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3 0

청소년 학교폭력 피해-가해 중첩현상의 이해

Title
청소년 학교폭력 피해-가해 중첩현상의 이해
Other Titles
Understanding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Victims-Offender Overlapping Phenomenon
Author
서명성
Alternative Author(s)
Seo, Myung Seon
Advisor(s)
김현수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학교폭력 피해-가해 중첩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피해 및 가해경험에 이르는 경로를 검증함으로써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효과적인 학교폭력 개입 방안을 수립할 수 있는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 피해 및 가해경험에 이르는 경로에 단절/거절 초기부적응도식, 우울, 외현적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여 청소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거된 설문지 중에서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89부를 제외한 총 1,002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이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공감은 단절/거절 초기부적응도식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단절/거절 초기부적응도식은 우울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은 외현적 공격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우울은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우울은 외현적 공격성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외현적 공격성은 학교폭력 가해경험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학교폭력 가해경험은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공감은 단절/거절 초기부적응도식, 우울의 매개변인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공감은 단절/거절 초기부적응도식, 우울, 외현적 공격성, 학교폭력 가해경험의 매개변인을 통해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의 원인으로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공감이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청소년이 지각하는 어머니공감을 향상될 수 있다면, 단절/거절 초기부적응도식, 우울, 내재적 공격성, 외현적 공격성이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학교폭력이 감소됨으로써 학교폭력이 근본적으로 해결이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둘째, 우울한 청소년들은 순수피해경험으로 나타났으며, 우울과 외현적 공격성을 모두 내재된 가해-피해 중복경험 청소년들은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경험이 중첩되어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폭력 순수피해와 가해-피해 중복경험에 따른 정확한 이해와 개입 청소년에 대한 분류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셋째, 학교폭력 가해경험과 피해경험은 순환되어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폭력 가해와 피해를 통합해서 바라는 관점의 전환의 필요하고 학교폭력 가해-피해 중복경험 청소년의 개입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The this study aimed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reventing school violence and an effective intervention plan to verify the path for understanding of adolescent school violence victims-offender overlapping phenomenon Thu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early maladaptive schemas, depression, exrernal aggression in the path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offense experience. To this e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1,091 adolescent girls and boys attending middle school in Incheon. Of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total 1,002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luding 89 questionnaires that were not properly. This data were analysed with de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SEM analysis by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aternal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have a direct negative effect on disconnection and rejection early maladaptive schemas. Second, disconnection and rejection early maladaptive schemas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Third, depression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external aggression. Fourth, depression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Fifth, depression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external aggression. Sixth, external aggression have a direc positive effect on school violence offense experience. Seventh, school violence offense experience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Eighth, maternal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have a indirect effect on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experience through mediation process wit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early maladaptive schemas, depression. Ninth, maternal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have a indirect effect on school violence offence experience through mediation process wit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early maladaptive schemas, depression, external aggression, school violence offense experience.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ernal empathy perceived by adolescents was working as the cause of school violence. If adolescents can improve their perceived maternal empathy , it can be expected that school violence will be fundamentally resolved by reducing the disconnection and rejection early maladaptive schemas, depression, external aggression, resulting in a decrease in school violence. Second, depressed adolescents were found to have pure victimization experiences, and adolescents who experienced both depression and external aggression overlapped with school violence. Through this,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pure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and to classify the intervening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victims-offender overlapping experienc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victimization and offense of school violence were circulated. Through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change the perspective of integrating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nd offense, also intervention of adolescents with overlapping school violence offense-victimization experiences is necessary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60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24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