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6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Value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수-
dc.contributor.author박하늘-
dc.date.accessioned2022-02-22T02:11:16Z-
dc.date.available2022-02-22T02:11:16Z-
dc.date.issued2022. 2-
dc.identifier.uri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6545en_US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19-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of parents on verbal control modes, for parents with early childhood children, an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on this relationshi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adult men and women raising children aged 2-6 years old. Due to the current risk of COVID-19 infection, it is difficult to meet participants in person, so this research conducted an online survey through a specialized survey institution.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263 people, and a total of 255 people were analyzed, excluding 8 people who responded insincerely and non-response. Among the participants, 113 were male and 142 were female. As a measurement tool, a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verbal control modes.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performed a t-test,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o calculate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kurtosis.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demonstrate valid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verbal control modes are as follows. In both fathers and mothers,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imperative-oriented contro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osition-oriented control.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person-oriented control in mothers, but not significant in fathers. Second, the father's imperative-oriented control was negatively affected by independence in the extended family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of-origin experiences. It was found that the harmony of family had a negative effect and permission to ot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osition-oriented control. This study confirmed that harmony of famil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and family coope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oriented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sub-factors of the mother's family-of-origin experience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erative-oriented control, person-oriented control, and position-oriented control. Thir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gender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erbal control modes. This study found that the interaction effects of some sub-factors of the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gender were significant in relation to the imperative-oriented control and the person-oriented control.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of-origin experiences and position-oriented control.|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행동인 언어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때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 하에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원가족 경험이 언어통제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부모의 원가족 경험과 언어통제유형의 관계에서 성별의 조절 효과 는 어떠한가? 본 연구 대상은 만 2-6세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성인 남녀로, 현재 코로나-19 감염의 위험으로 연구대상자들과 대면하기 어려운 상황이라 리서치 설문조사를 전문으로 하는 기관에 의뢰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을 진행, 총 응답된 263명에서 불성실하거나 무응답한 8명을 제외하고 총 25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자 중 남성은 113명, 여성은 142명이다. 측정도구로는 남성과 여성의 원가족 경험과 언어통제유형 측정을 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평균, 표준편차, 왜도, 첨도를 계산하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t검정, 적률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과 각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고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가족 경험과 언어통제유형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와 모 모두 명령적 언어통제유형과는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지위적 언어통제유형과는 관련되지 않았다. 특히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은 모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에게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의 명령적 언어통제유형은 원가족 경험 하위요인 중 확대가족내의 독립성 요인과 부적으로 유의했다. 지위적 언어통제유형에는 가족의 화목 요인과 부적으로 유의했으며, 다른 가족원에 대한 허용성 요인과는 정적으로 유의했다.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은 가족의 화목 요인과 부적으로 유의했고, 공동체 의식과는 정적으로 유의했다. 여자의 원가족 경험 하위요인은 명령적 언어통제유형, 지위적 언어통제유형, 인성적 언어통제유형과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원가족 경험과 성별의 상호작용에 따른 조절효과는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원가족 경험과 성별의 상호작용에 따른 조절효과는 언어통제유형에 따라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명령적 언어통제유형과 인성적 언어통제유형은 원가족 경험의 일부 하위 요인과 성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원가족 경험과 지위적 언어통제유형의 관계에서는 성별의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dc.publisher한양대학교-
dc.title원가족 경험이 부모의 언어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the Family-of-origin Functioning on Parents ’ Verbal Control Modes : Moderating of Gender-
dc.typeTheses-
dc.contributor.googleauthor박하늘-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Ha Neul-
dc.sector.campusS-
dc.sector.daehak대학원-
dc.sector.department아동심리치료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