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2 0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의 아동 주도 상호작용 단계가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상호작용의 질 및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연구

Title
부모-아동 상호작용 치료의 아동 주도 상호작용 단계가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상호작용의 질 및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예비 연구
Other Titles
Effect of Child-Directed Interaction(CDI) of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PCIT) on Maternal Verbal Control Modes, Quality of Interaction and Child's Problem Behavior : A pilot study
Author
최회진
Alternative Author(s)
CHOI HOIJIN
Advisor(s)
김현수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Child-Directed Interaction (CDI) of Parent-Child Interaction Therapy(PCIT) on the Maternal Verbal Control Modes, Quality of Interaction and Child's Problem Behavior. A total of 14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7 pair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who fall under the clinical score(T≥92) based on the Korean standardized score of the Eyberg Child Behavior Inventory (ECBI). The program lasted about an hour once a week and the post-time wa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DI master criteria presented in the PCIT protocol without setting the number of sessions. The collected mother's language data were transcribed by applying the criteria for partially modifying the speech classification principle suggested by Kim Young-tae(2002) and the verbal control modes analysis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referring to the explanation of the three classifications developed by Gumperz(1973). Mean Length of Utterance in Clutters(MLU-c) of the mother was calculated by referring to the method of analyzing speech centering on the phrase of Kim Young-tae(2002) and the quality of interaction was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interactions using DPICS. The pre-post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yberg Child Behavior Inventory(ECBI) and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 for 1.5-5(K-CBCL) was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28.0. The derived results are as follows. After proceeding with the CDI of PCIT, the maternal verbal control modes changed from imperative-oriented control mode to person-oriented language control mode. Also, the number of verbal interacting with children increased and Mean Length of Utterance in Clutters(MLU-c) also increased. The mother improved the quality of interaction by using a lot of positive interactions with the child and the child's problem behavior tended to decrease. Through CDI of PCIT, mothers were able to learn how to improve relationships with children and control them appropriately by acquiring positive verbal interaction skills and using them for children.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ovided an opportunity to look back on the maternal verbal form and re-examine the impact on children.| 본 연구는 부모-아동 상호작용치료(PCIT)의 아동 주도 상호작용(CDI)단계가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상호작용의 질 및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아이버그 아동행동평가(ECBI)의 한국 표준화 점수를 기준으로 임상범위(T≥92)에 해당하는 아동과 그 어머니 7쌍으로 총 14명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약 1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회기 수를 정해 놓지 않고 PCIT 프로토콜에 제시된 CDI 마스터 기준에 따라 사후 시점을 결정하였다. 수집된 어머니 언어자료는 김영태(2002)가 제시한 발화 구분 원칙을 일부 수정한 기준을 적용하여 전사하였으며, 언어통제유형 분석은 김영주(1999)가 사용한 언어통제유형에 대한 분석 기준에 Gumperz(1973)가 개발한 3가지 분류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여 수정, 보완한 기준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평균발화길이(MLU-c)는 김영태(2002)의 어절을 중심으로 발화를 분석하는 방법을 참고하여 수치를 계산하였으며, 상호작용의 질은 DPICS를 사용하여 긍정적 상호작용과 부정적 상호작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아이버그 아동행동검사(ECBI), 유아행동평가척도(K-CBCL)에 대한 사전-사후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28.0을 사용하여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CIT의 CDI 단계를 진행한 후,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명령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에서 인성 지향적 언어통제유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아동에게 상호작용하는 발화의 개수가 증가하였으며 평균발화길이(MLU-c)도 늘어났다. 어머니는 아동에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많이 사용함으로써 상호작용의 질이 향상되었고, 아동의 문제행동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PCIT의 CDI 단계를 통해 어머니는 긍정적인 언어적 상호작용 기술을 습득하여 아동에게 사용함으로써 아동과의 관계 개선을 이루고 적절하게 통제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었다. 더불어 어머니의 언어 형태를 되돌아보고, 아동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재조명하는 기회를 마련한 데에 그 의의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649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17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CHILD PSYCHOTHERAPY(아동심리치료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