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7 0

도심지 업무용 건축물의 실내공개공지 공공성에 관한 연구

Title
도심지 업무용 건축물의 실내공개공지 공공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ublicness of Privately Owned Indoor Public Space in Urban Office Buildings
Author
윤수민
Alternative Author(s)
Yoon, Soo Min
Advisor(s)
황연숙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In today's urban space, due to the high-density of large-scale office buildings, private space has increased but public space has been reduced in urban space. This leads to a decrease in the publicness of urban spaces and quality value. It causes the necessity of public spaces to increase the publicness of the city. Although the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system was introduced for this purpose, interest in indoor public notices is increasing due to mandatory and formal installation of privately owned public space, rapid environmental changing and changes in weather. However, the domestic privately owned indoor public space system remains at a basic level so far, and there are lack of understanding and various guidelines for using privately owned indoor public space.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privately owned indoor public space as a response to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ness of urban space and limitations of the existing public spa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ly owned indoor public space of office buildings from the point of view of publicness.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the spatial types of indoor public spaces. In the previous studies, the types of indoor public spaces are rather few, such as atrium, green house, galleria, and underground concourse. On the other hand, in the actual case, it was found that the internal composition appeared in various for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types of indoor public spaces variously and subdivide them into vertical voids centered on stairs or escalators, horizontal voids, and podiums with multiple floors etc. Second, the visual sense of openness was high beacause of a penetrated open space through several vertical floors as a whole, but the facilities were structurally dispersed to each floor due to the void space in the center. Because of this, when the purpose of the facility to be used is different, the movement occurs by floor and the movement line is not connect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nstall vertical movement means such as elevators, escalators and stairs that are open inside the indoor public space to complement separated movement lines in terms of visual openness, access and connection. Third, privately owned indoor public space should provide various facilities in order to provide a pleasant environment to enhance publicness. However, the most of cases tended to focus on commercial facilities, and there was not enough space for res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eparate rest area by using various benches, chairs, sofas, etc.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help pedestrians to rest by arranging them at a location where they are connect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movement of the doorway, escalator, or side of the passage, where movement frequently occurs inside.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nect with various exhibitions and cultural facilities in the internal facilities. As a result of the linkage analysis, the privately owned indoor public space was connected to other facilities inside and outside, but mostly commercial facilities such as restaurants and cafes. Because of this,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qualitative experience to users such as exhibitions or cultural facilities. Therefore, it would be helpful to prepare exhibitions and cultural facilities inside. And this spatial planning can reduce waste of space by linking exhibitions and cultural spaces by actively utilizing idle spaces such as large voids to provide various experiences. Fifth, a natural space in the privately owned indoor public space was not enough. Since the privately owned indoor public space is a space that responds to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important to create a natural landscape space to improve the beauty and comfor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secure a landscaping space to improve the quality and aesthetics of the internal environment. To this end,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natural spaces by applying gardens, fountains, plants, green walls, etc. to indoor spaces. This study analyzes the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indoor public spaces by establishing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indoor public spaces. I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publicnes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a publicness survey from the user's perspective has not been conducted. Therefore, it can be useful to study the standards and contents of publicness that are important to actual users through future surveys and interview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active introduction of the privately owned indoor public spaces in urban spaces will be made, and the utilization of indoor public spaces will increase|오늘날 도시공간은 대규모 업무시설의 밀집화로 인하여 사적공간의 증대와 함께 공적 공간이 축소되었다. 이는 도시공간의 공공성 축소와 질적 가치 저하로 이어져 도시의 공공성 증대를 위한 공적공간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를 위하여 공개공지제도가 도입되었으나 의무적이고 형식적인 설치, 급변하는 외부환경과 날씨의 변화 등으로 실내공개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실내공개공지제도가 현재까지 기초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실내공개공지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활용 가이드라인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공간의 공공성 향상과 기존의 공개공지의 한계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실내공개공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성 관점에서 업무용 실내공개공지 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내공개공지의 공간유형 구분의 세분화가 필요하다.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실내공개공지를 구분하는 형태는 아트리움, 그린하우스, 갤러리아, 지하 콘코스 등으로 유형이 다소 적다. 이에 반해 실제 사례에서는 내부의 구성이 여러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사례에 나타나는 여러 실내공개공지의 형태를 유형화 하여 계단 혹은 에스컬레이터를 중심으로 하는 수직 보이드, 수평 보이드, 여러 층이 연결된 포디움 등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체적으로 수직적으로 여러 층이 관통되어 열린 공간으로 시각적 개방감이 높았으나 중앙의 보이드 공간으로 인해 구조적으로 시설이 각 층으로 분산되었다. 이로 인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시설의 목적이 달라질 경우 층별 이동이 발생하고 동선이 연결되지 않거나 길어지는 형태가 나타났다. 따라서 시각적인 개방감, 접근과 연결 측면에서 분리된 동선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내공개공지 내부에 개방된 엘리베이터와 에스컬레이터 및 계단 등 수직 이동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실내공개공지는 건축물의 지하와 지상에 걸쳐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공공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양한 시설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례는 상업시설에 치중된 경향이 나타났으며 휴식과 쉼을 위한 공간은 부족하였다. 벤치, 의자, 소파 등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별도의 휴식 공간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내부에서 이동이 자주 발생하는 출입구, 에스컬레이터, 통로 측면 등에 이동 동선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연결되는 위치에 배치하여 보행자의 휴식을 도와야 한다. 넷째, 내부 시설에서 다양한 전시 및 문화시설과의 연결이 필요하다. 연계성 분석결과 실내공개공지의 내부 및 외부에서 다른 시설들과 연결되어 있었으나 대부분 식당, 카페 등 상업시설 위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 상업시설 및 업무시설과의 연계성이 높아 전시 혹은 문화시설 등 이용자들에게 질적 경험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내부에서 전시와 문화시설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며, 실내공개공지의 넓은 규모의 보이드와 같은 유휴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전시 및 문화공간을 연계하여 공간의 낭비를 줄이고 실내공개공지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실내공개공지에 자연 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공개공지는 외부의 환경변화에 대응하는 공간이므로 실내 디자인의 아름다움과 쾌적함 향상을 위해 자연적인 조경공간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나 식물이나 물 등 자연적 요소의 활용은 현저히 적었고 조경공간도 거의 없었다. 따라서 내부 환경의 질적, 심미적 향상과 자연경험을 통한 쾌적함 향상을 위해 적극적으로 조경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정원, 분수, 식물, 그린월 등을 실내공간에 적용하여 다양한 자연적 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내공개공지의 특성과 요소를 정립하여 실내공개공지의 이해와 활용을 분석하고 공공성 측면에서 이를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 측면에서의 공공성 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향후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통하여 실제 사용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공공성의 기준 및 내용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통해 앞으로 도시공간에서 실내공개공지의 적극적인 도입이 이루어지고 실내공개공지의 활용이 높아질 것을 기대한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2783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8299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S](대학원) > INTERIOR ARCHITECTURE DESIGN(실내건축디자인학과) > Theses (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