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22 0

복합체육시설의 Wayfinding을 고려한 공간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Title
복합체육시설의 Wayfinding을 고려한 공간 구조 분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Spatial Structure Analysis Considering Wayfinding of Complex Sports Facilities : Focused on Case Study of Seoul Complex Sports Center Using Space Syntax
Author
이승현
Advisor(s)
장순각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국내 복합스포츠센터의 현황을 파악하고, Wayfinding을 고려한 이용자의 시각적 접근성의 관점에서 복합스포츠센터의 공간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체육 시설의 증대와 복합화의 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에 들어서면서 스포츠는 복잡한 사회구조 속에서 신체를 건강하게 유지하며 삶의 질을 향상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한편, 국민소득 증가,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우리나라 국민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로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으며, 자기 관리와 건강증진을 위해 정기적으로 운동을 하는 인구가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최근 트렌드는 단순히 건강을 위한 운동, 관람을 위한 스포츠뿐만 아니라, 주체적으로 자신의 욕구 표출과 개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았다. 과거부터 체육 시설 이용자들의 시설에 대한 요구는 꾸준히 이어져 왔지만, 현대의 다각화된 삶 속에서 그 구체성과 다양성의 스펙트럼이 커졌으며 공간을 이용하고 바라보고 인지하며 의견을 내는 소비자의 인식이 높아졌다. 정부에서도 국민의 건강 증진과 설문조사를 통한 국민의 의견반영으로 복합화된 체육 시설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 시설 확보 및 보수 계획을 이행해 나아가고 있다. 복합스포츠센터의 건립과 유지는 운영 수익의 문제, 시설 유지, 자금 조달 등의 이유로 현재 주로 호텔, 대기업, 시설관리공단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앞으로의 공공체육센터의 시설 보수와 신규 시설 환경의 조성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가 시설을 이용하는 시작부터 목적을 끝내고 나가는 과정까지 스포츠 센터 내에서 발생하는 wayfinding의 문제를 시지각적 접근성의 관점에서 공간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국민체육시설 선호도와 관련된 통계자료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 대상이 될 시설을 분류하였다. 또한 체육 시설을 이용하는 사용자 기반의 경험적 특성을 통해 wayfinding의 시지각적 접근성의 중요도를 알아보고 이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므로써 공간 분석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고자 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로 정의할 수 있다. 선행연구를 기반하여 복합스포츠센터의 기능과 공간 구성, Wayfinding의 환경적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사용자 경험의 관계성과 연관지어 사용자가 체육 시설을 이용할 때의 시지각적 접근성 관점에서 공간구문론적 분석으로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요인을 도출하였다. 이후 스포츠센터의 공간 구성 5가지에 따른 분류를 하고, VGA(Visual Graph Analysis)분석을 통해 가시통합도와 가시연결도 수치를 도출해내고 전체 공간구조와 각 주요 지점의 위계를 파악하여 각 지점별로 수직, 수평의 연결이 잘 되어 있는지, 시각적 중심을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인지 분석하였다. Step depth분석에서는 주요 분석 지점에서의 시각적 개방 정도를 그래프롤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이 그래프를 수평으로 나열하여 수직으로 이루어진 전체 층의 깊이 관계를 한 번에 살펴보고, 깊게 형성된 공간일수록 시지각적으로 인지가 힘든 공간 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사례마다 전체 가시통합도와 가시연결도의 상관분석으로 명료도를 도출하여 각 사례의 전체 공간에서 이용자가 얼만큼 공간을 인지할 수 있는지 수치적으로 가늠할 수 있었다. 이후 가시성연결도, 스텝뎁스, 가시통합도의 종합적인 분석 결과를 통해 각 사례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고 시지각적 접근성으로 부족한 부분과 공간 구성이 잘 되어 있는 부분을 시각적 자료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5개의 복합스포츠센터의 사례로 공통점과 시지각적 접근성의 장단점을 도출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복합화된 공간에 대하여 분석 단위를 분석 규모에 적합한 분석지표에 적용하여 공간분석을 시도하였다. 이에 지엽적 분석에 그칠 수 있는 복합스포츠센터 내 wayfinding의 시지각적 접근성에 대한 분석을 VGA를 통하여 다각도로 분석하고 정확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층이 다양하며 복합적으로 구성되어있는 공간을 층별로 나누고, 주요 핵심 공간 구성 5가지로 구분하여 주요 지점을 설정하여 시지각적 접근성을 면밀히 살펴보고 명료도를 통해 분석 결과를 검증하는 일련을 과정을 통해 분석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복합스포츠센터에 대한 시각적 공간 분석에 있어서 기초적인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주요 지점을 선정하였으나 시설의 모든 공간을 다룬 것이 아니기에, 모든 세밀한 공간을 다루고 사용자 외에도 직원을 위한 공간, 화장실, 관리 및 서비스 부분에서의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이며, 벽체가 아닌 유리로 된 부분과 같이 직선 거리로 도달할 수는 없지만, 시각적으로는 개방되어 있는 부분에 대한 변수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분석 과정과 연구는 앞으로도 다양한 체육 시설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분석과 연구를 통해 보완해 나가야 할 필요가 있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105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301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