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1 0

중장년층의 복지의식 영향요인 연구

Title
중장년층의 복지의식 영향요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eterminants of Wellfare Consciousness of the Middle Aged
Author
서영희
Alternative Author(s)
Seo,Young Hee
Advisor(s)
허 수 연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는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고, 복지 관련 재정은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노동시장 불안정과 사회 양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복지예산과 국가 역할이 필요하다. 복지사회를 형성하기 위한 국가 역할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복지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가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선행연구들은 국민들의 복지의식과 그 영향요인에 대해 연구하여 왔다. 한편 현재까지 복지의식에 관련된 연구는 일반 시민 모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나 복지재정에 가장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향후 복지국가 확대를 위한 정치적 기반이 되어줄 중장년 계층을 중심으로 한 복지의식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주로 40대와 50대의 연령으로 형성되는 중장년층은 전체 인구의 32.5%를 차지하고 있고, 근로자 중에서 근로인구의 약 50%에 해당하는 중추적인 연령대로 복지 재정에 상당히 기여를 하고 있음에 불구하고 중장년층의 복지의식과 그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복지재정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중장년층 납세자의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서울 3곳, 경기도 2곳의 사업장을 선정하여 132명의 중장년층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복지의식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른 복지의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결혼여부에 따른 복지의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와 50대의 연령 차이에 따른 복지의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정도에 따른 복지의식의 차이도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에 따른 복지의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월 평균소득에 따른 복지의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강상태에 따른 복지의식의 차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독립변수인 정부역할 인식과 세금징수 공평성은 복지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정책 함의를 제시하였다. |Korea is rapidly aging, and welfare-related finances are increasing rapidly every year, but more welfare budgets and national roles are needed to solve labor market instability and social polarization problems. In order to expand the national role in forming a welfare society, above all, public support for welfare is needed, so many preceding studies have studied the people's sense of welfar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Meanwhile, research on welfare consciousness has been conducted on all ordinary citizens so far, but it contributes the most to welfare finances, and welfare consciousness studies centered on the middle-aged and elderly, which will serve as a political foundation for future welfare state expansion, are relatively insufficient. Although middle-aged people, mainly in their 40s and 50s, account for 32.5% of the total population and contribute significantly to welfare finances at a pivotal age group of about 50% of the working population among workers, studies on welfare consciousness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re very rar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elfare consciousness of middle-aged taxpayers who play a pivotal role in welfare finance. For this study, three workplaces in Seoul and two in Gyeonggi-do were selected as convenience sampling methods, and 132 middle-aged wage workers were surveye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welfare consciousness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elfare consciousness according to gender,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elfare consciousness according to marital statu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elfare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age difference between the 40s and 50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elfare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degree of educ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elfare consciousness according to religion,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elfare consciousness according to average monthly income.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elfare consciousness according to health conditions. It was found that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is study, government role recognition and tax collection fairn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elfare awareness.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centering on these results.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133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36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S](공공정책대학원) > SOCIAL WELFARE(사회복지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