projects are ‘Happy School’, Book Cafe ‘Dadok Dadok’,‘Child-Mom Gangdong’, and Children's self-governing center‘Dream Smile’. Gangdong-Gu operates a general planner system for each sector to implement spatial welfare projects and establish a public design policy system. In Gangdong-Gu, the spatial welfare cases, which are created by fields such as infants, children, teenagers, youth,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and the private expert participation system, which is boldly introduced in the landscape, architecture, and park fields, are good policies that add administrative innovation. Those are also becoming a good model for other local governments. This stud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ng and establishing a cooperative system with residents by the districts under the general planner, general planners by field (night scenery, smart city, culture and arts, libraries), and related public officials as a way to improve spatial welfare in the future. The Gangdong-type spatial welfare project, which has been carried out so far, has not been taken the initiative by the residents(users) from the planning stage to facility operating stage but has been rushed by the administration's initiative.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Gangdong-type spatial welfare project has a high satisfaction, but the lack of initiative by residents is considered to be a critical issue in terms of project sustainability. The reason the Gusan-dong library village in Eunpyeong-gu is selected as an exemplary case of spatial welfare is not because of the pretty exterior of the library, but because of residents’ active participation from planning the library’s business plan to securing the budget, and creating and operating facilities. Gangdong-Gu must now create a local infrastructure space led by residents rather than the public and come up with a new strategy to realize the power and efficacy of the local community.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Gangdong-type spatial welfare is neuroarchitecture which studies how a space or building affects the people in it. The four Gangdong-type space welfare spaces have been reborn as space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by utilizing neuroarchitecture, not just expanding spa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angdong-type spatial welfare project gives great satisfaction to users who use the facility and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The administrative goal of Gangdong district during the 7th popular election is ‘A Happy Gangdong’. This goal has the meaning of eliminating discrimination between regions and classes. Gangdong-Gu should not be satisfied with the current spatial welfare policy, but in order to realize the goals of neuroarchitecture, 'happiness' and 'healing', we must actively promote spatial welfare with a high degree of perfection, that is, now shifting to the consumer-centered until the results of resolving considerable discrimination between regions and classes. Future research should try to break free from the limitations of the Gangdong area and target spatial welfare projects in a wider area. | 공간(Space)은 사람이나 사물이 점하고 있는 장소 또는 인간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복지(Welfare)란 행복한 삶을 뜻하며 이는 건강, 주거, 보육, 교육, 교통, 돌봄, 요양, 사회적 환경이 어우러져 행복을 누리는 상태를 뜻한다. 따라서 공간복지(Space Welfare) 는 공간이 공간 안 이용자의 삶의 질 향상과 행복한 삶을 위해 채워주는 총체적 행위이다. 공공성과 개방성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과 공간은 곧 공공재이므로 행복한 삶을 의미하는 복지와 깊은 관계가 있다. 특히 걸어서 10분 거리에 이용할 수 있는 지역밀착형 생활 인프라 공간 조성과 이용은 주민의 요구가 핵심이고 주민이 바로 이용자이므로 커뮤니티에 대한 공공지원은 결국 공간복지의 구현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4개 유형 강동형 공간복지사업이 다양한 계층과 세대가 공존하는 지역사회의 지역주민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만족도 조사 경과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다양한 사례 분석을 통하여 공간복지 향상 방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 있는 강동형 공간 복지 4개 사업은 북 카페 다독다독, 아이맘 강동, 아동자치센터 꿈미소 등이다. 강동구는 공간 복지사업의 시행 및 공공디자인 정책 체계 구축을 위해 분야별 총괄기획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강동구의 영유아, 아동·청소년, 청년, 어르신, 장애인 등 분야별로 조성된 공간 복지사례와 경관, 건축, 공원 분야에 과감히 도입한 민간 전문가 참여 제도는 행정의 혁신을 더하는 좋은 정책으로 타 지방자치단체의 좋은 모델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공간 복지 향상 방안으로 먼저 총괄기획가 아래 권역별 구민참여단과 분야별 총괄기획가(야간경관, 스마트시티, 문화예술, 도서관), 관련 공무원 협업 체계 마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현재까지 진행된 강동형 공간 복지사업은 이용자인 주민들이 기획 단계에서 시설 운영에 이르기까지 주도적으로 참여하지 못했으며 행정주도로 매우 속도전으로 사업이 진행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강동형 공간 복지사업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주민 주도성이 결여된 점은 사업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다고 생각된다. 공간복지의 모범사례로 은평구 구산동 도서관 마을이 꼽히는 이유는 도서관의 외관이 세련되어서가 아니라 주민들이 도서관의 사업 기획부터 예산 확보, 시설 조성과 운영 단계까지 적극적으로 함께 했기 때문이다. 강동구도 이제 공공이 주도하는 것이 아닌, 주민이 주도하여 지역밀착형 생활 인프라를 조성하고, 마을 커뮤니티의 힘과 효능을 구현하는 새로운 전략을 마련해야한다. 강동형 공간 복지의 이론적 근거는 ‘공간이나 건축물이 그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는 신경건축학이다. 강동형 공간 복지 4개 공간은 단순히 공간을 확충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신경건축학을 활용하여 이용자들의 특성에 맞는 공간으로 재탄생했다. 본 연구결과 강동형 공간 복지 사업은 그 시설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게 큰 만족감을 주고 있으며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선 7기 강동구의 구정목표는‘더불어 행복한 강동’이다. 이 목표는 지역 간·계층 간 차별을 해소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강동구는 현재의 공간 복지 정책에 만족하지 않고 지역 간·계층 간 차별 해소의 성과가 상당할 때까지 신경건축학의 목표인‘행복’과‘힐링’실현을 위해 완성도가 높은 공간복지를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차후의 연구는 강동지역의 한계를 탈피하여 더욱 광범위한 지역의 공간복지 사업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072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3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LOCAL AUTONOMY(지방자치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